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Dementia Prevention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5초

노인치매예방 스마트폰 앱의 기대효과 및 유용성 (Predictable Effect and Usability of Smart-Phone Application for Elderly Dementia Prevention)

  • 김수정;최윤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87-9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치매예방을 위해 스마트폰에서 제공되고 있는 치매예방 게임 앱과 치매진단 앱의 이용에 대한 유용성 및 그 기대효과를 예측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치매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6개의 치매진단도구를 선정하고 각 진단도구가 검증하고 있는 인지기능영역을 추출하였다. 둘째는 29개의 스마트폰 치매예방 게임 앱과 치매관리 앱을 선정하여 이 앱들을 이용한 이후의 기대효과를 치매진단도구에서 추출된 인지영역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폰 치매예방 앱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게임을 하거나 치매관리를 할 경우 특정 영역의 인지기능을 증진함으로써 치매예방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스마트폰 치매예방 앱은 시공간을 초월한 이용의 용이성, 지속적 사용성 그리고 경제성을 통하여 오프라인으로 운영되고 있는 치매예방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보완함으로써 노인의 인지능력을 증진시키고 치매를 예방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노인 대상 치매예방프로그램 국내 연구동향 (Domestic Research Trends of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 양수경;고보숙;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31-143
    • /
    • 2019
  • 본 연구목적은 노인 대상 치매예방프로그램 국내 연구동향 분석을 하기 위함이다. 2000년~2018년 사이에 '치매예방', '치매예방 프로그램', '치매', '노인', '노인놀이'를 키워드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구글학술검색, DBpia, 한국학술정보(Kiss)에 게재된 노인들을 위한 치매예방프로그램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404편의 연구논문 중 자료의 분석기준과 방법에 따라 36편의 논문을 최종 선별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연구자료의 기본 구조와 프로그램 시행 구조를 가지고 있는 논문은 2012년~2018년 연구의 학술지 17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적연구방법을 적용한 경우는 25편으로 월등히 높은 경향을 보였다. 노인 대상 치매예방프로그램 시행 구조에 대한 동향을 분석한 결과, 진행 기관은 요양원(노인복지병원)이 11편이 가장 많았고, 참여노인의 성별은 여성노인이 남성노인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대상 연령은 65세 이상 연령대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매예방 중재 프로그램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통합프로그램이 11편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치매예방 프로그램 측정도구 및 효과성 분석 결과, 인지기능을 측정하는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 MMSE-K 도구가 16편의 논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프로그램은 인지기능에서는 10편의 연구에서 인지기능의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노인들을 위한 치매예방 교육이 단편적인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노인들의 인지기능 및 정신행동, 생활 습관 등에 영향을 주고, 건강한 노후와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치매예방 프로그램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Strategies for Activating Serious Games to Prevent Dementia in Elderly : Focusing on the Friendliness of the Elderly

  • So Im PARK;Hye-Min KIL
    • 융합경영연구
    • /
    • 제11권3호
    • /
    • pp.37-46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derly friendliness of the serious game for dementia prevention and to seek out the influence factors for enhance the friendlines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t measured the elderly friendliness of the serious game for dementia prevention, run with multi-touchscreens, for 300 elderly people using the Seoul-based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located at Seoul, and participants evaluated the elder-friendliness of the serious game, by responding to a questionnaire survey. In addition, it analyz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friendliness (EF) and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serious game, by setting the factors as the game level (GL), the demand of expectations for demand (DoE) and the prevention & usefulness of cognitive decline (PUCD). Results: the findings show that most of participants positively evaluated the EF of the serious game, regardless of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reover, it can be found that the more the 'GL DoE and PUCD', the more the 'EF'. The EF was most strongly affected by DoE, followed by PUCD, and then GL Developing and running the serious game by actively reflecting such factors may be one of ways for enhancing the participation in the serious game for dementia prevention and facilitating the sustainable use of it.

A study on development of VR-based tangible functional game for prevention of dementia

  • Jang, Chun-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196-202
    • /
    • 2021
  • Currently, as Korea enters into a fast aging society, the problem of dementia population is increasing. In this paper, we inten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welfare for the elderly by develop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related interface technology to effectively perform hand movements known as effective method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ementia. As the content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is paper, it is designed to be easy for the elderly to use and stimulate brain function by applying VR technology using sensors, and to activate mental and physical activities for the elderly who are marginalized in terms of cultural welfare. We intend to develop by classifying the types of games and contents that can induce them. As a result of this thesis, we developed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to improve cognitive abilities for elderly people with poor cognitive ability to activate the brains of users' cognition, memory, and attention to prevent and treat dementia I want to contribute.

노인 치매예방프로그램에서 유아교육 콘텐츠의 활용가능성 탐구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tents in the elderly dementia prevention program)

