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ical Resistivity of Concrete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8초

평판접지 전극방법을 이용한 콘크리트의 전기비저항 특성 분석 (Analysis of Electrical Resistivity Characteristics of Concrete by Using Flat Electrode Method)

  • 박창선;박해원;이강훈;정진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7-63
    • /
    • 2017
  • PURPOSES : The pole electrode method damaged the concrete pavement on inserting the electrode into the pavement surface. This study examined the feasibility of the flat electrode method to observe the concrete pavement instead of the pole electrode method and analyzed the resistivity characteristics of the concrete by performing laboratory tests. METHODS : The resistivity of the concrete specimens manufactured with three different mixing ratios (38.50%, 39.50%, and 40.50%) were measured using the pole and flat electrode methods according to the concrete age (7 and 28 days) and electrode spacing (20 mm, 30 mm, and 40 mm). RESULTS :In both pole and flat electrode methods, the resis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fine aggregate proportion regardless of the concrete age. The resistivity measured at a concrete age of 28 days was slightly larger than that measured at 7 days. In the case of a concrete age of 7 days, the resistivity measured by the flat electrode method was larger than that measured by the pole electrode method. The difference disappeared at 28 day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flat electrode method can replace the pole electrode method because the resistivity measured by both methods was similar. Hence,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 to apply the flat electrode method to actual concrete pavement is necessary.

강섬유 보강콘크리트의 강섬유 분산이 표면전기저항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eel Fiber Distribution in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on Surface Electrical Resistivity)

  • 김성도;문도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06-113
    • /
    • 2013
  • 콘크리트의 투수성능을 평가하는 여러 가지 비파괴시험방법 중의 하나는 표면전기저항을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콘크리트내에 강섬유로 인한 판단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강섬유 보강콘크리트에 본 표면전기저항측정방법을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강섬유 분산도가 표면전기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3개의 정방형 및 원형 실험체의 4개면에서의 저항치를 3번 반복하여 측정하였으며, 서로 비교하였다. 측정결과에 의하면, 원형실험체를 이용한 실험결과가 정방형 실험체의 결과에 비하여 강섬유의 영향을 일관되게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강섬유의 분산도는 강섬유 혼입량에 비하여 측정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표면전기저항측정을 이용한 비파괴 평가법은 0.5%까지의 강섬유를 포함한 SFRC의 투수성 평가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기비저항 측정법을 이용한 유동화 모르타르의 응결 지연 현상 평가 (Evaluation of Setting Delay in Mortar Adding Superplasticizer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 이한주;임홍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9-15
    • /
    • 2018
  • 고유동 콘크리트의 사용이 일반화 되면서 유동화제 사용에 따른 콘크리트의 초기 재료물성 발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콘크리트 수화반응에 따른 응결시점은 초기 물성 발현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이며, 이러한 응결시점 평가를 위해 관입저항시험과 함께 다양한 비파괴 평가 기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 측정법을 이용하여 유동화 모르타르의 응결 지연 현상 평가에 관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PC계 유동화제 첨가량에 따른 총 9종류의 모르타르 샘플을 준비하였으며, 4-전극법을 이용한 초기재령 모르타르 샘플의 전기비저항 변화를 24h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로부터 결정된 전기비저항 상승시기를 모르타르 응결시점 평가를 위한 전기적 변수로 사용하였으며, 측정결과의 비교 분석을 위해 동일 샘플의 관입저항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동화 모르타르의 1일 동 탄성계수 및 압축강도 측정을 통해 전기비저항 측정을 이용한 유동화 모르타르의 초기 재료물성 평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redicting Damage in a Concrete Structure Using Acoustic Emission and Electrical Resistivity for a Low and Intermediate Level Nuclear Waste Repository

  • Hong, Chang-Ho;Kim, Jin-Seop;Lee, Hang-Lo;Cho, Dong-Keun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7-204
    • /
    • 2021
  • In this study, the well-known non-destructive acoustic emission (AE) and electrical resistivity methods were employed to predict quantitative damage in the silo structure of the Wolsong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Center (WLDC), Gyeongju, South Korea. Brazilian tensile test was conducted with a fully saturated specimen with a composition identical to that of the WLDC silo concrete. Bi-axial strain gauges, AE sensors, and electrodes we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pecimen to monitor changes. Both the AE hit and electrical resistance values helped in the anticipation of imminent specimen failure, which was further confirmed using a strain gauge. The quantitative damage (or damage variable) was defined according to the AE hits and electrical resistance and analyzed with stress ratio variations. Approximately 75% of the damage occurred when the stress ratio exceeded 0.5. Quantitative damage from AE hits and electrical resistance showed a good correlation (R = 0.988, RMSE = 0.044). This implies that AE and electrical resistivity can be complementarily used for damage assessment of the structure. In future, damage to dry and heated specimens will be examined using AE hits and electrical resistance, and the results will be compared with those from this study.

