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talented and gifted students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5초

제주지역 초등정보영재 교육 운영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Jeju Area)

  • 김종훈;변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8호
    • /
    • pp.144-156
    • /
    • 2006
  • 우리나라가 21세기 첨단지식기반의 정보화 세계화 사회에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고급 인적자원을 조기에 발굴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보과학영역에서의 영재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국가적인 차원에서 고도의 정보사회에 부응할 수 있게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및 여러 영재교육기관에서 정보과학 영재를 선발하여 교육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대학부설 과학 영재교육원과 다른 영재교육기관에서의 초등정보영재 교육 운영에 대한 제주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을 토대로 보다 더 나은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른 영재판별의 차이 (Difference on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by Level of Percep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 고민석;박병태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427-447
    • /
    • 2011
  •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초등학교 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영재 판별 및 추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라 영재 판별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영재관련 경험에 따라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재직무연수를 이수하였거나 관찰추천을 담당하는 교사의 영재판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일반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교사들은 영재판별척도로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를 가장 높은 판단 기준으로 여겼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학부모 추천 및 동료 추천에 대한 교사들의 영재판별척도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학습능력, 창의성, 리더십, 학습동기 및 태도에 비해 낮았으며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 집단이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 영역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S 언플러그드 교육이 영재학급 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S Unplugged Education on the Computational Thinking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 이재호;윤은혜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6권2호
    • /
    • pp.77-8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CS 언플러그드 교육이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용인시 소재 D초등학교의 5학년 영재학급 학생 17명을 대상으로 10차시의 CS 언플러그드 수업을 진행하였고, 학생들의 사전·사후 설문, 수업일지 및 학생활동지, 학생 면담 기록을 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사전·사후 컴퓨팅 사고력 검사를 실시하여 보조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S 언플러그드 교육은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 시키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둘째, CS 언플러그드 교육이 컴퓨팅 사고력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가져오지는 못했다. 셋째, CS 언플러그드 교육은 영재 SW 교육과정의 첫 단계로 제시하기 적합하다.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작은 생물'에 대한 오개념 연구 (A Study on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Misconceptions regarding 'Small Living Things')

  • 김세욱;홍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spc5호
    • /
    • pp.485-494
    • /
    • 2007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proportion of misconceptions and the reasons for selecting responses related to questions about small living things between talented and average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made up of three groups. They were a class of 37 talen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attending J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 class of 37 talented students in science attending J City Office of Education, and a class of 33 average students attending J City.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20 test questions for examination of concepts related to small living things.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a statistical program.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In general, the level of the scientific concepts possessed by the talented student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average students, especially in question 14. The reasons for the misconceptions which were revealed through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vagueness of the language used, hasty decision and deduction making, using the wrong analogical inference, mass communications (TV or internet) and experimental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In terms of the reasons for the selection of a given response, the talented students had also a higher frequency in the 'science books for children' category than the average students, indicating that various kinds of science books for children have an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concepts on small living things. The misconception proportion of male students was 5.4%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mean frequencies of all question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question 4. Data from this study may help teachers involved in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to reconsider their conceptions on small living things.

  • PDF

수학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급 학생들의 통계적 사고 수준 비교 연구: 변이성 모델링과 표집분포 이해 능력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Mathematically Talented Students and Non-Talented Students' Level of Statistical Thinking: Statistical Modeling and Sampling Distribution Understanding)

  • 고은성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503-52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모델링과 표집분포 이해 능력을 중심으로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 들의 통계적 사고 수준을 비교한다. 연구결과 통계적 모델링에 대한 사고 수준에서 초등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그리고 중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표집분포의 이해에 대한 사고 수준에서 초등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수준별 빈도를 조사한 결과 수학영재학생들의 사고 수준이 상위 수준에 집약되어 분포하기보다는 일반학생들의 사고 수준이 상당부분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수학영재학생들에게 통계를 지도하는 데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 Case Study on Gifted Education in Mathematics

