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icacy of child care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8초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이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 보육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hild Care-Work Ability Program on Efficacy of Child Care, Role Performance, and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 김현지;한성민;전경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9-5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즉 보육시설에서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 향상을 위한 교육을 함으로써 보육효능감, 영아교사의 역할수행, 영아의 요구에 대한 교사민감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대상은 정읍시의 44명의 영아담당 보육교사들이다. 이들은 통제집단 22명과 실험집단 22명의 교사로 나뉘어졌다. 교사들은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 민감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로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결국,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민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된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예비보육교사들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 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143-5151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들의 교육신념과 보육헌신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시에 소재한 예비보육교사 23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하여 첫째, 예비보육교사들이 지각한 교육신념은 성숙주의가, 보육헌신에서는 교육애가, 교사효능감은 교수전략과 학생참여가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보육교사들의 교육신념, 보육헌신, 교사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육신념과 보육헌신이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보육교사의 역할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질 높은 보육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교사효늠감이 형성될 수 있는 보육교사교육과 전문성인식에 대한 내실화를 마련하는데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보육효능감과 소진의 상호작용효과 (The Interaction Effects on Job Turnover and Occupational Turnover of Child Care Teachers by Child Care Efficacy and Burnout)

  • 양연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05-221
    • /
    • 2011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보육효능감과 소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육교사 2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는 이직의도보다는 전직의도를 더 높게 지니고 있었다. 둘째, 이직의도와 전직의도는 보육효능감이 낮을수록, 소진될수록 높았다. 셋째, 다른 보육시설로의 이직의도는 성취감 결여에 의해 소진될수록 높아졌다. 다른 직업으로의 전직의도는 성취감 결여와 정서적 고갈로 소진될수록 높아졌으나, 성취감 결여와 정서적 고갈이 높을 때 보육효능감이 높으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이직 및 전직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보육활동에서 경험하는 소진을 줄이고, 보육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포괄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보육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영향 (The Effect of Efficacy of Child Care and Education, Job-Stress on Job-Satisfac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 추민아;장영애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43-35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acy of child care and the education and the influence of job-stress on job-satisfac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172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were chosen from 40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Incheon, Gyeonggido, and Seoul.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efficacy of child care and education index, the job-stress instrument, and the job-satisfaction instrument, and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job-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eacher-related variables, including the type of institution, the number of classes, the age of children, the education, the teaching experience, the income, the age of teacher, and the marital status of the teacher.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eacher's efficacy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the job-satisfact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especially the satisfaction of job itself indicated high positive correlations. Job-stress and job-satisfaction of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in all sub-variables, especially the stress from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satisfaction of administration system indicated high negative correlations. It was also found that stress from the working environment, stress from the overload, stress from the peer relations, and the efficacy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all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job-satisfaction.

  • PDF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actice on Student Teachers' Perceived Efficacy for Child Care and Teaching)

  • 현정환
    • 아동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17-131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ild Care and Teaching(CCT) practice on student teachers'(N=361) perceived Efficacy for Child Care an Teaching(ECCT), including relationships between ECCT and generalized self-efficacy. Instruments were the ECCT scale, the generalized self-efficacy scale, and self-evaluation concerning CCT. Research design consisted of pre-test, CCT practices. and post-test. Results showed that ECCT scores increased after CCT practice: ECCT was related with generalized self-efficacy and to self-evaluation concerning CCT.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CCT experience is important to student teachers' perceived ECCT, and ECCT, in turn, is a predictor of actual CCT behavior.

  • PDF

예비보육교사의 행동특성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on Self-Efficacy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설희정;문혁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6호
    • /
    • pp.113-123
    • /
    • 2013
  • This investigation studied 1)the correlations among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and 2)the mediating effects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on self-efficacy. The subjects were 240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S-center for nursery teacher education or I-center for nursery teacher education in the Incheon a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s among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were examined by showing correlations. Second, we found that in terms of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type D and type S show self-efficacy; they also have a direct impact on the social support indirectly affected through. Thus, social support can be seen as hav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

교사의 보육효능감과 다문화 보육효능감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lations between a teacher's nursery efficacy and multi-cultural nursery efficacy)

  • 현정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56-6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analyzing factors related to a teacher's nursery efficacy. In order to achieve its purpose, a study includes investigation about levels of 748 teachers' interest and knowledge in a child nursery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eachers' efforts for understanding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vailability of experience with a child c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teacher's multi-cultural nursery efficacy and general nursery efficacy.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a study found out that 4 factors (interest, knowledge, efforts, and experience) are related to nursery efficacy and the fact that a teacher's general nursery efficacy is highly associated with multi-cultural nursery efficacy. For this result,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child c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pporting general nursery efficacy play a critical role in supporting teachers' competency about a child c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Child Care Teacher Aptitude 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Efficacy of Child Care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 배문조;박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85-494
    • /
    • 2013
  •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을 파악하고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적성 중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에서 남녀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다른 영역에서 차이가 없음을 보여 보육교사의 성보다는 보육교사직에 대한 소망과 자질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보육교사적성 중 업무에 대한 소명감이 보육교사전문성 인식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밝혀졌고, 창의성과 자기계발,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 수용성과 민감성, 안전관리능력이 보육효능감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의성과 자기계발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을 설명하는 주요변인으로 밝혀져 예비보육교사가 창의성을 가지고 자신을 계발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다문화교수역량을 높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보육교사의 안전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및 자기효능 (A Study on Safety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Self-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 박영례;김경희;최미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478-485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afety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self-efficacy in child care teacher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394 teachers from child care centers in Seoul city.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a Safety Knowledge Test, Health Belief Scale and Self-efficacy Scal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SPSS 11.0 Win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The mean was 12.11 for safety knowledge, 38.31 for health belief, and 91.07 for self-efficac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safety knowledge according to safety education, in the level of health beliefs according to length of service as a teacher and in the degree of self-efficacy according to age, and length of service as a teach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afety knowledge and health belief, and between safety knowledge and self-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programs to improve safety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self-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to decrease the proportion of accidents involving children in Korea.

  • PDF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비교 분석 (Influence of Teachers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 Analysis by Comparing Public and Private Child Care Centers)

  • 이점자;김형모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1-120
    • /
    • 2012
  • 본 연구는 보육현장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보육교사들이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데 변화의 잠재력을 보여주고 이들을 발전시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영유아와 학부모에게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의 개인적 특성과 효능감을 비교하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실천과제를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린이집 소재지는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 모두의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공통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들과는 달리 가정연계 및 긍정적 학습환경 조성효능감에서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있어 의사결정참여 효능감이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