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first and second grades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33초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Career Education Program with Families on the Career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장옥수;조붕환
    • 초등상담연구
    • /
    • 제10권2호
    • /
    • pp.223-236
    • /
    • 2011
  • 본 연구는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S초등학교 4학년 2개 반 60명(실험 30명, 통제 30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이 통제집단 학생에 비해 진로인식이 향상되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진로인식의 사전 사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사후검사 점수를 비교하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의 하위요소인 자기이해, 직업세계 인식, 진로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 PDF

초등학교 3, 4학년 체육교과서에 담긴 무용 활동 창의성 교육 내용분석 (Analysis of Dance Activities Creativity Education Contents Contained in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or 3rd and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장병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46-260
    • /
    • 2022
  • 이 연구는 초등학교 3, 4학년 체육교과서 무용 활동의 창의성 교육 내용을 분석하기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3, 4학년 체육과 검정교과서 16종과 보조자료를 수집하였으며 4P 모형에 기반한 체육교과서 창의성 교육 내용분석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협의를 운영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사람 관점에서 창의적 심성에서는 '탐구심'이 가장 많았으며 나머지 요소들은 비교적 골고루 나타났다. 활동 주체는 '개인'과 '동료(팀)'가 비슷한 빈도를 보였다. 둘째, 창의적 과정 관점에서 활동 영역은 모두 '학습'으로 나타났고 활동 목적은 대부분의 요소들이 골고루 나타났으며 창의적 과정이 활용되는 모습이 탐색되었다. 셋째, 창의적 산출물 관점에서 활동 방식은 신체활동수행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2~3개의 활동 방식이 함께 쓰이고 있었다. 창의성 요소는 모든 요소가 골고루 나타난 가운데 민감성과 정교성이 4개로 가장 많았다. 넷째, 창의적 환경 관점에서 활동 공간은 제약 없음이 대부분이었으며 활동 매체는 신체를 활용한 교육 내용이 많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무용 활동의 창의성 교육이 양적으로 확대되고 질적으로 심화되어야 함이 요구되었고 무용 활동의 창의성 교육 내용이 타영역으로 확산되어야 할 필요성이 탐색되었다.

자아강도와 학교 적응이 학령기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go Strength and School Adjustmen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School-Aged Children)

  • 김세영
    • 아동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1-127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go strength and their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levels. For this purpose, 4,765 4th-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surveyed by means of a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all the grades, a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children's ego strength and their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levels. Second, ego strength was found to be a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directly through the medium of school adjustment. Third, the relation model between the variables differed according to grade. That is, the direct effect of ego strength on life satisfaction was stronger in the high grades, and the level of school relationship adjust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s a factor of life satisfaction in 4th graders, whereas it did not in the case of 5th and 6th graders.

초등학교 저학년 컴퓨터 교과서 목표.내용 및 평가의 분석 (Analysis of Objects, Contents and Formative Evaluation for Computer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Grades in Korea)

  • 이재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67-7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초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15종의 컴퓨터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과서의 장점 및 개선점을 알아봄으로써, 교사들의 교과서 사용에 도움을 주고, 앞으로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초등학교 1 2학년 15종의 컴퓨터 교과서에 대하여 목표, 내용, 평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평가 기준을 정하고, 이 평가 기준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평가기준은 Schmidt의 일반 교과서 평가 기준과 교육인적자원부의 중등 컴퓨터 교과서 심의기준을 참조하여 평가기준을 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목표는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단원 마다 명확히 제시하고 있으며, 학교와 개인의 목적에 부합하고 있다. 내용은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적합하며, 정확하고 사실적이었다. 그리고 본문과 삽화도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일부 교과서는 초등학생 수준을 고려할 때 내용 및 학습량이 매우 많았다. 그리고 많은 교과서에서 자신의 성취도를 확인하는 형성 평가의 내용이 없었다.