  • Kim, Soo-Hw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5권2호
    • /
    • pp.87-98
    • /
    • 2001
  • The Center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CSGE) of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1998 with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Korea. Science & Engineering Foundation (KOSEF). In fact, we had prepared mathematics and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beginning in 1997. It was possible due to the commitment of faculty members with an interest in gifted education. Now we have 5 classes in Mathematics, two of which are fundamental, one of which is a strengthened second-grade class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one a fundamental class, and one a strengthened class for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Each class consists of 16 students selected by a rigorous examination and filtering process. Also we have a mentoring system for particularly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We have a number of programs for Super-Saturday, Summer School, Winter School, and Mathematics and Science Gifted Camp. Each program is suitable for 90 or 180 minutes of class time. The types of tasks developed can b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discussion, open-ended problem solving, and exposition and problem solving tasks. Levels of the tasks developed for talented elementary students in mathematic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grade 5 and under, grade 6, and grade 7 and over. Types of the tasks developed can b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discussion, open-ended problem solving, and exposition and problem solving task. Also levels of the tasks developed for talented elementary students in mathematics can be divided into the level of lower than grade 5, level of grade 6, and level of more than grade 7. Three tasks developed and practiced are reported in this article.

  • PDF

초등과학영재아동과 일반 아동 부모의 학습관여와 지적호기심 및 과학창의성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and Children's Intellectual Curiosity and Scientific Creativity of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Science and General Students)

  • 오종석;이형철;유병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1119-1128
    • /
    • 2014
  •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each factor after finding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science and general students with their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the children's intellectual curiosity and scientific crea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in the followings.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llectual curiosity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perceived by the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Thir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ientific curiosity of the gifted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Forth, as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talented child's father's learning involvement, the child's intellectual curiosity and scientific creativit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pursuit for appropriateness and the talented child's special curiosity, and anothe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ther's encouragement for academic improvement and the child's flexibility and originality.

초등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의 한 방안: 현미경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Elementary Science: Focused on Microscope)

  • 홍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279-28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and program for the gifted-in-science. The teaching material for the gifted students was focussed on microscope.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steps according to the enrichment triad model of Renzulli. Firstly, the gifted students investigate and express themselves for theological backgrounds, for examples, kinds, structure and use in various ways of microscope. It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ideas and interest which help students have the appropriate microscopic conceptions. In the second step, it contains understanding of a term and function of microscope, making of simple microscope, principle of a statue focusing and size estimation of an outline of subjects by scientific investigation activity. Lastly, it focussed on enlargement of post-learning through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 with inter-science and experiments using microscop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is study may help teachers reconsider scientific program development for the gifted or enriched students and to be successful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es.

  • PDF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귀인성향과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Relation between Attribution Style of Elementary Gifted and Talented in Information and Their Attitude to Information Science)

  • 이재호;정누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547-563
    • /
    • 2015
  • 본 연구는 성별, 학년, 영재교육기간에 따른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와 귀인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고, 귀인성향,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 ICT 역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정보과학영재 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귀인성향의 차이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내적성향이 더 높았고 외적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학년이 6학년보다 내적, 외적성향 모두 점수가 높았고 1년과 2년 이상 교육받은 학생들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서 남녀 간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5학년이 6학년보다 몇 가지 요인에서 점수가 높았다. 영재교육기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귀인성향은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와 내적성향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외적성향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ICT역량의 하위요인인 ICT 원리에 대한 이해는 내적 성향과, SW코딩 능력은 외적성향 중 과제곤란도 요인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ICT 역량의 몇 가지 하위요인과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의 하위요인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시사점은 여학생들이 정보과학의 성취결과를 노력 귀인에 더 많은 비중을 부여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고학년 학생들에게 정보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하다. 그리고 정보과학영재의 선발 과정에서는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 역시 선발 요인으로 비중 있게 고려해야 하며 정보과학학습에 대한 노력에 가치를 두도록 장려할 필요가 있다.

초등정보영재 교육과정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Gifted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Curriculum)

  • 전우천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347-368
    • /
    • 2010
  • 현대는 지식 정보화 사회이며 한 나라를 이끌어 갈수 있는 원동력은 지식기반의 산업의 육성에 달려 있다. 또한, 개인의 경쟁력 측면에서도 정보화 능력 및 정보통신기술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지식 정보화 사회를 이끌어 갈 정보영재의 발굴과 교육은 더욱 중요하다. 현재 정보영재교육은 사교육과 공교육 현장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초등학교 정보영재교육과정의 현황을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중심으로 분석하고, 정보영재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다양한 관점에서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