• 제목/요약/키워드: Empathy Competence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1초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eacher's Efficacy)

  • 최인숙;박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54-46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 및 교사 효능감의 수준과 관계를 알아보고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전라북도 I시와 충청북도 H시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5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대인관계 반응지수도구(IRI),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ICQ), STEBI를 유아교사에게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교사효능감은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고통 이외 모두 3점 이상으로 평균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교사 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인간중심간호 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erson-centered care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박주영;우정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8-56
    • /
    • 2022
  •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erson-centered care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universities located in the D and J cities of South Korea. Participants were 130 senior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for at least 3 month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7-10, 2019,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3.0. Results: The Factor influencing person-centered care competence was compassion competence (β=.49,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variable was 30% (F=10.98, p<.001).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nursing faculties need to develop programs and learning content to enhance learners' compassion competence for promotion of person-centered care competence.

공감 능력이 사회 정의 실천에 미치는 영향: 사회 인지적 관점에서 (The Effect of Empathy on Social Justice Commitment: A Social-Cognitive Perspective)

  • 민문경 ;이나빈 ;안현의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4호
    • /
    • pp.575-594
    • /
    • 2015
  • 본 연구는 공감 능력이 사회 정의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 인지적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이 사회 정의 자기 효능감, 사회 정의 결과 기대, 사회 정의 관심이라는 사회 인지적 기제를 통해 사회 정의 실천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20대 537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이슈 질문지,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 한국어판 공감 지수 척도를 포함하는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한 뒤 연구 모형을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적 공감에 비해 정서적 공감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변인 모두 사회 정의 실천에 유의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특별히 사회 인지적 기제를 거쳐 간접적으로 사회 정의 실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감 능력이 일반적인 이타행동 뿐만 아니라 사회적 불평등과 차별의 개념을 포함하는 사회 정의 실천 역시 예측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정서적 또는 인지적 공감의 측면에서 사회 정의 실천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Influence of Spiritualit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Compassion Competence of Hospice Nurses

  • Su-Jeong, Lee;Hyun-E, Yeom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5권4호
    • /
    • pp.169-177
    • /
    • 202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piritualit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compassion competence of hospice nurses.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of 118 hospice nurses from 16 hospitals in Daejeon, Chungcheong Province, and Jeolla Provinc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cluding the Spirituality Scale, Index of Work Satisfaction, the Compassion Competence Scale for Nurses, and general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for Windows version 26.0. Results: Compassion competence was correlated with spirituality (r=0.66, P<0.001) and job satisfaction (r=0.52, P<0.001), and spirituality was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r=0.44, P<0.001). Spirituality (β=0.513, P<0.001) and job satisfaction (β=0.273, P<0.001)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compassion competence of hospice nurses, after adjusting for the sociodemographic and work-related covariates. The step-by-step results from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also indicated that spirituality had a stronger impact than job satisfaction on compassion competence. Conclusion: Our finding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which plays a role in guiding the compassion competence of hospice nurses.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spirituality and job satisfaction of hospice nurses, which could facilitate their compassion competence and thereb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종합병원 간호사의 자아탄력성, 간호전문직관 및 공감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go-resili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pathy on clinical competency of general hospital nurses)

  • 김수현;박희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1-110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pathy on clinical competency and to suggest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clinical competency of general hospital nurses. Methods: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Jan. 18th, 2019 to Feb. 14th. A total of 194 nurses from four general hospit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Kruskal-Wallis test,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competency of general hospital nurses included ego-resilience (β=.28, p<.001), nursing professionalism (β=.20, p=.011), empathic concern (β=.19, p=.003), working department (β=-.17, p=.008), total clinical career (β=.15, p=.011), and number of beds (β=.13, p=.033). These factors accounted for 33.0% of the clinical competency (p<.001).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find ways to improve the level of empathy of general hospital nurses and there is a need to include education programs or practical interventions to strengthen empathy at the clinical level.

