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검색결과 1,173건 처리시간 0.023초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초등학교 수준별 독후활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eveled Post-Reading Activities Using Multimedia Technology for Elementary School)

  • 노정현;마대성;김정랑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78-85
    • /
    • 2005
  • 초등학교 학생들의 독서능력과 수준을 고려한 독서교육을 위해 본 연구진이 선행연구로 개발한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수준별 독서지원 시스템에서는 학생들의 독서능력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지, 독서능력에 알맞은 도서 및 독서방법 안내,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감상표현활동 등을 개발하였다[4]. 그러나 독서교육 방법과 도서는 수준별로 제시하여 주었으나 독후 활동은 수준에 관계없이 동일한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수준에 알맞은 독후 활동의 어려움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7차 초등학교 국어과 하위목표와 교육부 ICT 기준안을 고려하여 독서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학생들의 독서능력에 알맞은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수준별 독후활동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PDF

Skemp 이론을 적용한 웹기반 학습도구 구현 및 초등학교 수학 교육의 곱셈과 나눗셈 영역으로의 적용 (Implementation of Web-based Learning Tool using Skemp's Theory and Its applications to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perations in Elementary School Math Education)

  • 송의성;박은경;박소영;길준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17-525
    • /
    • 2010
  • 기존의 Skemp 이론을 기반으로 한 놀이 학습은 오프라인 상에서만 이루어져서 학습지 제작의 번거로움, 학업 성취수준 파악 및 피드백과 보상의 어려움 등이 그동안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kemp의 놀이 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웹기반 학습도구를 개발하여 초등학생들이 웹 환경에서 쉽게 곱셈 및 나눗셈 연산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한 웹 학습도구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 성취도 조사를 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개발된 도구를 활용한 웹 기반 학습이 기존 교육과정 기반의 학습보다 곱셈과 나눗셈 연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함을 보여주었다.

  • PDF

초등 컴퓨터 프로그래밍 관련 창의성 교재 개발 방안 (Method of Developing the Teaching material about Computer Programming For Improving the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 정원희;김종진;김종훈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97-205
    • /
    • 2004
  • 요즘 과학, 수학 교과 등은 기초 교육 강조는 물론 창의성 교육에까지 관심을 가지고 있다. 7차 교육과정의 등장과 사회의 변화 흐름을 통해 '창의성'이 강조되고 있고, 교육에서도 창의성 교육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컴퓨터 교육 현황을 살펴보면 창의성과는 거리가 멀 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를 배우는데 도움을 주는 교과로서의 역할만을 하고 있다. 또한 컴퓨터 활용 교육이 이루어짐에 따라 저학년에서 고학년까지 유사한 내용의 교육을 반복해서 받는 경우가 생기고, 특히 5, 6학년은 실과 시간과 재량 시간의 교육 내용이 서로 중복되어 교육 효율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기초를 다지는 시기인 초등학교에서부터 창의적인 컴퓨터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초등학교 수준에 맞는 프로그래밍 관련 교육을 살펴보고, 초등 컴퓨터 창의성 향상 교육을 뒷받침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관련 교재 개발 방안을 제안한다.

  • PDF

초등학교 소프트웨어교육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내용체계 및 교과 편성의 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System and Curriculum Design to Evolve the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박판우;신승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273-28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컴퓨터교육의 국가적인 추진 경과를 분석하여 시기별 추진 주체와 주요 내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2015개정교육과정을 통해 적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교육의 제한점과 차기교육과정 개정 논의에서 반영되어야할 시수와 내용체계를 비롯하여 교수학습내용의 위계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사실상 1995년부터 본격적인 컴퓨터교육이 추진되었다는 점에서 세계적으로 선도적으로 시행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 개정된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컴퓨터교육을 통한 미래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교육에서의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다만,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한 문제해결력 신장뿐만 아니라 컴퓨팅에 대한 소양능력을 강화하여 균형있는 컴퓨터교육의 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추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충분한 시수가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전통 민속놀이를 이용한 초등학교 언플러그드 컴퓨팅 교육-윷놀이를 중심으로 (Unplugged Comput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Traditional Folk Game-based on Yutnori)

