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icity Supply

검색결과 649건 처리시간 0.027초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시스템 실증 연구 (Demonstration study of desalination system with renewable energy)

  • 주홍진;황인선;주문창;곽희열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97.1-197.1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operating performances of the evaporation desalination system with solar energy. This system was designed to use evacuated solar collector as the heat source, supplying the required heat energy and photovoltaic power as the electric source, supplying required power to pumps in the desalination system. The 5kW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to make the electricity, the single-stage fresh water generator with plate heat exchanger, and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Solar desalination system was designed and installed in Jeju-island, Korea in 2006, after about 4 years of operation, usability and stability of solar desalination system was guaranteed. The system comprises of the desalination unit which was designed to have daily fresh water capacity of $2m^3$, a $120m^2$ evacuated tubular solar collector to supply the heat, a $6m^3$ heat storage tank, and a 5.2kW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to supply the electricity to hydraulic pumps for the heat medium fluids. On a clear day, average daily solar irradiance in Jeju-island was measured to be $500W/m^2$ and the daily fresh water yield showed to be more than 500 liters under this condition. After around three years of a long term operation of the system from January 2007 to August 2009, average daily freshwater yield was analyzed to be around $330{\ell}$. The relationship equation between solar irradiance and freshwater yield was found to be y=1.1806x - 107.89.

  • PDF

서울지역 고등학교 건물의 에너지소비특성에 관한 사례분석 (A Case Study for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Facilities in Seoul)

  • 김성범;오병칠;신우철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6권6호
    • /
    • pp.61-69
    • /
    • 2016
  • In this study, we analyzed five-year(2011~2015) data for D high school in Seoul area to analyze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in high schoo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result of comparison analysis about 2015 energy consumption by usage, based on primary energy, 18% of energy was consumed in cafeteria, and 82% was consumed in main building. In the case of main building, base and constant load excepting hot water supply in restroom took 40%, heating including freeze protection took 20%, hot water supply in restroom took 14%, and cooling took 8% in order. (2) In the 2015 total energy consumption in D high school based on primary energy, heating energy takes 28%. The range and limit of energy savings coming from the reinforcement of insulation and window performance could be estimated. (3) To introduce new & renewable energy system in high school, electricity-based system is suitable than heat-based system because usage of electric energy is larger than that of heat energy in high school. (4) Five-year energy consumption unit according to heating degree-day showed a linearly increasing trend,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was 0.9763, which means high correlation.

방사물 폐기물 관리 및 원자력 환경 기술 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요소 분석 (A Policy Study on the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 오세기;신영균
    • 에너지공학
    • /
    • 제11권4호
    • /
    • pp.370-379
    • /
    • 2002
  • 우리나라에서 전력 공급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원자력 발전의 중요성은 더 말할 나위가 없으나 방사성 폐기물 관리 시설의 운영 지연이 안정적인 원자력 발전에 저해 요소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정부 당국의 정책적 배려, 방사성폐기물 관리 사업 주체의 노력, 관련 기술의 축적에도 불구하고 방사성 폐기물관리 사업은 가시적인 진전이 없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는 과거 어느 때보다도 더욱 효율적인 정책 기획과 집행으로 방사성폐기물을 관리해야 하는 시점에 처해 있다고 할 수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과거의 정책을 평가하고 미래를 위한 새로운 방사성폐기물 관리 정책을 모색한 결과 연구 개발. 부지 선정. 시설 건설. 운영, 폐쇄 후 감시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정책의 최우선 기조를 관리시설의 장기적인 안전성 확보에 두고, 안전 규제 기관의 참여 하에 공개적으로 입지를 추진해야 하며, 방사성폐기물 관리 사업과 이해 관계가 상충되지 아니하는 중립적인 위치의 공공법인체가 범국가적 차원에서 연구개발 조정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요지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한국형 달 탐사용 원자력전지의 열제어 구조 연구 (Study on the Thermal Design of Nuclear Battery for Lunar Mission)

