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athic Ability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4초

전공에 따른 케어 로봇에 대한 인식, 디지털 리터러시 및 공감능력에 대한 비교 연구 -보건계열 및 공학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A comparison study on perception of care robots, digital literacy and empathic ability according to major -in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health and engineering-)

  • 이도영;윤상석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47-5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형명의 의료 삶의 질을 향상시켜줄 케어로봇에 대하여 미래 의료 산업 발전을 주도할 보건전공 대학생과 공학전공 대학생의 케어로봇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이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및 공감능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케어로봇에 대한 인식과 디지털 리터러시 및 공감능력에 대해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보건계열 대학생과 공학계열 대학생은 케어로봇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육 경험이 두 군 모두 미흡하였다. 더욱이 보건계열 대학생의 경우 케어로봇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공학계열 학생보다 통계적으로 낮았으며, 수강 요구도 또한 낮았다. 보건계열 대학생과 공학계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공감능력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영역인 행동적 공감에서 관계형성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추후 4차 산업에 따른 의료 분야의 교육의 다학제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전공에 따른 학습자들을 위한 이해와 준비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대학생의 상담수강경험과 전공에 따른 공감능력과 감성지능의 차이 연구 (Study of Differences in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Counseling Course-taking Experience and Major)

  • 임애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03-110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상담 관련 강의 수강 경험과 전공에 따라 공감능력과 감성지능이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대학의 대학생 313명이며, 가설 검증을 위해 통계적 분석 방법으로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Duncan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공감능력은 성별, 전공, 상담관련 강의 수강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감성지능은 성별, 상담 관련 강의 수강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공감능력은 여자가 남자보다, 사회과학대학이 과학기술융합대학보다, 상담교육을 받은 학생이 받지 않은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감성지능은 여자가 남자보다, 상담교육을 받은 학생이 받지 않은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현재의 상담교육의 효과성은 확인할 수 있었으나, 전공에 따른 감성지능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론적 교육의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고, 교육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는 공감능력이 현재의 커리큘럼으로 향상되지 못했다는 결과를 통해 실습 혹은 예술 매체 활용 등 상담 관련 교육 커리큘럼을 수정 혹은 보완해야 할 필요성을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신입생을 위한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공감능력, 그리고 학과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for Freshmen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ratitude Disposition, Empathic Ability, Department Satisfaction)

  • 이세나;김민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5-10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을 위한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공감능력, 그리고 학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3년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신입생 55명이며, 이들 중 28명은 실험집단에, 27명은 비교집단에 배치되었다. 실험집단에 속한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은 2018년 14학기 동안 인지, 정서, 행동적 영역이 통합되어 구성된 감사증진 프로그램을 경험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실시 사전과 사후에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감사성향, 공감능력, 학과만족 검사를 실시하여 SPSS WIN 20.0을 활용한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유아교육과 신입생을 위한 감사증진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공감능력, 학과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적응과 학습 지속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감성지능, 공감능력의 관계 : 상담 수강 경험의 조절효과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pathic Ability : Moderating Effect of Experience in Taking Counseling Course)

  • 임애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68-27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감성지능, 공감능력의 관계에 상담수강경험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의 대학생 313명이며, 가설 검증을 위한 통계적 분석방법으로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감성지능관계에서 상담수강경험은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담수강경험은 우호적 성향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부적으로 반전시키는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며, 외향적 성향이 공감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만드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학습에 의해 향상될 수 있는 감성지능과는 상담수강경험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므로 현재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상담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외향적 성향일 경우에만 상담수강경험이 공감적 관심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통해 현재 상담교육은 외향적 사람에게 잘 맞는 커리큘럼일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며, 오히려 우호적 성향인 경우 상담수강경험이 공감능력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은 우호적 성향 자체가 교육 경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수이거나 현재 커리큘럼을 다양화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성격특성에 맞는 커리큘럼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긴 하지만, 성격별 소그룹 수업이나 각각의 성향에 맞는 수업 방식을 스스로 선택하도록 커리큘럼의 다양성을 부각시켰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공감훈련프로그램 참여아동의 공감표현 변화과정 분석 (An Analysis on the Empathic Changing Process of the Members in Empathy Training Program)

  • 김미영
    • 초등상담연구
    • /
    • 제7권1호
    • /
    • pp.205-226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you have seen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xisting quantitative research and to put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to practical use for participating children. From looking into this, the changes in empathic understanding that came to light in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and children and children are sure to have that effect. For this work, I established the following subject of inquiry: What kind of changing processes can be seen in the empathic understanding of participating children in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To resolve the above line of inquiry, six female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hosen and they progressed through twelve sessions of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The children were given a sentence completion exam, recognition work, neat writing exam and a school adaptation exam both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making data for analysis. To analyze, first, participants had one or two meetings of forty to fifty minutes each. Progress through the program's curriculum was recorded and through the repeating and copying method, to be sure participating children's empathic understanding was revealed, empathic language and behavior was routinely chosen. Next, according the above criteria I looked into visible changes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s empathic expressions, classifying and analyzing changes in empathic understanding and six instances of common changes in the emphatic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s relationships were analyzed and put together. Next I will summarize the findings we have seen in this research: First, if we look into changes in common empathic understanding from the beginning, using the criteria of empathic language, each individual showed understanding at the beginning and passed and progressed through stages of care, insight and emotional expressions. Second, when we looked at the criteria of empathic behavior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ne's line of vision and ability to concentrate one's attention was connected. Next, the act of nodding one's head looked like a brief nod at first but at the end, it was not just a simple nod but rather they could feel deep empathy. The condition and substance of the facial expression was seen to match and at the very end the child was expressive and stretched out arms to hold and pat the other person and the act of holding hands could also be seen. Among lots of empathic behavior the final stage was shown by half of the children. Third, from the first stage to the last stage there were many cases revealed. The more the children went the more complete their empathic language became. Their vocabulary increased and became more diverse with empathic actions. Also, when comparing actions and expressions from the beginning with the end, visible expressions became more natural and sincere at the end. The result of the research we have seen is that through receiving experience of empathic understanding, participating children showed a sense of self-confidence and they looked to make peaceful expressions while not being aggressive or defensive about problems. In addition, from understanding empathic expressions, participating children's relationships felt closer. This outcome within this group in this case will be applied and the formation of empathic understanding can be used by the children internally to solve their own problems, acquire close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and others. It will also contribute to smooth classroom management.

