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prepare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2초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베이비부머 은퇴자의 죽음준비 인식의 연구 (Using Photovoice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Death Readiness in Babyboomer Retirees)

  • 정주영;이미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71-177
    • /
    • 2022
  • 한국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는 대량의 인구가 중년층에서 벗어나 노년층으로 들어서게 되면서 고령화 사회의 주요인이 되었다. 또한 30년 이상 구조화된 직장에서 바쁘게 일을 하다 은퇴 후 비구조화 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우울감을 가지며 자살의 위험 등 사회적 문제로까지 이어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사회적 문제의 해결 및 예방적 차원의 정책적 검토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죽음에 이르기까지 준비된 삶을 살고자 하는 은퇴자들의 죽음준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문제를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심층 탐구하였고, 은퇴자들의 노년기 죽음준비에 대한 사회복지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참여자는 베이비부머 은퇴자 7명이며, 자료는 2개월 동안 수집하였고, 직접 촬영한 사진과 설명과 심층면담 내용을 주제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도출된 인식은 순리로 받아들이는 죽음을 맞이하며 준비하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었다. 본 연구의 논의에서 베이비부머 은퇴자들을 도울 수 있는 죽음준비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며, 프로그램을 담당할 지역 기관의 협력이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은퇴자의 죽음준비의 인식을 통한 은퇴 이후 노년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적 방안을 마련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시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의 낙상발생과 관련된 요인 (Falls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Peopl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 조영채;윤현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9권2호
    • /
    • pp.223-235
    • /
    • 2004
  • 본 연구는 지역에 대한 고령자의 낙상 발생 상태를 알아보고 이에 관련된 요인을 조사하여 향후 노인의 낙상 예방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충청남도 일부 농촌지역의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낙상에 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대상자는 460명이었으며, 대상자 전원에게 낙상 경험 유무 및 그의 관련요인에 때해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 전체 대상자의 악상 경험률은 35.0%이었으며, 성별로는 여자가 42.1%, 남자가 25.1%로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비율이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연령별로는 65 69세 군이 30.5%, 70 74세 군이 29.1%, 75세 이상 군이 40.4%를 차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8). 2. 조사대상자의 건강상태에 따른 낙상 경험률에서는 시력과 청력에 이상이 있는 군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자각증상 유무별로는 "자각증상이 있다"는 경우가 37.9%로 "자각증상이 없다" 18.8% 보다 유의하게 높은비율을 보였다(p=0.004). 자각증상의 내용별로는 "전신권태", "불면", "두통", "요통", "무릎 통증" 및 "몸의 불균형"항목에서 증상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은 비율이었다. 3. 낙상 경험자들의 낙상발생은 전체 낙상자의 53.4%가 실외에서, 46.6%가 실내에서 발생하여 실내보다 실외에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내에서는 "거실"과 "계단"에서, 실외에서는 "마당"과 "도로"에서 낙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낙상경험의 시기는 "겨울"이 39.1%로 가장 높은 비율이었으며, 다음은 "봄" 24.8%, "가을" 19.9%, "여름" 16.1%의 순위였으며, 낙상경험의 시간대는 "저녁"이 37.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오후" 32.3%, "오전" 23.0%, "심야" 6.8%의 순위로 나타났다. 5. 낙상의 원인에 대해서는 "바닥이 미끄러웠다"가 30.5%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발이 걸려서 넘어졌다"가 23.5%로 환경적 요인에 의한 낙상의 비율이 높았다. 반면에 신체적인 문제로 보이는 원인으로는 "초조하였다"와 "다른 생각을 하였다"가 각각 11.3%, 10.8%의 비율을 보였다. 낙상 당시의 동작상태로는 "보행중"이 64.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계단을 오르내리던 중"과 "앉았다 일어나려고 함"이 각각 14.3%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6. 낙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성별, 연령, 비만도 및 자각증상 유무 등이었으며 자각증상을 경험할 교차비는 남자에 비해 여자에서 2.19배, 60대보다 70대 이상에서 2.01배, BMI가 정상인 군보다 비정상인 군에서 3.68배, 자각증상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에 1.9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농촌지역 노인들의 낙상 경험률은 구미 선진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상예방을 위해서는 우선 건강상태의 유지와 일상생활능력이 저하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많은 낙상이 외부환경요인에 의해 발생하므로 안전한 생활환경을 위한 주변환경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고령화사회 관련 정보제공 전·후의 노후상황별 주거선호 특성 (Characteristics of Housing Preference for Each Aging Situation before and after Providing Information of Aging Society)