  • 홍진태;손광재;김종범;박종한;안동규;양동열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71-277
    • /
    • 2016
  • For a stable electric power supply in the space, nuclear batteries have been used as the main power source in a spacecraft owing to their long lifetime and high reli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plan for lunar mission in Korea, nuclear batteries will supply electricity to the rover that needs to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estimated payload,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started with the conceptual design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n USA and Russia. Because a nuclear battery converts the decay heat of the radioisotope into electricity, thermal design, radiation shield, and shock protection need to be considered. In this study, two types of nuclear batteries, radial type and axial type, were designed according to the alignmen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Heat transfer analyse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ir thermoelectric efficiency, and test mockups were fabricated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s.

가스정압관리소 기반의 복합에너지허브 기본설계 (A Basic Design of Multi Energy Hub Based on Natural Gas Governor Station)

  • 박소진;김형태;김진욱;강일오;유현석;최경식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1권5호
    • /
    • pp.405-410
    • /
    • 2020
  • In this literature, we are introduce a basic design of multi energy hub based on natural gas governor station. Multi energy hub consists of turbo expender generator, phosphoric acid fuel cell, pressure swing adsorption, H2 charging station, utilities and etc. We design a hybrid energy hub system that provides energy using these complex energies,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electricity that can be produced and the amount of hydrogen charged through the process analysis. TEG and phosphoric acid fuel cell produce 2,290 to 2,380 kW and can supply electricity to 500 houses. In addition, By-product H2 gas is refined to H2 vehicle fuel. This will help maximize the balance of energy demand and supply and improve national energy efficiency by integrating unused decompression energy power generation technology and various power generation/heat source technologies.

Electricity Generation by Microbial Fuel Cell Using Microorganisms as Catalyst in Cathode

  • Jang, Jae Kyung;Kan, Jinjun;Bretschger, Orianna;Gorby, Yuri A.;Hsu, Lewis;Kim, Byung Hong;Nealson, Kenneth H.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2호
    • /
    • pp.1765-1773
    • /
    • 2013
  • The cathode reaction is one of the most seriously limiting factors in a microbial fuel cell (MFC). The critical dissolved oxygen (DO) concentration of a platinum-loaded graphite electrode was reported as 2.2 mg/l, about 10-fold higher than an aerobic bacterium. A series of MFCs were run with the cathode compartment inoculated with activated sludge (biotic) or not (abiotic) on platinum-loaded or bare graphite electrodes. At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the current values from MFCs with a biocathode and abiotic cathode were $2.3{\pm}0.1$ and $2.6{\pm}0.2mA$, respectively, at the air-saturated water supply in the cathode. The current from MFCs with an abiotic cathode did not change, but that of MFCs with a biotic cathode increased to 3.0 mA after 8 weeks. The coulomb efficiency was 59.6% in the MFCs with a biotic cathode, much higher than the value of 15.6% of the abiotic cathode. When the DO supply was reduced, the current from MFCs with an abiotic cathode decreased more sharply than in those with a biotic cathode. When the respiratory inhibitor azide was added to the catholyte, the current decreased in MFCs with a biotic cathode but did not change in MFCs with an abiotic cathode. The power density was higher in MFCs with a biotic cathode ($430W/m^3$ cathode compartment) than the abiotic cathode MFC ($257W/m^3$ cathode compartment).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revealed nanowire structures in biofilms that developed on both the anode and on the biocathode. These results show that an electron-consuming bacterial consortium can be used as a cathode catalyst to improve the cathode reaction.

