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1초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간호사가 지각한 수간호사의 감성리더십의 매개효과 (Effect of Nurses'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Head Nurses'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Nurses)

  • 장문정;이은남;이용환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3-141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head nurses' emotional leadership as perceived by nur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278 staff nurses currently working at two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Korea. SPSS/WIN 21.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05. Results: Nurses'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job stress (r=-.31, p<.001) and emotional leadership of nurse managers as perceived by nurses (r=.53, p<.001). Also, head nurses' emotional leadership experienced by nurse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nurse managers' emotional leadership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head nurses' emotional leadership is very important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he hospital should offer education and training to booster head nurses' leadership by developing emotional intelligence to promote staff job satisfaction.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영향요인에 관한 경로분석: Lazarus와 Folkman의 스트레스-대처 모델 기반으로 (Factors Affecting Clinical Practicum Stress of Nursing Students: Using the Lazarus and Folkman's Stress-Coping Model)

  • 김성해;이주희;장미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37-448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a path model for the factors related to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um stress, based on Lazarus and Folkman's stress-coping model.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path analysis design. A total of 235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variables in the hypothetical path model consisted of clinical practicum,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Nun-chi, and nursing professionalism. We tested the fit of the hypothetical path model using SPSS/WIN 23.0 and AMOS 22.0. Results: The final model fit demonstrated a satisfactory statistical acceptance level: goodness-of-fit-index=.98, adjusted goodness-of-fit-index=.91, comparative fit index=.98, normed fit index=.95, Tucker-Lewis index=.92, and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06. Self-efficacy (${\beta}=-.22$, p=.003) and Nun-chi behavior (${\beta}=-.17$, p=.024) were reported as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clinical practicum stress, explaining 10.2% of the variance. Nursing professionalism (${\beta}=.20$, p=.006) and self-efficacy (${\beta}=.45$, p<.001) had direct effects on emotional intelligence, explaining 45.9% of the variance. Self-efficacy had indirect effects on Nun-chi understanding (${\beta}=.20$, p<.001) and Nun-chi behavior (${\beta}=.09$, p=.005) through emotional intelligence. Nursing professionalism had indirect effects on Nun-chi understanding (${\beta}=.09$, p=.005) and Nun-chi behavior (${\beta}=.09$, p=.005) through emotional intelligence. The variables for self-effica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explained 29.1% of the Nun-chi understanding and 18.2% of the Nun-chi behavior, respectively. Conclusion: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identify and manage factors that affect clinical practicum str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Nun-chi, self-efficacy, emotional intellig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strategy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간호사의 스트레스 반응, 즉시성, 감정지능이 융합적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Stress Response, Immediacy, Emotional Intelligence on Converged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 이정민;박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05-31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스트레스 반응, 즉시성, 감정지능이 융합적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B도시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없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180명의 간호사이다. 자료는 스트레스 반응, 계획성 부족, 감정지능, 간호업무수행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사의 감정활용(β=.31~.39)이 간호업무수행의 간호과정 기술, 지도력, 교육 및 협력관계에 미치는 가장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총 설명력은 48.2%였다. 그 다음 연령(β=-.29~-.30), 타인감정이해(β=.17~.23), 직위(β=.19)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정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과학영재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행동,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ived Parental Behavior,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채유정;이영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95-707
    • /
    • 2013
  • 본 연구는 과학 영재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영재교육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총 9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응답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2012년 3월,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부모양육행동 설문지를 학생들에게 배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영재학생들은 자아존중감에 해당하는 10개 문항 모두에서 4점 이상(그렇다)의 응답을 보였으며, 전체 평균이 4.36(SD= .546)으로 설문에 참여한 영재학생들은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서지능 요소 중 정서의 사고촉진, 감정이입 영역에서는 4점에 매우 근사한 결과를 보여, 학생들이 이 영역에서 본인의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아버지 양육행동에 대한 문항에서는 전체 평균이 3.89로 나타났으며, 그 중 가르침, 신뢰(불신), 존중, 세 영역에서는 4.0(그렇다)에 근접하였으나 관심 영역에서는 평균3.57로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평균은 4.10이었으며, 영역별로는 관심 4.31, 가르침 4.20, 존중 4.01, 신뢰(불신) 3.96의 순서로 평균점수가 높았으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지각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 자아존중감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해당하는 네 가지 영역(신뢰, 존중, 가르침, 관심) 모두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지능은 아버지, 어머니 양육행동의 네 개 요소 모두와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기분석 결과, 아버지의 양육행동 중 '존중' (${\beta}$=.422, p<.001)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신뢰' (${\beta}$=.450, p<.001)는 영재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양육행동 중 '가르침' (${\beta}$=.414, p<.001)과 '신뢰' (${\beta}$=.280, p<.01),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가르침' (${\beta}$=.450, p<.001)'과 '존중' (${\beta}$=.331, p<.01)이 영재학생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이 결론 및 논의에 제시되었다.