  • 이연숙;신화경;이동주;윤혜경;이준민;유혜정
    • KIEAE Journal
    • /
    • 제11권5호
    • /
    • pp.119-127
    • /
    • 2011
  • The aging population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so that it is difficult for people to understand the change of the future societ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eliminary retiree's alternative housing preference by providing an accurate information about residential current issues and the seriousness brought by the aging society. It explained the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aspect of the residential change due to the aging society to 104 preliminary retirees who live in the apartment in Seoul. It survey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ternative housing preference following 4 situations of the Old age type(couple/healthy, couple/ill, single/healthy, single/ill). It analyzed the difference of housing preference before and after providing inform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previous apartment is not enough to prepare the aging society and UIBS(unit insertion building system) for the elderly was expected to be a great help to the frail after 2026. Second, the preference of UIBS was increased after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aging society. Third, in the case of the illness, a big city with medical facilities was preferred not to move in the suburb. Fourth, after providing information, a small size of apartment was preferred but the preferred change of housing ownership was not founded. Last, there was considerabl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providing information under 4 situation of Old age type. These results showed the feasibility of coping with more accurate future society only if a survey should be taken with providing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aging society.

장기요양 시설서비스 이용자의 소득수준별 본인부담금에 대한 인식 차이 (Differences in Family Caregivers' Opinions about Out-of-Pocket Payment for Long-Term Care Facilities by Income Levels)

  • 권진희;문용필;이정석;한은정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9-148
    • /
    • 2017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mily caregivers' opinions about out-of-pocket payment for long-term care (LTC) facilities, and find the differences in the opinions for family caregivers of all different levels of income. Methods: We used the data of the study on out-of-pocket payment in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including 1,552 family caregivers with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Results: The average out-of-pocket payment per month was 511,635 Korean won and distributed from 230,750 to 1,365,570 Korean won. The amount of out-of-pocket payment might be affected by not co-payment but the cost of non-covered servic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m for family caregivers of all different levels of income. Opinions were surveyed about 5 issues. By levels of incom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opinions about 3 issues, the financial burden on LTC, the necessity of reducing out-of-pocket payments, and to be willing to pay more for a high quality service. But there were not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interruption of LTC service and staying with LTC facilitie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ange of out-of-pocket payment for LTC facility is wide and it can be a burden to lower income group. It should be to prepare the policies to ease the financial burden and support the appropriate LTC use.

장애인 전동보조기구 사고 및 관리현황에 관한 연구 (The Status of Accidents and Management for Electronic Assistive Devices among the Handicapped)

  • 김덕주;이혜진;양영애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3-234
    • /
    • 201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cident cases involving electronic assistive devices, to determine how these accidents can be avoided and to devise preventative instructions for the handicapped who use these devices.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July 20 to October 3, 2015. A consent-based survey was conducted via mail and mobile phones targeting 700 electronic assistive device users, of which questionnaires from 290 users were collected and used in the analysis. Results : Accidents involving electronic assistive devices were investigated, especially the causes of the accidents and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as well as the status of the electronic assistive devices. The most common accident types were collision and falling, and it was found that the victims of the accidents usually suffered severe injury to their lower limbs. Most users used electronic assistive devices every day but rarely wore a safety belt because of discomfort. There were more incidents of collision and falling for older aged handicapped users, and the injury rate to the lower limbs was highest in handicapped elderly aged 50 years or older. Conclusions :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with electronic assistive devices in the future, a or management organizations must prepare specific safety guidelines and manage these accidents.

국내 노후대비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eatures for the old age preparations in Korea)

  • 박동인;조길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3호
    • /
    • pp.525-532
    • /
    • 2017
  • 최근 들어 OECD 국가 중 국내의 고령화 진입 속도가 가장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노인 빈곤율 및 노인 부양에 대한 이슈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노후대비에 대한 중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고령층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사회적 부담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국내 중장년층 가구주들의 노후대비 유무와 노후준비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집단별 포트폴리오 구축 유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노후대비를 위한 수단으로써 금융과 부동산을 결합한 상품을 개발한다면 노후대비 포트폴리오를 확대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요인 뿐 아니라 보유 자원들의 정도에 따라 노후대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보유 자원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이 노후대비가구와 노후미대비가구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성들의 생애주기별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 일개 통합시를 중심으로 - (A Study about Promoting Health Lifestyles and Relating Variables on the Life-cycle of women)