Post-2020 신기후체제의 발전부문 대응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Economic Effects of the Post-2020 Climate Change Mitigation Commitments: From the Generation Industry's Perspective)

  • 윤태식;이봉용;노재엽
    • 에너지공학
    • /
    • 제25권3호
    • /
    • pp.136-148
    • /
    • 2016
  • 본 논문은 최근 공표된 Post-2020 신기후체제의 국가적 대응에 따른 발전부문의 역할들을 시나리오로 설정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제시한 2030년 발전원별 추정 발전량에 IAEA에서 발표한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예측하여 발전부문에서 발생시키는 초과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초과 배출량 감축을 위해 세 가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원자력발전소로 대체, 신재생발전설비 확대, CCS 도입 등이다. 분석 결과 원자력 발전소 대체 시나리오가 배출량 감소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가장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제주지역 재생에너지 수용을 위한 HVDC 및 BESS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VDC and BESS Application for High Penet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 곽은섭;민재현;정호철;문채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339-1348
    • /
    • 2021
  • 재생에너지 출력제한은 송전용량과 전력계통 안정성 부족을 포함하여 다양한 원인이 있다. 제주도 지역에서는 태양광 및 풍력 발전설비의 증가로 이미 전력수요에 비해 공급이 많아지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풍력발전의 출력제한 횟수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전력공급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HVDC(고전압 직류)와 BESS(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 설비를 활용하여 재생에너지의 효과적인 수용과 전력계통의 안정적 운영 방향을 찾는 것이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는 각 설비들의 실질적인 운전방안을 제시하고 향후 태양광 및 풍력 발전설비의 확대에 따른 육지 전력계통의 운영 방향을 제안한다.

LCC기법을 통한 교육시설물의 유지관리비 변동범위 분석 (Variation Range for Maintenance Costs of Education Facilities Based on LCC Analysis)

  • 김용수;강현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72-79
    • /
    • 2010
  • 본 연구는 교육 시설물의 부위별(건물외부, 건물내부, 전기소화설비, 급수위생설비, 난방급탕설비) 유지관리비 변동범위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10년 이상 운영되고 있는 교육시설물 3곳을 사례대상으로 선정한 후 보수이력에 따른 유지관리비 지출 내역을 조사하였다. 이렇게 조사된 실행 유지관리비와 LCC 기법을 통해 분석된 추정 유지관리비의 비교를 통해 변동범위를 분석하였다. 유지관리비의 변동범위 분석은 확률적 기법인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방법에 의해 분석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 3곳의 부위별 평균 실행 유지관리비 분석 결과 총액 1,317백만원 대비 건물외부 19%, 건물내부 28%, 전기소화설비 22%, 급수위생설비 18%, 난방급탕설비 13%로 분석되었다. 둘째, 사례 3곳의 부위별 평균 추정 유지관리비 분석 결과 총액 1,920백만원 대비 건물외부 20%, 건물내부 25%, 전기소화설비 22%, 급수위생설비 20%, 난방급탕설비 13%로 분석되었다. 셋째, 사례 3곳의 부위별 실행 유지관리비 평균과 추정 유지관리비 평균에 대한 변동범위 분석 결과 평균 1,619백만원, 최소 1,409백만원, 최대 1,813백만원으로 분석되었다.

부위별 분류 체계를 통한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 분석 - 교육 시설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Actual costs and Maintenance costs for Elemental Classification hierarchy)

  • 강현욱;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42-150
    • /
    • 2010
  • 본 연구는 교육시설물의 부위별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BTL 사업으로 발주된 서울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 4곳을 사례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사례 대상을 바탕으로 부위별 체계 정립을 위한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정립된 부위별 체계에 따라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부위별 공사비 분석표와 유지관리비 분석표 그리고 교육시설물의 적정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를 제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방법에 따라 진행된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사례 대상 학교 4곳의 부위별 공사비 산정에 따른 평균 금액 비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총 공사비 6,666백만원 대비 구조체 47.15%, 건물외부 8.34%, 건물내부 23.37%, 전기 소화 5.74%, 급수 위생 4.27%, 난방 급탕 5.25%, 옥외시설 1.36%, 토목 4.51%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사례 대상 학교 4곳의 부위별 유지관리비 분석에 따른 평균 금액 비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총 유지관리비 4,309백만원 대비 건물외부 11.02%, 건물내부 41.81%, 전기 소화 14.81%, 급수 위생 11.22%, 난방 급탕 12.76%, 옥외시설 5.75%, 토목 2.63%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