  • PDF

코로나19 팬데믹이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공감능력, 지각된 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 Focus on empathic ability, perceived stress, and resilience)

  • 최윤숙;김미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7-108
    • /
    • 2024
  • Purpose :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by focusing on their empathic ability, perceived stress, and resilience. Methods : We applied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design, which includ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comprised 307 nursing students in B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s, t-tests,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23.0. Results : The participants' empathic ability score was 3.30±.42, perceived stress score 1.85±.49, resilience score 3.44±.64,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score 3.25±.52. Adjustment to college lif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r=.43, p<.001)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stress (r=.27, p<.001). Factors affecting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clude,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in Model 1, in descending order, major satisfaction-satisfied (β=.54, p<.001), interpersonal conflict: never (β=.26, p=.018), health status: healthy (β=.25, p=.002), character: positive (β=.21, p=.006), character: optimistic (β=.19, p=.015), parents' economic power: high (β=.15, p=.047), and gender: male (β=.11, p=.016). Model 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1.67,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1 %. In Model 2, empathic ability, perceived stress, and resilience were added as independent variables. When including the dependent variables, the factors that most influenced adjustment to college life were perceived stress (β=-.37, p<.001), major satisfaction-satisfied (β=.36, p<.001), health status-healthy (β=.25, p<.001), gender-male (β=.10, p=.015), and resilience (β=.10, p=.029). Model 2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7.65,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56 %. Conclusion : We found that gender, major satisfaction, health status, perceived stress, and resilience affecte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To increase their ability to adjust to college life, a gender-specific interven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hat can improve the students' health status, major satisfaction and resilience, and reduce their perceived stress.

의료서비스 디자인씽킹 교육이 예비보건행정가의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dical Service Design Thinking on Preliminary Health Administrators' Empathy Ability)

  • 유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367-377
    • /
    • 2018
  • 예비보건행정가의 사내기업가정신 교육에 의료서비스 디자인씽킹 교수법을 적용하고 공감 능력 향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대구광역시 일개 대학의 보건행정과 2학년 학생 41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총 15주간 의료서비스 디자인씽킹을 적용한 후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써 예비보건행정가들의 공감 능력 향상 효과는 공감적 상상하기와 공감적 각성하기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학생과 만 20-25세의 경우,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예비보건행정가의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해 학년별 의료서비스 디자인씽킹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이타행동과 정서인식명확성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Dental hygiene student Altruistic Behavior and Emotional clarity on Empathic ability)

  • 원영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91-198
    • /
    • 2021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전북 지역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치위생과 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SPSS version 19.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 처리하였다. 그 결과, 이타행동의 하위요인 중 공감적 이타행동(��=.315), 정서인식명확성(��=.210), 즉각적 이타행동(��=.206)의 순으로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치위생과 학생의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고,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중학생의 공감능력이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Empathic Ability on Receptive Attitude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 강영심;이정은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1429-1439
    • /
    • 2013
  • This study is about the influ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empathic ability on receptive attitude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survey is used to measure cognitive, emotional empathy ability and the attitude of acceptan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argeting 300 students of middle school 2,3 grades. Empathy ability consists of 20 questions and the attitude of acceptan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composed of 31 questions, which are three sub-areas like personal life, school life and learning activities. After subjects were divided into top 30%, middle 40% and bottom 30% according to their empathy ability, the attitude of acceptan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receptive attitude as a whole and the sub-areas. And the top group with high empathy ability had more acceptable attitude. In particula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ceptance attitud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cognitive empathy ability rather than emotional empathy ability.

성과 연령에 따라 청소년의 문화성향과 자의식적 정서가 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olescents' Cultural Disposition and Self-Conscious Emotion on Empathy According to Gender and Age)

  • 한세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5호
    • /
    • pp.581-594
    • /
    • 2015
  •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adolescents' cultural disposition and self-conscious emotion on empathy according to gender and age.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385 adolescents in Chungbuk province.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adolescents who perceived high collectivism showed a high ability on perspective taking. Additionally, girls who had high guilt showed a high ability on perspective taking. Sixth graders who had high guilt and low shame and eleventh graders who had high pride showed high ability on perspective taking. Second, boys who perceived high collectivism and guilt, and girls with high individualism, low shame, and high guilt showed a high ability towards fantasy. Sixth graders who had high individualism and guilt and low shame, eighth graders with high guilt and eleventh graders with high individualism, collectivism and guilt showed high ability towards fantasy. Third, adolescents with high collectivism showed high ability on empathic concern. Additionally, boys, girls, and eleventh graders with low shame and high guilt, and sixth graders with low shame showed a high level of empathic concern. Fourth, all adolescents with high guilt showed a high level of personal distress. Additionally, eighth graders with low individualism and eleventh graders with low pride showed a high level of personal distress. In conclusion, th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cultural disposition, self-conscious emotion, and empathy are different for gender and age group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