  • PDF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보건교육 내용 분석 (An Analysis on the Health Education Content Suggested in the 7th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 김가옥;박영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9-5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necessary fundamental data in composing a systematic text content of the public health by analyzing each text, domain, and teaching contents suggested in the textbooks as well as teachers' guides of the 7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curriculum, while the study subjects were as follows. 1. The health education content suggested in the 7th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examined. 2. The health teaching content of each textbook in the 7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as to be analyzed and examined. In order to resolve the above research issues, the physical, spiritual, and social domain along with the (1) Proper living habit, (2) Health and nutrition, (3) Sex education, (4) Prevention of the sense-organic diseases, (5) Cleanliness of food, (6) Oral hygiene, (7) Individual health and public health, (8) Safety in living, (9) Abuse and usage of medication, educational content suggested in the 7tand (10) Environment pollution focused around the health of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curriculum was analyzed and its outcome was as below First, compared with the 6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curriculum, the health content suggested in the 7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curriculum was decreased. Second, although each grade's teaching content of the health domain in the physical education was considered in its structure following after the according systems, they were preponderant in partial subjects such as the safety in living, nutrition, proper living habit, sport, and health in sport. oo. Third, the health education content was organized in 4 units such as the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prevention of diseases, safe living, and leisure living(leisure, spiritual health, and etc.) for the 3rd and 4th grade. Then, as for 5th and 6th grade, it was organized in 3 units such as the understanding the human body, prevention of disease, and leisure and safe living. Fourth, in the physical educational health domain, a strong point was constructed within the physical, spiritual, and social areas of the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Fifth, the number of the public health education contents directly related with the health education was 43 as with 25 indirect contents. Sixth, each grade's domain unit structure of the public health content was heavy upon the physical and social area throughout every grade while in opposite, the spiritual domain' s unit structure was weak. In according to each grade, the physical domain was stressed in 4, 5, and 6 grades while the social domain was stressed in 1, 5, and 6 grades.

  • PDF

지속가능성 교육으로서 초등학교 환경교육 체계화 연구 (A Study on the Systematizing Environmental Course for Sustainabl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 최영분;민병미;최돈형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8권1호
    • /
    • pp.1-30
    • /
    • 2005
  • Environmental education as worldwide sustainable education is effective when it is carried out as early as possible. But we do not have any aims and textbook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ystematizing environmental syllabus as sustainable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ly, the meaning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sustainable education was conceptualized, secondly, the ai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set up, thirdly, domai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revised, and lastly, the syllabus for environmental instruction were created for each grade. Literature review was practiced over 143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from the 4th to 7th curriculum period.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s. First, environmental education as sustainabl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as conceptualized as an integrative education to keep the lifelong education and welfare. Second, the synthetic aim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sustainabl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as set up as 'cultivating desirable environmental people that behave for the sustainable future with environment-friendly value and attitude. Third, our environmental domains were divided into 11-12 independent areas, and ESSD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was located on the subcategory of environmental domain. These domains were revised into three environmental domains and five sub-domains. Fourth, according to the ai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sustainable education and five environmental domains, 253 objectives were established. Fifth, obj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of 10 subject matters and integrative objectives were presented. Sixth, based on the objectives of domains and subject matters, 255 content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ere abstracted and distributed to each grade in the consideration of balance among domains and appropriateness of grades. Seventh, analytic results of textbooks of 7th curriculum shows heavy stress on the 'knowledge perception' section and deficiency on the altitudes and behavior section. The environment-related level and contents overlapped and fragmented deeply. Furthermore, 33 parts of textbooks could bring to mis-concept on environment.

  • PDF

과학관련 태도, 과흥분성 및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 Correlation among Science-Related Attitude, Overexcitability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성환;강버들;유병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780-789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a correlation among science-related attitude, overexcitability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surveys were carried out for 276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5th and 6th grad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cience-related attitude, overexcitability,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eaningfully different on gender. boys'average was higher in science-related attitude than girls'. In the case of overexcitability, boys'average was higher in psychomotor and intellectual overexcitability than girls', while girls'average was higher in emotional and sensual overexcitability than boys'. According to the analysis for parents' 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girl students perceived that their parents more firmly controlled them as compared with boy student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conducting t-test for types of parents' 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students, boy students' average was meaningfully higher in the types of love-autonomy than girl student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love-autonomy type and hostility-autonomy type. Third, there showed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 and parents' rearing attitude in order of love, hostility, autonomy, and control type. There showed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 and intellectual, sensual, imaginational, psychomotor, and emotional overexcitability in order. Last,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effecting on science-related attitudes were intellectual overexcitability, love among the types of parents' 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students im order.

