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diameter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6초

파를 가해하는 파굴파리의 충태별 피해 양상 및 행동 (Injury Aspects of the Stone Leek Leafminer, Liriomyza chinensis Kato (Diptera: Agromyzidae) on Welsh Onion)

  • 최인후;김정화;김길하;김철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35-343
    • /
    • 2003
  • 파굴파리의 파 잎의 가해 습성을 조사한 결과 암컷성충은 잎의 외부에서 즙액을 섭취하고 엽육에 산란함으로서 피해를 주었다. 피해 잎은 직경 0.48mm의 백색 원형의 흡즙흔이 수십 개씩 점선을 형성하였고, 산란흔은 0.1${\times}$0.14mm 장타원형이고 1개 또는 수 개씩 V자형으로 무리를 지어 산란하였다 집단사육에서 성충의 흡즙은 우화당일에 시작하여 4-5일째에 가장 왕성하였고, 산란은 우화 2일부터 6일째까지 일별 산란수가 비슷하였다. 또한 흡즙과 산란은 밤보다는 낮에 더 활발하였다. 유충은 엽육에 갱도를 뚫고 엽의 위아래로 섭식하다가 밀도가 높고 발육이 진전되면 잎 끝쪽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잎을 고사시켰다. 유충 1마리의 식해량은 72.1$\textrm{mm}^2$이었다. 노숙유충이 잎에서 탈출하는 시간은 오전 5-7시이었고, 번데기는 토양깊이 5cm, 파측면 10 cm근처에서 대부분 용화하였다. 월동태는 번데기로 지표에서 토양깊이 10cm 이내에서 서식하였으며, 5월상순부터 6월하순까지 약 2개월 사이에 우화하였다. 성충은 잔존된 파, 묘상, 이식된 포장, 밭뚝 등으로 이동하여 생존하였다.

동자개의 형태발달과 성장특성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 of the Korean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reared in the laboratory)

  • 한경남;남기봉;정충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4-84
    • /
    • 2001
  • 사육 조건하에서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의 발육에 따른 형태 변화 및 상대성장에 대해 검토하여 발육단계를 구분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정난은 난경 2.04${\pm}$0.07 mm (n = 100)의 비교적 큰 구형의 분리되는 침성부착난으로서 수조의 바닥 및 기질에 강하게 부착한다. 2. 부화자어는 전장 약 4.92${\pm}$0.33 mm로, 부화 후 1일에 입이 열리고, 부화 2일후에는 항문이 열리고, 부화 후 3일에 섭이를 시작하여 후기자어기에, 부화 후 30일경에 전장 약 32 mm에 유어기에 이른다. 3. 전장에 대한 각 부위의 상대성장에 굴곡점은 전장 7~8 mm, 17~32 mm, 32 mm 전후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4. 외부형태의 변화 및 상대성장의 굴곡점이 나타나는 어체 크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어기에서 유어기까지의 발육단계를 구분하면, 자어기는 전장 17 mm 이하, 치어기는 17~32 mm, 유어기는 32 mm 이상으로 사료된다. 상대성장의 측정결과 전기자어기에는 머리부분에 관련된 형질, 후기자어기 이후에는 운동능력에 관련된 형질의 우성장이 뚜렷하였다.

  • PDF

범가자미 Verasper variegatus의 성성숙 (Sexual Maturation of the Spotted Flounder Verasper variegatus)

  • 김윤;안철민;김경길;백혜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1-199
    • /
    • 1998
  • 범가자미 Verasper variegatus의 난소는 좌우 1쌍의 대칭구조로 주머니 모양이며 산란기가 되면 생식소는 복강 뒤부터 뒷지느러미까지 길게 발달하였다. 정소는 좌우 1쌍을 가지나 산란기에 복강 내에서만 발달하였다. 생식소중량지수(GSI)는 암컷의 경우 3월부터 7월까지는 낮은 값을 보이다가 8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월에 연중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수컷의 GSI 변화도 암컷과 마찬가지로 1월에 연중 최대값(1.7)을 나타내었다. 산란기의 난소에는 $600{\sim}1400{\mu}m$ 사이의 난모세포들이 4~6개의 무리를 이루어 발달하는 것으로 보아 범가자미는 4회 이상 산란하는 다회 산란어종으로 확인되었다. 군성숙도 조사에서 50% 산란에 참여하는 개체는 암컷이 전장 42.0~44.0cm, 수컷이 28.0~30.0cm 였으며, 100% 산란에 참여하는 전장은 압수 각각 44.0cm와 32.0cm 였다. 생식년주기는 8~10월의 성장기, 11~12월의 성숙기, 12월~2월의 완숙 및 산란기, 3~7월의 퇴화 및 휴지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 PDF