구조체접지극 활용을 위한 모형블록의 저항률 분석 (Resistivity Analysis of Model Block for Using of Structure Grounding Electrode)

  • 김성삼;정만길;최종규;고희석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0-45
    • /
    • 2007
  • 건축물의 기초를 구조체접지 및 대용접지극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 모형블록의 저항률 특성에 관해 검토하였다. 콘크리트와 몰탈의 모형블록을 제작 후 상온과 함수 상태에서 저항률을 측정하였으며, 저항률을 저감시키기 위해 접지저항 저감제를 혼합한 블록을 제작 하여 비교 하였다. 블록의 저항 값은 블록 저항률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으며, 블록 저항률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값일 때 대지저항률 값의 차이만큼 접지저항 값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다전극 배열을 이용한 콘크리트 매립 철근의 위치탐사 (Probing of Steel Bar Location inside Concrete using Multi-electrode Array)

  • 이형우;임홍철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63-666
    • /
    • 2003
  • Using numerical analysis modeling of Multi-electrode Array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corrosion state measurement of a reinforcing steel bar in concrete, the steel bar location inside concrete can be probed by the investigation of the change of the measured impedance from concrete surface determined by the electrical impedance of interface between the steel bar and concrete,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concrete, the array of electrodes and the relative location and diameter of the steel bar.

  • PDF

전기저항 측정을 통한 모르타르 내의 섬유활성탄의 분산성 평가 (Evaluation of Dispersion of Activated Carbon Fiber in Mortar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Method)

  • 이보연;이재승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283-290
    • /
    • 2017
  • 시멘트계 재료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섬유가 사용되고 있다. 이때, 섬유 사용 목적에 관계없이 섬유의 분산성은 목표로 하는 성능 개선에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르타르 내의 섬유활성탄의 분산을 전기저항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믹싱 방법과 섬유의 표면 처리에 따른 섬유 분산성의 차이가 다루어졌다. 연구 결과 표면전기저항 방법은 섬유활성탄의 분산성을 평가하는데 적합하였고, 초음파 방식의 분산 방법이 몰탈믹서와 핸드믹서 방법에 비하여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성능 감수제는 섬유의 분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었으나 산 처리는 전기저항성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비저항추정모델을 이용한 실험체 크기의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pecimen Size using Resistivity Estimation Model)

  • 임영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113-119
    • /
    • 2019
  • 본 연구는 전기비저항 측정시 실험체 크기에 따른 영향에 대해 비저항추정모델을 이용한 해석적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실험에서는 콘크리트 실험체를 제작하여 전극 간격별 겉보기 비저항 측정하였다. 측정된 겉보기 비저항은 실험체 크기가 작아지고 외측(가장자리)에 가까울수록 겉보기 비저항치의 왜곡현상이 심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치와 해석치의 비교·분석 결과, 실험체 크기의 영향성 검토에 REM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Electrochemical Corrosion and Chloride Penetration of Concrete Incorporating Colloidal Nanosilica and Silica Fume

  • Garg, Rishav;Garg, Rajni;Singla, Sandeep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440-452
    • /
    • 2021
  • Enhancement of durability and reduction of maintenance cost of concrete, with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approaches, has always been a matter of concern to researchers. The integration of pozzolans as a substitute for cement into the concrete is one of the most desirable technique. Silica fume (SF) and colloidal nanosilica (CS) have received a great deal of interest from researchers with their significant performance in improving the durability of concrete. The synergistic role of the micro and nano-silica particles in improving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emented materials needs to be investigated. This work aims to examine the utility of partial substitution of cement by SF and CS in binary and ternary blends in the improvement of the durability characteristics linked to resistance for electrochemical corrosion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and half-cell potential analysis and chloride penetration trough rapid chloride penetration test. Furthermore, the effects of this silica mixture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under normal and aggressive environment have also been investigated. Based on the maximum compression strength of the concrete, the optimal cement substituent ratios have been obtained as 12% SF and 1.5% CS for binary blends. The optimal CS and SF combination mixing ratios has been obtained as 1.0% and 12% respectively for ternary blends. The ternary blends with substitution of cement by optimal percentage of CS and SF exhibited decreased rate for electrochemical corrosion. The strength and durability studies were found in consistence with the microstructural analysis signifying the beneficiary role of CS and SF in upgrading the performance of concr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