초등학교 1.2학년 컴퓨터 교과서 내용 선정 및 조직 분석 (Organizational Analysis of Computer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in Korea)

  • 이재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99-308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초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15종의 컴퓨터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과서의 장점 및 개선점을 알아봄으로써, 교사들의 교과서 사용에 도움을 주고, 앞으로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초등학교 1 2학년 컴퓨터 교과서 15종에 대하여 평가 기준을 정하여 분석하였다. 평가 기준은 기존에 개발된 Schmidt의 일반 교과서 평가 기준과 교육인적자원부의 컴퓨터 교과서 심의 기준을 참조하여 내용 선정 및 조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부분 교과서들이 활동 중심 학습, 문제 중심 학습 및 실습 중심 학습이다. 그리고 다양한 교수방법 및 활동을 제공한다. 그러나 협동 학습과 통합 학습 면에서 부족하다. 그리고 개별화 교수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심화 및 보충학습 제공도 미흡하다.

  • PDF

초등학교 교사의 2015 개정 과학과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분석 (Experience Analysis on the Selection of the 2015 Revised Science Authorized Textbook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채희인;노석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1호
    • /
    • pp.194-209
    • /
    • 2023
  • 본 연구는 과학과 검정 교과서를 선정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선정 주체인 교사의 인식 분석을 통해 과학과 검정 교과서 체제가 바르게 정착되고 발전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과 검정 교과서 선정 과정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 5명과 내러티브 면담을 진행하고, 3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제기된 교과서의 저자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사들은 '의견수렴' 단계가 가장 중요하다고 이야기하였으며, 경력과 전공을 고려하여 과학 교과서 선정협의회를 구성하였고, 학교의 상황에 맞게 평가기준표를 재구성하여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의견수렴 과정에서 교사별로 과학 교과서 전체를 검토하는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내적 요소로 탐구 활동과 교과서 구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외적 요소로는 동영상과 같은 교수·학습자료가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었다고 이야기하였으며, 교과서의 신뢰성과 전문성의 지표인 저자와 관련된 부분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셋째, 학교운영위원회 심의 및 학교장 보고의 경우 선정 이후 진행하는 행정적인 마무리 단계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3~4학년군 교과서와 5~6학년군 교과서를 임의로 통일하는 것 보다 학년군별로 가장 적합한 교과서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프랑스의 소프트웨어 교육 체제 분석을 통한 시사점 고찰 (A Study on the Implications through Analysis of Policy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France)

  • 배영권;신승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385-394
    • /
    • 2019
  • 1960년대부터 시작된 프랑스의 컴퓨터교육은 2018년이 되어 초중등을 아우르는 교육시스템이 완성되었다. 프랑스가 산업화된 이후 지금까지 약 60년을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핵심역량으로서의 컴퓨터교육에 대한 교수 학습방법과 체제 구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으며 크게 네가지의 시사점을 살펴볼 수 있다. 첫째, 학교 급별 위계를 토대로 달성해야할 각각의 성취목표를 설정하였다. 둘째, 프랑스의 컴퓨터교육의 전격적인 도입 및 확산을 위하여 교육과정이 발표된지 3년만에 컴퓨터교육의 도입이 완성되었다. 셋째, 컴퓨터 소양과 컴퓨터과학의 개념에 대한 균형을 토대로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 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넷째, 컴퓨터교육의 융합에 대한 내용은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다루도록 하고 학년 및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컴퓨터소양 및 컴퓨터과학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프로그래밍의 심화가 이루어지도록 제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