우리나라 동해안 대구횟대, Gymnocanthus herzensteini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Black Edged Sculpin, Gymnocanthus herzensteini in the East Sea)

  • 박기영;박경훈;이성일;박헌우;홍성익;양재형;최수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1-106
    • /
    • 2007
  • 본 연구는 2003년 3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강원도 연안에서 유자망어업에서 어획된 대구횟대를 매월 채집하여 성숙과 산란에 관하여 조사한 것이다. 대구횟대의 산란기는 생식소성숙도지수, 난경 등의 월별 변화에 의한 결과 12월에서 이듬해 2월로 추정되어졌다. 체장과 포란수와의 관계는 $F=285.11TL^{1.4092}$ ($R^2$=0.571)이었으며 체중과 포란수와의 관계는 $F=1.449.8BW^{0.5514}$ ($R^2$=0.577)이었으며, 포란수는 어체가 커질수록 증가하였다. 최소포란수로 8.814립 (TL: 14.7 cm), 최대포란수는 28,560립 (TL: 24.4 cm)이었다. 최소성숙체장은 15 cm였으며, 이때의 나이는 약 2세였다. 체장계급별 성비는 소형어에서는 수컷이 약간 우세하였으나 24 cm 이상에서는 암컷이 90%로 높게 나타났다.

고리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열동가리돔 (Apogon lineatus)의 생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the Cardinalfish Apogon lineatus (Perciformes: Apogonidae) in the Coastal Waters of Gori, Korea)

  • 백근욱;박찬일;허성회;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4-161
    • /
    • 2010
  • 한국 동해 남부 고리 주변해역에서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저인망과 삼각망에서 채집된 열동가리돔 4,300개체의 생식생태를 조사하였다. 열동가리돔의 체장범위는 2.1~8.6 cm 였다. 열동가리돔은 여름과 가을에는 표층에 더 많이 분포하였으며, 봄과 겨울에는 저층에 더 많이 분포하였다. 열동가리돔 암컷의 생식소중량지수는 9월에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 12월까지 감소하였다. 따라서 산란시기는 8~10월로 추정되었다. 열동가리돔의 암 수간 성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chi}^2$-test, p>0.05). 열동가리돔 암컷의 50% 군성숙체장은 5.43 cm로 추정되었고, 모든 암컷은 7.0 cm 이상의 성숙하였다. 열동가리돔은 연속산란종으로 산란기 동안 2회 이상 산란을 하였으며, 최대난경은 0.65 mm를 보였다. 포란수는 8,555~20,084개의 범위였으며, 평균 15,038개 였다. 체장과 포란수의 관계식은 F=$334,851\;SL^{1.9876}$ ($R^2$=0.53), 체중과 포란수의 관계식은 F=7,167.6 Ln (BW)-2,198.1 ($R^2$=0.33)로 추정되었다.

Comparison of Semen Characteristics, Frozen-Thawed Sperm Viability, Testosterone Concentration and Embryo Development between Yorkshire Boar A and B