영재 아동의 정서적 특성에 관한 임상연구: 정신 건장을 위한 지도 (The emotional characeristics of gifted children: Suggestions for guidance of the gifted children's mental health)

  • 윤여홍
    • 영재교육연구
    • /
    • 제6권1호
    • /
    • pp.53-72
    • /
    • 1996
  • The present study dealt with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and emphasiz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as the meta-a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intellectual abilities. The emotional vulnerability of gifted children was also hscussed with endogenous and exogeneous problems, internal dyssynchrony, and social context. To find out the real chief problems the gifted children have, the contents of individual counselling with mothers of the gifted in KAGE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Lazarus' BASIC ID and DSM-IV dagnosis. Total 128 cases were analyzed. Among them, 61 cases were from elementary schoolers, however, percentile data showed the most, 34% of infant class aged 30 months - 48 months. Usually, the number of counselling in each person was 1, but 17 cases were done more than 3 times. And, 8 cases had experiences to visit the other counseling center or neuropsychiatric clinic. The categories of chief problems were 10: information about gifted program, behavior, affect, sensation, school and cognitive functions, imagery and self concept, interpersonal relationship, personality, mental illness, and others. Many problems in each category were listed. Finally,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several guidance plan possibly useful in the gifted education center for the purpose of prevention of emotional difficulties and support for the mental health, including professional personnel, child counselling, emotional education, and parent counseling & education.

  • PDF

간호 대학생의 감성지능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s of the Nursing Students)

  • 송현영;신소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628-640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대구 경북지역 간호 대학생 3,4학년 223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10월 19일부터 10월 30일까지 편의표집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감성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은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실시하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을 구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감성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의 차이는 t-test와 ANOVA를 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감성지능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감성지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은 정(+)적 상관성을 보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성별(${\beta}=-.155$), 취업률 동기(${\beta}=-.145$), 감성 활용(${\beta}=.236$), 감성조절(${\beta}=.197$), 타인 감성이해(${\beta}=.157$)가 유의미하였다.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학년(${\beta}=.273$), 취업률 동기(${\beta}=-.145$), 주위의 권유동기(${\beta}=-.138$), 감성조절(${\beta}=.223$)이 유의미하였다. 따라서 간호학과 선택 시 자신의 의지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학교나 가정에서 간호사의 역할이나 임무 등에 대하여 충분하게 조언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사과정에서 정서적 교육 등의 비중을 높이면 감성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다중지능과 사회적 적응행동과의 관계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s and Social Adaptability of Gifted and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진정환;이석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4-3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screte intelligences from multiple intelligence affecting the social adaptive behavior, help to understand their relation and draw educational implications to be used in supporting gifted students who have soci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and social adaptive behavior of 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both multiple intelligence and social adaptive behavio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ifted elementary students compared to general ones on all sub-factores, indicating that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are more adaptive in such constructs as self-efficacy, self-esteem, communicative skill, school life and interpersonal skill compared to general ones. Second, the association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and social adaptive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in 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dicating that the two constructs have close relation with each other. Third,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the logical-mathematical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s had explanatory powers for self-efficacy, self-esteem, communicative skill, adaptation in school life, interpersonal skill while, for the general ones, intra-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s had explanatory powers for most domains of social adaptive behaviors, indicating that development of intelligences affecting the social adaptive behavior many have positive effects on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both 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공감력, 4차 산업혁명시대에 무엇을 의미하는가? (Empathy, what does it mean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박민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16-21
    • /
    • 2019
  • This study deals with empathic concern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study, investigating emotional and empathic responses towards a situation of negative human-robot interaction, was conducted using mobile surveys and self-reports. In total, 116 subjects were recruited regardless of their disciplinary and demographic backgrounds. For data analysis, a mixed method was used. Results show that people differ in emotional and empathic responses in human-robot interaction. This individual difference was influenced by educational backgrounds and gender. Suggestions for engineering education were discussed.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감성지능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dental hygienis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김영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390-396
    • /
    • 2019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감성지능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9월 4일부터 12월 7일까지 전라북도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program을 활용하여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감성지능, 조직유효성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감성지능, 조직유효성의 차이는 t-test와 one-way ANOVA, 사후검증은 $Scheff{\acute{e}}$ test,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감성지능, 조직유효성 간의 상관관계에서 감성노동이 높을수록 조직유효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조직유효성(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회귀모형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38.917, P<.05),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58.2%였다. 독립변수 중 감정노동(${\beta}=0.608$)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최종학력, 임상경력, 감성지능이 치과위생사의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치과위생사의 조직유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감정노동을 줄이고 감성지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동물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심리적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 이소은;임휘윤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21-13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동물체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심리적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성, 연령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3, 4세아 70명이며 실험집단의 유아는 12회의 동물체험활동을 경험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정서지능, 심리적 건강성을 사전 사후 측정한 후 공변량분석한 결과 동물체험활동에 따른 실험효과가 나타나 정서지능 전체, 그리고 하위변인별로는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에서 동물체험활동을 경험한 집단의 정서지능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건강성의 경우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 4세의 심리적 건강성이 3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과 연령 간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 동물체험활동의 긍정적 효과가 3세보다 4세에서 더 뚜렷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