  • 양수경;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495-500
    • /
    • 2020
  • 우리나라 노인들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고령화로 인한 노인의 건강에 대한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치매 발병률이 증가되고 있음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치매는 발병 후 치료보다는 예방이 중요한 만큼 노인의 치매 예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양수경, 고보숙, 박정환(2019)의 연구에서 2000년~2018년까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치매예방프로그램의 국내 연구동향에서 분석한 통합프로그램 11편을 기반으로 유아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놀이를 중심으로 한 노인 치매예방프로그램 문헌연구를 살펴보았다. 활동유형별로 음악, 언어, 신체활동이 각각 4개(40.0%)로 나타났고, 게임, 미술, 작업이 각각 3개(30.0%)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용, 문학, 전통놀이, 레크레이션이 2개(20.0%)로 나타났고, 요가와 생활은 각각 1개(10.0%)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치매예방프로그램에서 유아교육 콘텐츠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노인에게 있어 놀이는 유아 뿐만 아니라 노인들에게 신체 운동능력과 긍정적인 정서, 정서적 특성 등 매우 긍정적인 측면이 나타나고 있다. 노인들을 위한 유아교육 콘텐츠를 활용하여 치매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과 함께 집단활동의 경험과 정신건강을 유지하면서 여가시간을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ICT기반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이 경로당 이용노인의 활력, 치매두려움 및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ICT based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on the Vitality, Fear of Dementia and Preventive Behavior of Dementia for Elderly in using Senior Citizen Centers)

  • 정미라;정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403-1412
    • /
    • 2023
  • 본 연구는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ICT기반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활력, 치매두려움 및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프로그램 구성은 주 2회, 6주, 회기당 30분 분량으로 총 12회차이며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ICT기반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은 경로당 노인의 활력과 치매예방행위를 증가시키고, 치매두려움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ICT기반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을 경로당 이용노인의 치매예방를 위해 실무현장에서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일상생활 관리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우울 및 건강증진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Daily Life Management Program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on Cognition Function, Depression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 양종은;최종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95-30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예방프로그램과 더불어 일상생활관리프로그램을 접목하여 적용 하였을 때, 치매예방프로그램을 통한 인지기능, 우울, 건강증진생활양식의 변화가 유지되거나 향상되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진행은 2019년 4월 1일부터 8월 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치매안심센터에서 치매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경도인지장애 노인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일상생활관리프로그램을 자발적으로 꾸준히 실천한 실험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해 인지기능(MMSE-DS), 건강증진생활양식(HPLP-II)이 유지 및 향상됨을 보였으며, 우울감(SF-GDS)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치매예방프로그램의 효과를 장시간 유지 및 향상시키기 위한 일상생활관리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길 바라며, 경도인지 장애를 가진 노인들에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전향적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농촌 지역사회노인의 만성질병수와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치매인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Dementia Recognition on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s of Elders in Rural Communities)

  • 박필남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1-4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of elders in rural communiti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5 elders aged 60 or older who lived in Eup or Myeon areas of P city. For data analysis, SPSS/WIN 22.0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linear multiple regression and mediated effects. Results: Scores for dementia recognition, dementia attitude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averaged 5.6±2.50 points in the 0~11 range, 38.8±4.59 in 14~56 and 20.2±3.59 in 10~30 respectively. Dementia recognition (a), dementia attitude (b),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c) an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of the elders (d) were positively or nega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rab=.29, p<.01; rbc=.26, p<.01; rac=.36, p<.01; rad=-.29, p<.01; rcd=.19, p<.05). Factors affecting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were dementia recognition, dementia attitude, and degree of dementia interest. When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ffects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dementia recognition has a mediating effect.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dementia among elders in rural areas, appropriat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and provision of appropriate dementia-related education and information to enhance dementia recognition should be provided.

치매 예방 프로그램 현황 및 분석 -주요 5개 도시 중심으로- (Analysis and Current State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cused on Five Major Cities-)

  • 고현익;이수빈;이자연;이채은;이혜연;조은영;최하은;정현애
    • PNF and Movement
    • /
    • 제15권2호
    • /
    • pp.209-216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atus of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dementia support centers, and elderly welfare centers in major metropolitan cities to acquire data for future program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and the specialization of dementia prevention personnel. Methods: Data were gathered through internet surveys and telephone questionnaires from 15 special demented elderly care centers and elderly welfare centers registered in five metropolitan cities from June 27 to Oct 25, 2016. Results: Dementia care programs were available at 15 centers. Seoul City was running the most diverse dementia programs, and all five cities were spending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on the cognitive therapy program within several dementia programs. In addition, many social workers hosted the program and the frequency of social welfare work was three times a week. Conclusion: To increase the dementia prevention policies' efficiency, an understanding of dementia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Experts who can provide client-centered, problem-solving programs will play the role of physical therapis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However, more research is needed.

Psychological and Physical Effects of 10 Weeks Urban Forest Therapy Program on Dementia Prevention in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

  • Lee, Hyun Jin;Son, Sung A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57-564
    • /
    • 2018
  • Along with the aging society, the prevalence of dementia is also increasing. Dementia causes short-term memory loss as well as difficulties of performing daily activities and gradually causes suffering of the patients and their family. In spite of various programs for prevention of dementia of older people are being implemented, there is a lack of developing natural-based program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promo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who are more vulnerable to dementia because of their social and economic iso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atural-based program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10 weeks forest therapy program for dementia prevention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experimental subjects were 30 elderly (aged 65 or older) and 31 elderly participated in control group. The Stress response, depressive symptoms, weight, body mass index (BMI), fat mass and muscle mass were measured for pre and post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ubjective stress relief (t=5.249, p=.000), improvement in symptoms of depression (t=4.152, p=.000), and decreases in weight (t=2.686, p=.012), BMI (t=2.629, p=.014) and fat mass (t=2.918, p=.007) after the forest therapy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lower stress reactions(t=-7.185, p=.000) and less depressive symptoms (t=-5.303, p=.000) than control group after participating the program.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iodic forest exposure can help having less stressful and depressive status than non-forest exposure and the forest therapy program can reduce participants' psychological and physical risk factors of dement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