  • Yi, Y.J.;Lee, S.H.;Park, C.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5호
    • /
    • pp.612-616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semen characteristics, frozen-thawed sperm viability and testosterone concentration and in vitro fertilization (IVF) and development of in vitro matured pig oocytes between two Yorkshire boars. Semen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once per week from October to November 2002 from two adult Yorkshire boars at 18 months of age with 170 kg body weight. Sperm were deep frozen in 5 ml maxi-straws with lactose-egg yolk and N-acetyl-D-glucosamine (LEN) diluent and stored in liquid nitrogen. Blood samples were obtained at 10 a.m. by inserting a 21 gauge, hypodermic needle attached to 10 ml syringe into surface veins in the ear. The concentration of testosterone was determined by Competitive Enzyme Immunoassay. Ovaries were collected from prepubertal gilts at a local slaughter house. Cumulus oocyte complexes were aspirated from antral follicles (3 to 6 mm in diameter). The medium used for oocyte maturation was modified TCM 199. After about 22 h of culture, oocytes were cultured without cysteamine and hormones for 22 h at $38.5^{\circ}C$, 5% $CO_2$ in air. For IVF, one frozen 5 ml straw was thawed at $52^{\circ}C$in 40 sec and was diluted with 20 ml Beltsville thawing solution at room temperature. Sperm were washed 2 times in mTLP-PVA and inseminated without preincubation after thawing. Oocytes were inseminated with $2{\times}10^7$/ml sperm concentration. Oocytes were coincubated for 6 h in 500 ${\mu}$l mTBM fertilization medium. At 6 h after IVF, oocytes were transferred into 500 ${\mu}$l NCSU-23 culture medium for further culture of 48 and 144 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men volume, motility, normal acrosome morphology and sperm concentration of raw semen between A and B of Yorkshire boar. However, motility and normal acrosome of boar A were higher than those of boar B at 0.5, 2, 3, 4, 5 and 6 h incubations of frozen-thawed sperm. Testosterone concentration (3.75 ng/ml) of boar A was higher than that (2.34 ng/ml) of boar B. The rate of blastocyst formation (15.1%) of boar A was higher than that (10.4%) of boar B. In conclusion, serum testosterone concentration of boar showed very important role for the frozen-thawed sperm viability and the blastocyst formation of pig oocytes matured in vitro.

덩굴장치의 가지유인시기 및 각도가 생육 및 개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em Leading Time and Angles on the Flowering in Climbing Rose)

  • 권진오;최상태;김용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21
    • /
    • 1988
  • 덩굴장미의 배식 및 관리에 있어서 용술에 적합한 사용과 관성가치의 증가를 목적으로 생육형별로 구분하여 가지의 유인시기 및 유인각도가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는바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완전만성형, 반만선형 그리고 관목형에서, 가지를 신장생장중에 수평에 가깝게 유인할수록 상부와 하부에서 아의 크기 차이는 감소하였고 외형은 장관형에 가까워지며, 아의 발육은 충실하게 되었다. 2. 신장생장중에 유인한 가지의 직경은 생육형에 관계없이, 수평으로 유인하였을 때 상부와 하부의 직경차이가 감소하여 굵기가 균일하게 되었다. 3. 가지전체의 맹아율 및 개화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완전만성형의 경선 유인시기에 관계없이 수평에 가깝게 유인할수록 가지의 하부까지 고르게 이루어진다. 4. 반만성형에서는 가지의 신장생장중 수평으로 유인하여야만 하부까지 맹아.개화시킬 수 있고 신장생장이 완료된 후에는 유인에 의한 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개화 및 맹아율의 증가는 정아우세의 타파와 함께 아의 유실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꼼치의 난발생과 부화자어 (Egg Development and Larvae of the Snailfish, Liparis tanakai (Gilbert et Burke))

  • 김용억;박양성;명정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80-386
    • /
    • 1986
  • 1985년 12월 21일 경남 통영군 사량도와 두미도사이 해역에서 통발로 채집한 꼼치수정란의 난발생과정과 부화자어의 형태에 관하여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정란은 구형이며 담황색을 띤 침성점착난으로 난경은 $1.68{\sim}1.78mm$(평균1.72mm, n=30)이며 20여개의 유구를 가진다. 실내사육수온 $8.1{\sim}11.8^{\circ}C$(평균 $9.2^{\circ}C$)에서 포배기후 21일만에 부화하였다.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 $5.70{\sim}6.41mm$(평균 6.10mm, n=30)였으며 근절수 $7{\sim}9+36$. 흑색소포는 큰 가슴지느러미, 복강과 난황 위에 밀집되어 있다. 부화후 12일째의 자어는 전장 $5.85{\sim}6.46mm$였으며 난황을 거의 흡수하고 주둥이와 후두부에 흑색소포가 나타난다.

