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Ambivalence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4초

성인초기 비장애형제자매의 부모화 경험이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과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Parentification of Early Adult Non-disabled Siblings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 손주희;박주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3호
    • /
    • pp.445-457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parentification on ambivalence over the emotional expression of early adults who had a sibling with disabilities and examined if rejection sensitiv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of parentific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Participants consisted of 116 siblings in early adulthood who had a sibling with disabilities (45 male; 71 femal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3 centers for family disability, four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three parent socie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ree self-help groups in Seoul, Busan, and Gyeonggi province. The level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parentification, and rejecton sensitivity were measured by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Questionnaire (King & Emmons, 1990), the Filial Responsibility Scale-Adult (Jurkovic, Thirkield, & Morrell, 2001), and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Downey & Feldman, 1996), respectively. The PROCESS Macro program examined the moderating mod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levels of parentificat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increased the level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of non-disabled siblings. In addition, rejection sensitivity moderated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The influence of parentification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as greater when the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was high, compared to when it was low.

대학생의 관계지향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적 역할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ociotrop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Interpersonal Problems)

  • 박지애;한세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5호
    • /
    • pp.135-15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otropy, a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A total of 248 college students (127 males and 121 females) living in Seoul and Gyonggi responded to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items related to sociotrop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 First, college students' sociotropy was correlated wi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It was suggested that people with high level of sociotropy experienced more emotional expressive conflict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an people with low level of sociotropy. Second,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otropy and move toward other people, one of the interpersonal problem's subtypes. Male college student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s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otropy and move against other people, one of the interpersonal problem's subtype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s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otropy and move away from other people, one of the interpersonal problem's subtype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different interpersonal problems appeared. This study's results may provide some important suggestions for interpersonal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by increasing understanding of multiple dimensions according to their internal tendenc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직장인의 정서표현 양가성이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on Interpersonal Stres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 이현주;정은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558-576
    • /
    • 2020
  • 본 연구는 직장인의 자기방어적/관계관여적 정서표현 양가성이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사회적 지지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8-9월에 걸쳐 직장인 4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AMOS, Mplu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비롯하여 매개효과 검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 모형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관계관여적 정서표현 양가성 모형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 모형과 관계관여적 정서표현 양가성 모형 모두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정서조절전략을 거쳐 가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직장인의 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수준을 높이고,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게 함으로써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낮추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간호대학신입생의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표현양면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College Student Adjustment in Freshman Nursing Students)

  • 김근면;차선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22-332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신입생의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표현양면성과 대학생활적응을 확인하고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 2곳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 신입생 159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5월 20일부터 6월10일까지 자료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생활적응은 정서주의와 정서명명과는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긍정표현에 대한 양면성과 부정표현에 대한 양면성과는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서주의였으며, 정서주의, 긍정표현에 대한 양면성, 부정표현에 대한 양면성, 정서명명은 대학생활 적응에 대해 31.8%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간호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해서 정서인식 및 정서표현양면성을 돕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상담군과 비상담군 아동의 어머니에게서 나타난 정서표현성, 정서표현양가성 및 의사소통유형, 양육행동의 차이 (A Comparative Study on Mothers in Counseling and Mothers in Non-counseling Groups :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ype of Communication, Parenting Behavior)

  • 오지현;조유진
    • 아동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95-208
    • /
    • 2009
  • This research was a comparative study of children's mothers in counseling and mothers in non-counseling (comparison) group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ype of communication and parenting behavior, Subjects were 91 mothers having counseling and 133 mothers in the non-counseling group.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Results showed that mothers in the non-counseling group reported more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than the counseling group. Mothers in the counseling group reported mor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more negative communications and more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an the comparison group.

  • PDF

간호대학생의 정서인식, 정서표현양면성, 정서조절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motional Awar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Style on Nursing Student Adjustment)

  • 박승미;김철규;차선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00-311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influence of emotional awar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style on nursing student adjustment. Method: One hundred and sixty nine nursing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from May to June, 2013.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AS v 9.3. Results: Ambivalence over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motivation of application for nursing-aptitude, emotional awareness-mood labeling, avoidant/distractive style of emotion regulation, and parents-both alive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 adjustment. The model explained 37% of variance in nursing student adjustme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grams for promoting mood labeling and reducing ambivalence over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avoidant/distractive style of emotion regulation are important for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aptitude test for nursing applicants can be considered.

대학생의 위험회피 기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의 이중매개효과 (The Effects of Harm Avoidance Temperament on Depression: Dual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Distress Tolerance)

  • 구민지;이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11-41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위험회피 기질을 가진 대학생들이 우울에 취약하다는 점을 확인하면서 그 과정에 정서표현 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이 매개변인으로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검증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403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TCI-RS, AEQ-K, DTS, CES-D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위험회피 기질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우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고통 감내력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정서표현 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은 위험회피 기질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질적 특성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 유현아;송원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61-168
    • /
    • 2018
  •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중부권에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 343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우울척도(BDI), 특질-상위 기분 척도(TMMS),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부적 상관을, 정서표현 양가성, 우울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를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이 우울해 하는데 있어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현적 자기애성향의 대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상담 개입방법과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내현적 자기애 특성이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 윤혜지;현명호
    • 스트레스연구
    • /
    • 제26권4호
    • /
    • pp.332-339
    • /
    • 2018
  • 본 연구는 20대 성인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만족도 사이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성인 남녀 1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관계적 특징에 따라 나누면, 윗사람을 제외하고 연인/배우자와 친구/동료 정서표현양가성이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만족도 사이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 만족감이 낮은 내현적 자기애자를 위한 개입 방향과 한계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맞벌이 가정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화 경험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과 외로움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Effect of Upper Elementary Children's Parentification on their Smartphone Dependency in Double-Income Familie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Loneliness)

  • 김두영;박주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459-474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the smartphone dependency of upp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ouble-income families and to verify whethe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loneliness sequen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smartphone dependency. The participants were 311 upper-elementary school students (4th to 6th graders; 126 boys, 40.5%) in doubleincome households resid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leted by the participants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Mplus 8.7 softwar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direct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the smartphone dependency of the children from double-income families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l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smartphone dependency, while loneliness did not. Lastly, parentification influenced smartphone dependency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ng channel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lonelines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terventions for smartphone-overdependent children from double-income families should place emphasis on children's psychological difficulties attributed to parentific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lleviating the level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loneliness to address the issue of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in double-income families, suggesting possible involvement and support at both household and societal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