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31초

융합형 코칭이 감성지능과 커뮤니케이션 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현장실험연구 (A Field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Coaching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 조성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245-25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이 감성지능과 커뮤니케이션 역량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현장실험연구를 통해 밝히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충남 소재 4년제 대학교에서 코칭 교과목을 수강하면서 코칭을 받은 대학생 39명과 그렇지 않은 대학생 39명, 총78명이며, 분석도구는 감성지능 검사와 커뮤니케이션 역량 검사이다. 연구대상자들에게 9주 동안 코칭 교육을 하고 이어서 4주간 총4회의 코칭을 진행한 후, 대조군과 실험군의 코칭 전후의 감성지능과 커뮤니케이션 역량 측정치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코칭을 진행한 후에 실험군의 감성지능과 커뮤니케이션 역량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코칭이 사람들의 감성지능 수준 향상과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이 되는 유효한 도구라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코칭이 영향을 미치는 결과변수를 추가로 발견함으로써 코칭 연구의 진일보에 기여하고 있다.

간호학생의 감성지능, 대인관계 유능성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on Communication Skill of Nursing Students)

  • 우미영;배현지;홍성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01-408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에 재학 중인 187명의 간호학과 학생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11월 20일부터 2019년 12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감성지능은 7점 만점에서 평균 5.09점이었으며, 대인관계 유능성 점수는 5점 만점에 3.53점, 의사소통능력은 5점 만점에서 3.56점이었다.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성지능(β=.354,p <.001), 대인관계 유능성(β=.475,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감성지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감성지능과 대인관계 유능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치위생과 학생의 감성지능 및 자아탄력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ego resilience, stress in clinical practi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 강현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25-634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ego resilience and stress in clinical practi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and Duncan post-ho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The subjects were 278 dental hygiene students in a college in Gyeongsangnam-do from June 20 to 30, 2016. Results: Self-emotional appraisal $5.13{\pm}0.94$, Ego resilience $2.69{\pm}0.38$, practice education environment $3.45{\pm}0.65$ were above average. ego resil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dental hygiene students as a grade,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Stress in clinical practi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duration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with dental hygiene students as a grade,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main tutor in clinical practic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 that can help increase the emotional intelligence, ego resilience, and apply such program to the curricula.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도덕적 민감성이 돌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Moral Sensitivity on Caring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오은희;이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619-628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도덕적 민감성의 정도를 알아보고, 돌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1월 14일부터 23일까지 일개 도에 위치한 3개 간호대학에서 1학년부터 4학년 14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을 활용하여, 서술통계, 독립 t검정, ANOVA 및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감성지능은 돌봄효능감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구체적으로 감성활용(p=.005), 감성조절(p=.027), 타인감성인식(p=.037)이 영향을 주었으며 설명력은 26.2%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돌봄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 개인의 감성지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간호교육 및 교과의 콘텐츠 개발 필요성이 요구된다.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리더십 특성, 정서지능 비교 및 정서지능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Comparative Analysis of Leadership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Middle School Age and Emotional Intelligence's Effects on Leadership Characteristics)

  • 이영한;유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943-96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간의 리더십 특성과 정서지능을 비교하고 정서지능이 리더십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S시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 150명, 일반학생 130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간의 리더십 특성 총점 및 리더십 하위요인별 특성은 차이가 있었다. 일반학생보다는 과학영재 학생의 리더십 특성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리더십 특성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영재학생은 2개 하위영역에서, 일반학생은 1개 하위영역에서 여학생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간의 정서지능 총점과 정서지능 하위요인 중 '정서의 사고촉진 능력'과 '정서지식의 활용 능력'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영재학생, 일반학생 모두 1개 하위영역에서 여학생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의 리더십 특성과 정서지능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학영재 학생의 정서지능이 리더십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지능이 리더십 특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담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과 소진, 감성지능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Bullying in Workplace, Burnou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Korean Physician Assistant (PA) Nurses)

  • 임영순;김재희;권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703-713
    • /
    • 2016
  • 본 연구는 전담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과 소진, 감성지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로 5개 시, 도 소재의 19개 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전담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이 있는 전담간호사는 20.7%이었으며 직장 내 괴롭힘의 목격은 54.7%로 나타났다. 직장 내 괴롭힘은 2.14점(4점 만점), 소진 3.22점(7점 만점), 감성지능은 4.88점(7점 만점)으로 나타났으며 상관관계 분석결과 전담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이 높을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아졌고,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소진의 정도가 낮아졌다. 그러므로 전담간호사의 소진을 낮추기 위해 직장 내 괴롭힘을 감소시키고 감성지능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농촌다문화 초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Multicultural Prim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 이창식;박지영;임인택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4호
    • /
    • pp.881-904
    • /
    • 2012
  • 이 연구는 농촌 다문화 초등학교 학생들의 발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사회적지지 및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러한 변인들이 일반 및 다문화가정 학생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지지, 개방적 의사소통 및 정서지능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반면 정서지능과 부모-역기능적 의사소통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사회적지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정서지능은 농촌소규모 다문화초등학교 일반가정 및 다문화가정 학생 간에 차이가 없었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농촌다문화 초등학교 학생들의 정서지능은 친구지지와 가족지지가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대인관계형성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사회 인구학적 변인, 부부조망수용능력, 유아 대처반응 및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Impa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of Children: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Marital Perspective-taking Ability, Children Managing Respons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장윤희;문혁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3호
    • /
    • pp.179-19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nd analyze the effects of marital perspective-taking ability, managing responses of young childre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of children. The study subjects were young children aged from four to seven attending private kindergartens or public day care centers in Seoul or Kyeongki-do and their mot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First, marital perspective-taking abilities were indicated higher on boys than girls, children in a full-day program than those in a half-day program, university graduates or higher degree holders than collage graduates, single-income families than double-income families. In case of managing responses of young children, boys showed high avoidance of offensive disposition and girls showed high emotions dissipation. Also, young children in a full-day program showed non-responses on managing responses but high responses on emotions dissipation, and children of mothers with bachelor's degree or higher education showed support and children from double-income family showed no responses in high. Moreover,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in a full-day program was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in a half-day program,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were showed higher on girls than boys, half-day children than full-day ones, children from single-income family than those from double-income family. 2) Meaningful relationships were indicated between these variables; managing responses of young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by partly showing correlations. 3) Children in a half-day program with low in emotions dissipation, non-responses, offensive dispositional managing responses but high on Avoid,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hi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s on Their Leadership)

  • 김은경;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169-17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20개소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400명이다. 연구대상 유아의 담임교사에게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 및 리더십을 측정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측정도구의 문항신뢰도와 기술통계를 산출하고, Pearson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높게 나타날수록 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은 리더십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영향력에 있어 친사회적행동이 정서지능 보다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 리더십은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정서 사회성발달의 일부로 본 연구결과는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통해 리더십 발달을 지원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병원 병동간호사의 노인섬망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mong Ward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 박성숙;송민선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3-193
    • /
    • 2022
  •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nursing stress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mong word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8 to October 13, 2020,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185 ward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city D. A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nursing experience with these patients. Nurses' knowledg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lso,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nursing performance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ere emotional intelligence and knowledg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12.5%. Conclusion: For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by ward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geriatric delirium nursing education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knowledg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In addition, guidelines in considera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nurses should be included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