  • PDF

날치의 자치어에 관한 연구 1. 난발생과 자치어의 발육 (Studies on the Larvae and Juveniles of Flying Fish, Prognichthys agoo (Temminck and Schlegel) (Pisces, Exocoetidae) I.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 박양성;김용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8-316
    • /
    • 1987
  • 1986년 7월 14일에 제주도 우도앞 250m 해상에서 분기초망으로 채포한 날치친어 3미를 채포즉시 연상에서 습도법으로 인공수정시켜 실험실로 운반하여 난발생과정과 부화자어의 성장에 따른 형태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정란은 유구가 없으며, 표면에 $30\~40$개 정도의 가늘고 긴 관착계가 분포하는 구형의 침성부착난으로서 난경은 $1.42\~1.58mm$(평균, 1.52mm, n=30) 이다. 평균실내사육수온 $24.9^{\circ}C$, 염분농도 $32.23\%_{\circ}$ 수정후 174시간만에 부화하였다.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이 $4.75\~5.25mm$(평균, 5.06mm)로서 난황이 복부에 약간 남아 있으며, 미부의 척색끝도 위로 굽어져 있고, 뒷지느러미에 6개, 배지느러미에 3개, 꼬리지느러미에 13개의 기조가 분화하며, 몸 전체에 걸쳐 흑색소포가 고루 분포한다. 부화후 10일째의 자어는 전장이 $11.45\~12.60mm$ (평균, 11.97 mm)로서 $D.11\~13,\;A.8\~9,\;V.6,\;C.14,\;P.14\~16$으로 각 기조가 정수에 달하여 치어기로 이행한다. 부화후 20일째의 치어는 전장이 $18.10\~21.20mm$ (평균, 20.01mm)에 달하며, 체측에 비늘이 형성된다.

  • PDF

홍합의 사육조건과 성장 (Culture Condition and Growth of Larvae of the Mytilus Coruscus Gould)

  • 유성규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6-48
    • /
    • 1969
  • The larvae of Mytilus coruscus were grown at the room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15.1C under several different sulture conditions, i.e., salinity, population of the larvae, density and kind of food organisms, etc. (1) The egg of Mytilus coruscus obtained in the laboratory measured about 73.0${\mu}$ in diameter. The embryos gradually developed into larvae up to 179.0${\mu}$ shell length with the shell height of 135.9${\mu}$ even in the absence of the algal food. Beyond this size, however, the growth of larvae was considerably retarded, indicating that the better growth could be expected if the food began to be fed four days after spawning. (2) The larvae began settling upon reaching 281.4${\mu}$ to 310.9${\mu}$ in shell length or 264.3${\mu}$ to 301.9${\mu}$ in shell height. When the shell length reaches 322.6${\mu}$ to 337.1${\mu}$, the shell height also reaches about the same, i.e., 321.5${\mu}$ to 346.2${\mu}$. (3) Daily rate of food consumption was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larvae and the species of the algal food. Regardless of the species of food given, the rage of food consumption remained almost the same until the larva reached the straight-hinge stage, and marked variations were found as the larvae grew larger. Daily rate of food consumption was shown as follow; Chaetoceros calcitrans : Y=2.99167e$\^$0.000018243x$\^$2// Cyclotella nana : Y=3.00324e$\^$0.000015481x$\^$2// Monochrysis lutheri : Y=3.000056e$\^$0.000014485$\^$2// (4) Suitable amount of the food to be given was about five times of the consumed food by Mytilus coruscus. (5) When the numbers of the larvae was higher than ten per milliliter, the growth was significantly retarded. (6) Monochrysis lutheri and Cyclotella nana were much better than Chaetoceros calcitrans as the food of Mytilus coruscus, and even the same food organism showed some difference with the age of the organism. (7) Sea water of higher salinity showed the better result in the growth of the larvae and the water with the specific gravity of 1.020 or below was dangerous for the larvae. (8) The mean growth of the larvae of Mytilus coruscus under lavorable condition was shown as follows: shell length 121.8${\mu}$ to 179.0${\mu}$ : Y=119.18+7.42X 196.7${\mu}$ to 322.6${\mu}$ : Y=203.144+7.687X 322.6${\mu}$ to 985.1${\mu}$ : Y=302.5978+11.8356X shell height 86.3${\mu}$ to 135.9${\mu}$ : Y=86.22+6.40X 158.1${\mu}$ to 321.5${\mu}$ : Y=162.998+10.027X 321.5${\mu}$ to 1,215.4${\mu}$ : Y=309.3701+16.258X Relationships between the shell length and shell height were shown as follows: shell length 121.8${\mu}$ to 179.0 : Y=0.83726X-15.79165 196.7${\mu}$ to 322.6 : Y=1.29909X-100.58610 322.6${\mu}$ to 985.1${\mu}$ : Y=1.3536X-101.680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