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9.558

The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on Interpersonal Stres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Lee, Hyun-Joo (심리상담연구원 나무와 새)
Chung, Eun-Jung (명지대학교 상담심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hen office worker's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influences on interpersonal stres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22 office workers from August to September of 2018. SPSS, AMOS and Mplus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verif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ediated effec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of self-defense model,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relational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model. In both self-defense and relational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model, double mediation effect of passing through support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and interpersonal stress was significant. This study sought ways to reduce interpersonal stress by increasing the level of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using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for office workers.
Keywords
Ambivalence of Self-defense; Relational Ambivalence; Social Suppor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terpersonal Str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I. M. Katz and J. D. Campbell,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well-being: Nomothetic and idiographic tests of the stress-buffering hypothe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7, No.3, p.513, 1994.   DOI
2 김미정, 기혼 취업 여성의 정서표현 양가성이 일-가족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부부친밀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 N. Garnefski, V. Kraaij, and P. Spinhoven,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0, No.8, pp.1311-1327, 2001.   DOI
4 엄정은,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5 설정훈, 해군 장병의 스트레스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6 장미조,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7 오순옥,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8 B. Marroquín, "Interpersonal emotion regulation as a mechanism of social support in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31, No.8, pp.1276-1290, 2011.   DOI
9 백종철,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태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위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0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11 김연수,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12 김소희,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3 안현의, 이나빈, 주혜선,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K-CERQ)의 타당화," 상담학연구, 제14권, 제3호, pp.1773-1794, 2013.   DOI
14 김종석, 중등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효과와 학교급별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5 박경애, 이재규, 권해수, 대인관계향상프로그램,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8.
16 C. L. Cooper, "Sources of managerial and white collar stress," Stress at work, pp.56-81, 1978.
17 M. T. Matteson and J. M. Ivancevich, Managing job stress and health, Collier Macmillan, 1982.
18 오영아, 제조업 근로자의 작업조건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요인 분석을 통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근로자 건강 실태 조사를 기초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9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No.4, p.422, 2002.   DOI
20 J. Gaines and J. M. Jermier, "Emotional exhaustion in a high stress organ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6, No.4, pp.567-586, 1983.   DOI
21 D. P. MacKinnon, C. M. Lockwood, J. M. Hoffman, S. G. West, and V. Sheets,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Psychological Methods, Vol.7, pp.83-104, 2002.   DOI
22 S. G. West, J. F. Finch, and P. J. Curra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 and rem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Newbury Park, CA: Sage, 1995.
23 이지현, 김수영, "문항묶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5권, 제2호, pp.327-353, 2016.
24 T. D. Little, W. A. Cunningham, G. Shahar, and K. F. Widaman, "To parcel or not to parcel: Exploring the question, weighing the merits," Stu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9, No.2, pp.151-173, 2002.   DOI
25 J. M. Kishton and K. F. Widaman, "Unidimensional versus domain representative parceling of questionnaire items: An empirical ex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54, No.3, pp.757-765, 1994.   DOI
26 J. C. Anderson and D. W.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m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No.3, pp.411-423, 1988.   DOI
27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1.
28 L. T. Hu and P. M.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d in structure modeling: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Vol.6, No.1, pp.1-55, 1999.   DOI
29 박광희, "호텔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감정고갈에 미치는 영향: 상사 및 동료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31권, 제12호, pp.147-164, 2019.
30 J. F. Hair, W. C. Black, B. J. Babin, and R. E. Anderson,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10.
31 이정미, 최환규, "일과 삶의 균형 지원 조직문화가 일과 삶의 균형을 매개로 직장인의 안녕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연령대별 다중집단분석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32권, 제1호, pp.1-27, 2019.   DOI
32 박시현, 연문희, "집단상담: 의사소통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연구-기업장면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0권, 제2호, pp.887-910, 2009.
33 김희숙, 박경란, "MBTI 활용 대인관계향상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자존감, 대인관계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19권, 제3호, pp.261-270, 2010.
34 https://www.fnnews.com/news/201708090858017568
35 안선경, 정여주,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제3호, pp.719-741, 2016.
36 L. A. King and R. A. Emmons,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No.5, pp.864, 1990.   DOI
37 R. A. Emmons and P. M. Colby, "Emotional conflict and well-being: Relation to perceived availability, daily utilization, and observer repor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8, No.5, p.947, 1995.   DOI
38 최해연, 민경환,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1권, 제4호, pp.71-89, 2007.   DOI
39 이경희, 김봉환, "정서표현 양가성과 정서조절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2호, pp.369-384, 2010.
40 장정주, 김정모, "정서적 지각, 표현, 및 정서표현 에 대한 양가성과 대인관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3호, pp.697-714, 2008.
41 정경아, 정서표현 양가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2 권보정, 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43 오충광, 정남운, "정서표현갈등과 상담자 지각이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13권, 제1호, pp.115-136, 2007.
44 안희애, 애착과 정서표현갈등에 따른 대인관계 특성,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45 신윤정,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 스트레스간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243-263, 2014.
46 정은미, 대학생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의사소통 유형이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47 권진희, 김해란, "단절 및 거절도식과 대인관계 문제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부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제15권, 제1호, pp.13-24, 2017.
48 장은용,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대인불안과의 관계에서 정서경험(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제1호, pp.286-286, 2013.
49 전인수, 대학생의 정서표현 양가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50 강은정, 대학생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평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51 이수진, "사회소속감이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논총, 제27권, pp.67-87, 2008.
52 C. R. Rogers, A way of being.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1980.
53 D. M. Mackin, G. Perlman, J. Davila, R> Kotov, and D. N. Klein, "Social support buffers the effect of interpersonal life stress on suicidal ideation and self-injury during adolescence," Psychological medicine, Vol.47, No.6, pp.1149-1161, 2017.   DOI
54 홍구표,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1호, pp.34-67, 2017.
55 J. S. House,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 Addinson-Wesley, 1981.
56 김은정, 중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과 대인관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57 박정석,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신체화증상의 관계에서 신체증상귀인의 조절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