  • 이은희;소애영;최상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700-710
    • /
    • 1999
  • Promoting women's health lifestyles are important due to their connection to family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women's health lifestyles(HPL) and their effects on women's life-cycle, so in order to develop a program in a women's health care center. The subjects included were 1080 women over 18 years old living in Wonju city, and were selected by stratified and purposive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 The Cronbach $\alpha$, %, mean,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in SPSS PC Win.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sample was sepernted into three groups premarital group 20.2%(premarital women between 18 and 40 years old), delivery and children rearing group 49.9%(marital women between 18 and 40 years old), over middle agedelderly group 29.9%(women over 41 years old).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the HPL according to group. Also, relating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family functions, health locus of control and gender role perception that were considered relating variables to HPL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the three groups. HPL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family functions, HLOC and gender role perception in all participants and at all groups. The regression analysis of HPL was interpreted 40.6% with relating variables, self-efficacy, health attention, family functions,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health perception, power other locus of control and chance locus of control in all participant. Self-efficacy, family functions, health attention were considered important variables in premarital group, self-efficacy, family functions, internal locus of control, health attention, health perception and power of control were important in delivery-rearing group. Self-efficacy, health atten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family functions and health perception were important in middle aged-elderly group. As a result, we found the differences HPL scores and relating variables according to life-cycle groups. Therefore, we should prepare health promoting education programs for women according to women's life cycles. Also we suggest that women's health care centers based on communities was needed for proper management of women's health.

  • PDF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Effect Factors on Stress in Middle-Aged Women)

  • 박혜선;마예원;임선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41-251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pression, self-efficacy, and stress level of middle-aged women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on stress, and to provide base 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for stress reduction of middle-aged women. Methods : Participants were 200 middle-aged women aged 40 to 60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1, 2019 to April 15.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of life events-stress, depression scale, self-efficacy was used. Data were analyzed by average, standard deviation, minimum, maximum, correlation and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21.0.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self-efficacy and stress in middle-aged wome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r=-.264, p<.001), self-efficacy and stress (r=-.279, p<.001)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depression and stress (r=.268, p<.001)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were the factors affecting the stress of middle-aged women. Depression was β =.207 (p<.001) and self-efficacy β =-.222 (p=.003). Depress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stress, followed by self-efficacy. Conclusion : Middle-aged women are an important time to prepare for a successful old age. Considering that the current middle-aged women are the subjects of the future aging society, their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 are very important in preventing the elderly problems of the aging society. Therefor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that to reduce the depression and stress in middle-aged women and to improve self-efficac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갱년기 여성의 생활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nopausal Women's Life Stress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 박영미;신창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54-264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갱년기여성의 생활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연구대상자들은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에 거주하는 425명의 갱년기 여성들이고, 자료는 SPSS 19.0을 통해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상관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자료의 분석결과 갱년기 여성의 생활스트레스는 결혼상태, 월수입, 월경상태 등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아울러 갱년기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반면에 갱년기 여성은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갱년기 여성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우울을 낮추기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사회적 지지와 상담 및 통합프로그램 제공과 함께 노년기 준비를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제공을 제언하고자 한다.

국내 노후대비 자산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nancial structures for the old age preparations in Korea)

  • 박동인;조길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6호
    • /
    • pp.1199-1206
    • /
    • 2015
  • 최근 들어 OECD 국가 중 국내의 고령화 진입 속도가 가장 급속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노인 빈곤율 및 노인 부양에 대한 이슈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노후대비에 대한 중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고령층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사회적 부담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국내 중장년층 가구주들의 노후대비 유무와 노후준비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집단별 포트폴리오 구축 유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노후대비를 위한 수단으로써 금융과 부동산을 결합한 상품을 개발한다면 노후대비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요인 뿐 아니라 보유 자원들의 정도에 따라 노후대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보유 자원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이 노후대비가구와 미대비가구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노후대비 유무에 따라 차이가 발생되는 포트폴리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국내의 고령층에 맞는 포트폴리오 구성 요인 등에 대해 파악해야 한다. 또한, 더 정교한 추정모형을 통해 더 나은 시사점을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연구의 초석을 다졌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