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ectiveness of e-Learning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3초

효과적 이러닝 실습전략을 위한 온라인 시뮬레이션 구현방법 및 학습활동 분류 (Classification of Online Simulation Content for Effective Engineering E-Learning Courses)

  • 황석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77-83
    • /
    • 2010
  • 공학교육에서의 이러닝 실습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온라인 시뮬레이션이 포함된 콘텐츠의 내용 구성방법과 완료된 콘텐츠의 활용방법이다. 공학분야에서 실습을 온라인으로 구현하려는 교수자는 실습 시뮬레이션을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온라인 실습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도록 다양한 학습활동을 구성해야 한다. 실습을 지도하는 교수자도 온라인 시뮬레이션의 효과를 담보하는 교수학습활동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즉, 공학교육의 모든 교수자는 이러닝 콘텐츠에서 온라인 실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어떠한 교수학습 활동 및 전략이 필요한지를 파악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온라인 실습의 개발 유형을 구분하며 이 유형에 따른 교수학습활동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고 교수학습활동을 교육 이론과 비교, 검토하여 온라인 실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교수방법 및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이러닝 준비도가 온라인 교육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Effect of Family Strengths on Learning Outcomes in Online Education: Mediating Effect of E-learning Readiness)

  • 김남이;심문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05-41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based online education learning outcomes. Our results provide basic data for proposing strategies to increase online education learning outcome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surveyed by 133 nursing students who took online education using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at three nursing colleges in Daejeon, Jeonbuk, and Gyeongbuk.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arning readiness of the subject and online education learning outcomes,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obel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effectiveness of the pathway. Resul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arning readiness and online education learning outcomes of nursing students, family strengths were determined to exert absolute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Our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improve e-learning readiness, the basic curriculum for nursing students should include web-based communication, cooperation, and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cluding interaction for online education. Improvements in family strengths can be achieved through home study activities, such as frequent conversations with members, monitoring achievements of the students, and sharing family leisure activities.

e-러닝 시스템의 교수-학습 기능 지원을 위한 명세화된 참조 모델 (The Specified Reference Model for Supporting a Teaching&Learning Function of the e-Learning System)

  • 이우범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3-31
    • /
    • 2009
  • e-러닝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교수-학습 기능의 지원 정도는 학습효과 향상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e-러닝의 기획, 개발, 운영, 평가 등에 있어서 시스템이 지원하는 기능에 기반 한 명세화된 참조 모델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의 e-러닝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 기능 지원을 위한 명세화된 참조 모형을 제안한다 제안한 명세화된 참조 모형의 유효성은 e-러닝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해서 검증한 결과, 이전의 e-러닝 시스템보다 $11%{\sim}23%$의 효율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안 모델의 활용성 검증을 위해서 기존의 e-러닝 시스템을 참조 모형에서 제시된 교수-학습 기능의 지원 정도에 따라서 사전 평가한 결과, 실제 해당 사이트를 경험한 수요자들의 서비스 요구도에 의한 만족도와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다.

  • PDF

AMN을 이용한 반복학습 제어기의 성능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of repetitive learning controller using AMN)

  • 정재욱;국태용;이택종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7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한국전력공사 서울연수원; 17-18 Oct. 1997
    • /
    • pp.1573-1576
    • /
    • 1997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ssociative menory network(AMN) controller for learning of robot trajectories. We use AMN controller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onventional learning control, e.g. RCL, which had studied by Sadegh et al. Computer simulations show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MN controller.

  • PDF

Acceptance and Effectiveness of Distance Learning in Public Education in Saudi Arabia During Covid19 Pandemic: Perspectives from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 Alkinani, Edrees 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2호
    • /
    • pp.54-65
    • /
    • 2021
  • The movement control order and shutting down educational institution in Saudi Arabia has jeopardize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Education was shifted to distance learning in order to avoid any academic loss. In the middle of the Covid-19 crisis, there is a need to assess the full image of e-learning in Saudi Arabia. To investigate student and teachers' perception and acceptance, parents' attitudes and believes about distance education are the main goals of the study. The mix-method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to collect data. Three surveys were distributed to 100 students and 50 teachers and 50 parents from different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audi Arabia, whil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parents. Random stratified and convenient sampling methods were adopted. Both descriptive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25.0 and NVIVO software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accordingly. The findings showed that students are comfortable with remote education and are receiving enough support from schools and instructors but they think online education can't replace conventional face-to-face learning. Moreover,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are having challenges in preparing online classe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conducting online classes and the lack of training. However, parents showed negative attitudes regarding the benefits and values of remote education and preferred conventional learning styles in elementary schools. Parents tended to reject and resist distance learning for several reasons: professional knowledge and lack of time to support their young kids in online classes, the shortcomings of e-learning, young children's inadequate self-regulation. Saudi parents are neither trained nor ready to use e-learning. The study provided suggestion and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policymakers.

