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Vocabulary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1초

다중지능발달을 위한 민속놀이 선정기준 연구 (Study on Guidelines for Selecting Traditional Games in Relation to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

  • 김은경;권대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229-248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 다중지능발달에 있어 민속놀이가 효율적으로 활용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유아교육 및 민속놀이 관련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다중지능발달을 위한 민속놀이의 선정기준을 마련한 것이다. 연구결과 언어지능에는 쓰기 듣기 말하기 단어습득-활용, 논리수학지능에는 전략 수세기 패턴 가설-검증 비교-대조 계산능력, 공간지능에는 그리기 색칠 표상활동 조작-만들기, 신체-운동지능에는 대근육 눈과 손의 협응 유연성 조절력 균형 순발력 근력, 음악지능에는 노래 악기연주, 대인관계지능에는 조망수용 역할분담 협동 토의, 개인이해지능에는 개인적 의미-연계 계획-결정 정서표현 문제해결 이타심, 자연탐구지능에는 생물 무생물 계절 일기 천체가 주요 요소로 포함된 문항들이 선정되었다. 또한 선정기준에 따라 민속놀이를 분석한 결과 각각의 민속놀이는 여러 지능에 해당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민속놀이가 유아의 다중지능발달을 도모하는데 있어 활용가치가 높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공감훈련프로그램 참여아동의 공감표현 변화과정 분석 (An Analysis on the Empathic Changing Process of the Members in Empathy Training Program)

  • 김미영
    • 초등상담연구
    • /
    • 제7권1호
    • /
    • pp.205-226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you have seen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xisting quantitative research and to put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to practical use for participating children. From looking into this, the changes in empathic understanding that came to light in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and children and children are sure to have that effect. For this work, I established the following subject of inquiry: What kind of changing processes can be seen in the empathic understanding of participating children in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To resolve the above line of inquiry, six female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hosen and they progressed through twelve sessions of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The children were given a sentence completion exam, recognition work, neat writing exam and a school adaptation exam both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making data for analysis. To analyze, first, participants had one or two meetings of forty to fifty minutes each. Progress through the program's curriculum was recorded and through the repeating and copying method, to be sure participating children's empathic understanding was revealed, empathic language and behavior was routinely chosen. Next, according the above criteria I looked into visible changes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s empathic expressions, classifying and analyzing changes in empathic understanding and six instances of common changes in the emphatic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s relationships were analyzed and put together. Next I will summarize the findings we have seen in this research: First, if we look into changes in common empathic understanding from the beginning, using the criteria of empathic language, each individual showed understanding at the beginning and passed and progressed through stages of care, insight and emotional expressions. Second, when we looked at the criteria of empathic behavior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ne's line of vision and ability to concentrate one's attention was connected. Next, the act of nodding one's head looked like a brief nod at first but at the end, it was not just a simple nod but rather they could feel deep empathy. The condition and substance of the facial expression was seen to match and at the very end the child was expressive and stretched out arms to hold and pat the other person and the act of holding hands could also be seen. Among lots of empathic behavior the final stage was shown by half of the children. Third, from the first stage to the last stage there were many cases revealed. The more the children went the more complete their empathic language became. Their vocabulary increased and became more diverse with empathic actions. Also, when comparing actions and expressions from the beginning with the end, visible expressions became more natural and sincere at the end. The result of the research we have seen is that through receiving experience of empathic understanding, participating children showed a sense of self-confidence and they looked to make peaceful expressions while not being aggressive or defensive about problems. In addition, from understanding empathic expressions, participating children's relationships felt closer. This outcome within this group in this case will be applied and the formation of empathic understanding can be used by the children internally to solve their own problems, acquire close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and others. It will also contribute to smooth classroom management.

  • PDF

오피니언 마이닝을 이용한 지능형 VOC 분석시스템 (Intelligent VOC Analyzing System Using Opinion Mining)

  • 김유신;정승렬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3호
    • /
    • pp.113-125
    • /
    • 2013
  • 기업 경영에 있어서 고객의 소리(VOC)는 고객 만족도 향상 및 기업의사결정에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이는 비단 기업뿐만 아니라 대고객, 대민원 업무를 처리하는 모든 조직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때문에 최근에는 기업뿐만 아니라 공공, 의료, 금융, 교육기관 등 거의 모든 조직이 VOC를 수집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VOC는 방문, 전화, 우편, 인터넷게시판, SNS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전달되지만, 막상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는 쉽지 않다. 왜냐하면, 고객이 매우 감정적인 상태에서 고객의 주관적 의사를 음성 또는 문자로 표출하기 때문에 그 형식이나 내용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고 저장하기도 어려우며 또한 저장하더라도 매우 방대한 분량의 비정형 데이터로 남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정형 VOC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VOC의 유형과 극성을 판별할 수 있는 오피니언 마이닝 기반의 지능형 VOC 분석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또한 VOC 오피니언 분석의 기준이 되는 주제지향 감성사전 개발 프로세스와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스템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의료기관 홈페이지에서 수집한 4,300여건의 VOC 데이터를 이용하여 병원에 특화된 감성어휘와 감성극성값을 도출하여 감성사전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구현된 VOC분류 모형의 정확도를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칭찬, 친절함, 감사, 무사히, 잘해, 감동, 미소" 등의 어휘는 매우 높은 긍정 오피니언 값을 가지며, "퉁명, 뭡니까, 말하더군요, 무시하는" 등의 어휘들은 강한 부정의 극성값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VOC의 오피니언 분류 임계값이 -0.50일 때 가장 높은 분류 예측정확도 77.8%를 검증함으로써 오피니언 마이닝 기반의 지능형 VOC 분석시스템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지능형 VOC 분석시스템을 통해 VOC의 실시간 자동 분류 및 대응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고객 민원에 대해 신속히 대응한다면, VOC 전담 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면서도 고객 불만을 초기에 해소할 수 있는 긍정적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VOC 텍스트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오피니언 마이닝 모형이라는 새로운 시도를 통해 향후 다양한 분석과 실용 프레임워크의 기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