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직무스트레스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Factors of Empathic Competence and Occupational Stress of Nurses on Their Ego-resilience)

  • 이주연;이미향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26
    • /
    • 2019
  • Purpose: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assesses the extent of empathic competence, occupational stress, and ego-resilience of nurses, and confirms factors that affect ego-resilienc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for nurses. Methods: Data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with 193 nurses were analyzed by means of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Empathic competence,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final academic background. Further, occupational stress and ego-resilience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related to the nurses' department of employment, age,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s, respectively. Empathic competence and ego-resilienc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age and empathic competence were found to be the factors that impart influence on ego-resilience. Conclusion: The enhancement of empathic competence of nurses has affirmati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with their nurses, and it also improves the ego-resilience of nur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career training program aimed at enhancing the empathic competence of nurses as an in-service educational program.

119 구급대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공감역량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ost-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compet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 서가원;박정희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29-140
    • /
    • 2020
  • Purpose: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compet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EMTs). Methods: The data of 119 EMTs were collected between May 1 and September 30, 2020.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4.0 program. Results: Post-traumatic stress was seen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r=-.456, p<.001) and compassion compet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r=.250, p=.006). Participants' subjective health status (β=0.30, p<.001), post-traumatic stress (β=-0.39, p=.001) and compassion competence (β=0.29, p<.001) explained 38.5% of variance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119 EMTs.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ost-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competence are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MTs. Therefore, systematic programs for reducing post-traumatic stress and enhancing compassion competence levels should be developed.

외식업 종사자의 소통에 관한 고객과 종사자의 인식 차이: 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의 인식과 소통만족에 관하여 (The Difference on Perception of Restaurant Servers' Communication Competence between Customers and Workers: A Study on Communication Skill, Empathy Skill, and Satisfaction of Communication)

  • 이상훈;류춘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88-100
    • /
    • 2020
  • 이 연구는 외식산업 종사자의 소통과 공감능력에 대한 고객과 종사자의 인식이 소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715명의 고객과 종사자를 대상으로 외식산업 종사자의 소통능력, 공감능력과 소통만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고객과 종사자 모두가 외식산업 종사자의 소통능력을 높게 인식할수록 소통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사자는 고객보다 종사자의 소통능력을 더 높게 평가하고 있다. 둘째, 고객과 종사자 모두 외식산업 종사자의 공감능력을 높게 인식할수록 소통만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종사자는 고객보다 종사자의 공감능력을 더 높게 인식한다. 셋째, 소통만족에 대한 고객과 종사자 두 집단 간의 차이에서, 종사자는 고객보다 소통만족을 더 높게 인식했다. 마지막으로 다중회귀 분석 결과를 보면, 고객의 경우는 종사자의 소통능력과 공감능력에 대한 인식이 모두 소통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종사자의 경우 종사자의 소통능력에 대한 인식만 소통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공감능력 인식의 영향이 소통능력 인식에 함께 포함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외식산업 매장의 소통 차원에서 고객과 종사자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여 향후 이 간극을 좁혀야 할 필요와 방향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한국판 단축 공감척도의 타당화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mpathy Quotient-Short form)

  • 여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356-536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단축형 공감척도의 심리측정 속성을 분석하여 한국판으로 타당화하는 것이다. 총 528명의 간호대학생(여학생 494, 남학생 34)을 대상으로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상관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1(N=298)에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22문항 중 11문항 단일요인 구조가 확인되었다. 내적 신뢰도는 .88로 다소 높았으며 대인간 반응척도(IRI)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r=.279, p<.000) 한국판 단축 공감척도(EQ-Short-K)의 준거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2(N=230)에서 총 11문항의 한국판 단축 공감척도와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ICQ)의 상관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제시되었다(r=.351, p<.000). 본 연구결과는 한국판 단축 공감척도의 내적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의 간호 영역에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는 공감 측정 도구로서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융복합적 공감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vergent Empathy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urse)

  • 백경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211-219
    • /
    • 2020
  •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의사소통력과 대인관계의 이해가 공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일개 대학의 간호학과 2학년 12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력(r=.82, p<.001)과 대인관계 이해(r=.84, p<.001)는 공감역량과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공감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실습참여의 적극성, 의사소통력 및 대인관계 이해였으며, 이들은 공감역량을 80.6%의 높은 수준으로 설명하였다(F=29.41, p<.001).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공감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실습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장치 마련과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형성에 이바지할 수 있는 단계별 공감 교육 프로그램을 교육과정에 도입할 필요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