중소기업 사내 e-learning 효과성에 관한 실증분석 (A Study of effectiveness in Web-based educ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 채경민;박정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5권2호
    • /
    • pp.71-81
    • /
    • 2007
  • This study is to design the web-based educational setting in industry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online teaching in Korea.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educational influence on employee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 because these experimental settings are differed from universities or large firms often called Jaebael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education setting especially personalization content materials greatly influences on the speed and quality of employees' learning. Also the positive attitudes of employees toward the learning environment correlate to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in SME.

  • PDF

과학 교과에서 학습 동기 전략을 활용한 4E&E 순환학습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4E&E Learning Cycle Model using Learning Motivation for School Science)

  • 하태경;심규철;김현섭;박영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27-545
    • /
    • 2008
  • 본 연구는 과학교육에서 학습동기 요소를 활용한 4E&E순환학습모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모형은 동기설계와 수업설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4E&E순환학습모형은 유인(Engage), 탐색(Exlpore), 설명(Explain), 확장(Expand) 등의 4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마다 평가(Evaluate)와 feed-back을 통해 순환적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4E&E순환학습 모형은 수업과정 중에 평가와 피드백을 통한 지속적으로 학습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고 있어 효과적으로 학습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 특히, 4E&E순환학습 모형은 학습동기유발전략을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실시함으로써 수업에 대한 매력도를 높이고 학습에 집중할 수 있어 과학교육에서 매우 효과적인 모형이라 할 수 있다.

Effectiveness of goal-based scenarios for out-of-class activities in flipped classrooms: A mixed-methods study

  • KIM, Kyong-Jee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9권2호
    • /
    • pp.175-197
    • /
    • 2018
  • Flipped classroom (FC) has gained attention as an active learning approach. Designing effective out-of-class activities to help prepare students for in-class activities is fundamental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FC.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Goal-Based Scenarios (GBS) for out-of-class learning in FC. Four out of twelve units in a medical humanities course for Year 2 medical students was redesigned into a FC format, where e-learning modules were designed using a GBS approach for out-of-class activities and classroom debates were implemented for in-class activities. The other eight units were delivered in a conventional classroom debate format, which included reading text materials as pre-class assignments. A formative evaluation stud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method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ir pre- and post-test scores between FC and conventional units. Student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the e-learning modules in GBS approach and preferred the structure of learning in the FC format. Students' pre-test scores were slightly higher in the FC units, yet their post-test scores were comparable with conventional units. This study illustrates students' perceptions that the learning was bettered structured in FC and that the out-of-class learning using the GBS approach helped them better prepared for in-class activities.

보육교사 양성 e-러닝 과정의 효과성 분석 (Effect of e-Learning for Kindergarten Teachers Training)

  • 조일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89-298
    • /
    • 2007
  • 본 연구는 보육교사 양성을 위해 개발된 e-러닝 과정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나타난 결과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며, 나아가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과정 개선 방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총 292명의 피험자가 참여한 양적 연구 결과, 사전-사후 성취도 검사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학업 성취도의 상승을 보였다. 이 효과는 교육 기회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계층인 저학력, 비보육전공자, 비수도권 근무자들에게 있어 더욱 크게 나타남으로써, e-러닝의 확산을 통해 보육교사의 질 측면에서의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이어 수행된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성취도 평가 방식, 미디어 활용 전략등에서 과정 설계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개선 사항들이 제시되었다.

  • PDF

이러닝 학습자들의 이러닝 이용동기 및 이용의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Learning Motives and Intent of e-Learning Learners)

  • 신호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25-233
    • /
    • 2019
  • 본 연구는 이러닝을 이용한 경험이 없는 대학생들이 이러닝의 특성 요인 중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이러닝을 이용하려고 하는지 이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경상북도에 소재한 Y대학과 K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단계에 걸쳐 연구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를 진행한 후, 조사결과와 전문가 인터뷰를 바탕으로 측정항목을 구성하고 이를 기본이론으로 하여 학습자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2차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이러닝의 가장 큰 이점인 자율성이 오히려 대학생들의 자기통제력을 낮추어 이러닝 이용 시 결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은 학습시간의 편의성, 학습과정의 용이성, 이러닝의 유용성으로 인해 이러닝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습공간의 편의성은 이러닝을 이용하는데 유용은 하지만 실질적인 이러닝을 이용하는 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내에서 이러닝을 활성화 시키고 학습자들의 학습효과를 증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