  • 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621-628
    • /
    • 2019
  •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생들에게 컴퓨터 과학의 개념과 원리를 쉽고 재미있게 배우며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언플러그드 컴퓨팅 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윷놀이는 우리나라만의 전통 보드게임으로서, 우리민족의 역사, 문화, 과학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어 학습자의 문화적 정체성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고, 구성원 간의 협동심과 소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어서 효과적인 언플러그드 컴퓨팅 교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소프트웨어교육과 융합교육에 윷놀이가 언플러그드 컴퓨팅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전통 보드게임 윷놀이는 순차, 선택, 반복 알고리즘 요소와 더불어 태양과 천체운행을 놀이로 학습할 수 있는 요소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문화를 적용한 언플러그드 활동 윷놀이는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과 의사소통역량, 공동체역량을 함께 신장 시킬 수 있어서 창의융합인재를 양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용 프로그래밍 도구 활용의 정보과학교육을 통한 초등학생의 정보과학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 in elementary-school students' recognition on CS education according to CS education with application of Education Programing Tool)

  • 심재권;김자미;이원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85-393
    • /
    • 2010
  • 초등 정보교육은 2000년의 정보통신기술 교육운영지침이 근간을 이루고 있다. 2005년 이후 개정을 통해 활용중심의 교육에서 정보과학 중심으로 교육의 초점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교과의 방향에 대한 인식이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도구 활용에 대한 효과 검증이 진행되었으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는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정보과학에 대한 인식을 검증하고자, 12차시에 걸쳐 정보과학 내용인 언플러그드 학습, 스크래치, 로봇 프로그래밍을 교육하였다. 교육 후, 실험집단 31명, 통제집단 45명을 대상으로 정보과학에 대한 인식 비교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 정보과학 교육에 대한 흥미 및 만족도, 자신감 그리고 정보과학 교육의 가치 변인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을 토대로 할 때, 활용 중심의 정보 교육보다는 사고력 향상 중심의 교육을 통해 정보과학 교육의 기본 가치를 높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초등학생을 위한 융합활동-로봇분야 교육과정 모델 개발 (A Development of Robot and Convergence Activity Curriculum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81-488
    • /
    • 2015
  • 최근에 초등학교에도 융합 인재 교육 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교육현장에서는 로봇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융합활동 영역의 로봇분야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로봇 교육과정은 반복적이고 점진적으로 학습이 가능하도록 교육내용 체계를 7단계의 무지개 색깔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 2개씩 총 14개의 성취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는 무학년제로 단계별 학습내용을 이수하면 상급 단계로 진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로봇교육과정을 토대로 교재와 콘텐츠를 개발하여 일선학교현장에 제공한다면 초등학교 로봇교육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수학급 공간구성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의 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ecial Teachers' Attitude toward Classroom Layout for Special Students)

  • 강병근;성기창;김진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51-58
    • /
    • 2009
  • These days the trend of special education is changing from special school-based education to special class room based education, and from separated education to integrated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change, special classes should be planned for multi purposes so that the class room can be used for the place of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job education. This research surveyed the special teachers working for 937 schools which have special classes(elementary 631, middle 217 high school 89). The result of this survey shows the different respon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chools. For education activitie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put emphasis on curriculum rather than guidance. High education, elementary school should have the places for teaching and learning, student management, play ground. Middle schools give priority to the places for individual learning, computer and practical training. High schools value the places for job education and practical training above for learning.

  • PDF

초등 예비교원을 위한 교양수준의 정보교육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Informatics Curriculum(Plan) for General Education Level in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 안영희;김자미;우호성;양혜지;김민정;정다윤;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1-30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원들이 정보교육에서 갖추어야하는 교양 수준의 정보교육과정(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 고등교육과정 표준인 CS2013을 비교 분석하여 내용과 수준을 마련하였다. 둘째, 고등교육과정 표준인 J07-GE 분석과 중등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과목을 구성하였다. 셋째, 과목과 영역, 내용 체계구성 등을 고려하여 전문가 검토를 통해 과목명을 정하였다. 전문가의 의견 분석 결과, 정보 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컴퓨터과학의 관점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컴퓨터과학 I, 컴퓨팅시스템의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는 영역으로 컴퓨터과학 II, 데이터 관리를 포함한 패턴이나 관계를 파악하는 데이터관리 및 분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교원의 기본 역량 강화를 바탕으로 하는 문제해결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고등학교 정보과목에 대한 계속성과 계열성을 고려하여, 교양수준의 과목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초등학생의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Virtual Reality Content Production Education)

  • 남충모;김종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3-40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업에 가상현실을 도입하고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하는 교육을 통해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을 수업을 진행한 반과 적용하지 않은 반의 수업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 A. P. 설문조사지를 작성하였고, 설문 진행 후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가상현실 콘텐츠 저작도구로는 코스페이시스를 활용하였다. 블록리(blockly) 기반 프로그램으로 코딩을 할 수 있어 학생들이 기능을 익히기에 어렵지 않았다. 현장 분석 결과 실천 영역에서 성과가 나타났다. 이 수업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가상현실을 활용한 수업을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하고 연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