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activities

검색결과 2,191건 처리시간 0.033초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Management Of Students' Activities While Studying

  • Zozuliak-Sluchyk, Roksoliana;Tytova, Nataliia;Kozliuk, Oleksandr;Salata, Halyna;Ridei, Nataliia;Yashnyk, Svitlana;Litvinchuk, Svitl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2호
    • /
    • pp.14-20
    • /
    • 2021
  • The method of analysis and research is applied in the work methods of managing student activities. Effective forms and methods of student quality management are determined. The model of management of educational process of students is offered. The model is to activate the student's potential, while maintaining the classical educational paradigm. The analysis of features of management of activity of students in modern model of education is carried out.

경험표집법을 이용한 고등학생들의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주된 활동과, 활동 공간, 및 플로우를 중심으로 (An Experiential Study of a Week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What They Do, Where They Go, and How They Feel Flow)

  • 최인수;김순옥;황선진;이수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213-22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weekly lif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specially focused on their activities, locations, and flow.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16 high school students by the Experiential Sampling Method, employing a cellular-phone as a signaling device. Students reported, in response to the 6964 random signals, that 43.4% of their time was spent for social/leisure activities. An additional 31% percent of time was used for productive activities and the rest of times belonged to maintenance activities. When engaged in productive activities, they usually reported anxiety, while they felt bored for social/leisure activities and flow for maintenance activities. The most pervasive context of their lives was school (42.8%), followed by home (33.3%), public space (24.6%), and educational institutes (9.2%). In general, they experienced flow for the most of the locations, except educational settings in which they felt anxiety. The flow for productive activities varied by gender, pending on where they had productive activities, while other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tivity flow by locations.

치위생학과 학생과 보건의료계열 학생의 교육활동과 교육성과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performance of dental hygiene and other healthcare students)

  • 김훈;황수정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9-45
    • /
    • 2022
  • Background: Dental hygienists undergo 3 or 4 years of college education, and dental hygienist education must receive continuous feedback through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in 2018 with those from other departments in the healthcare field.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18. The survey data of 55 dental hygiene students and 60 healthcare students at K University were provided after excluding all identifying information.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for comparisons betwee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 other healthcare departments. Results: Regarding class-related activities,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passive in presentations, discussions, and projects and had significantly lower grades in cooperative learning and challenging learning. Regarding extra-class activities, dental hygiene students had significantly lower global learning and external experiences, domestic experiences, club activities, and interactions with professors. Regarding learning outcomes, students had significantly lower grades in writing, speaking, critical and analytical thinking, data evaluation, understanding of data meaning, problem-solving ability, goal setting and execution, core content extraction, human and material resource utilization, creative convergence thinking, statistical understanding and analysis, information technology use, collaboration, sense of community, stress management, time management, and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Conclusions: Dental hygiene education requires innovation in educational methods and efforts of instructors to improve poor learning activities and outcomes.

영유아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사회활동 참여 - 취업주부와 전업주부 남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by full-time housewives with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Comparison with working wives and full-time housewives' husbands)

  • 기은광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3호
    • /
    • pp.45-6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by full-time housewives with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The data in this study comes from a 1 percent free sample of the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collected by Statistics Korea. The statistical methods for this study were percentag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ccording to number of infants,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and number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Second, there was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between full-time housewives and full-time wives' husbands. Third, factors like full-time housewives' age, educational level,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children, number of rooms, and occupancy status affecte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by full-time housewives. These results show that full-time housewives were under pressure in relation to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because of their caregiving labor but participated in religious and educational activities actively.

초등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의 교육적 의미 탐구 (Exploring on the Educational Aalues in After School Sports-leisure Activity)

  • 고문수;김재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457-465
    • /
    • 2012
  • 본 연구는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의 수혜자인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현장의 교사가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토대로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1년 수도권 소재의 Y초등학교에서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5학년 학생 3명과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부모 3명 그리고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3명의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토대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과 후 스포츠여가활동의 교육적 의미는 신체활동의 다양한 가치 체험 [학생들의 건강 및 체력의 향상, 학교생활의 적극성 강화, 신체적 자기개념 및 효능감 증진], 학교체육과 생활체육과의 만남, 교육복지 실현: 교육격차의 해소, 체육문화에의 입문 등이 도출되었다.

기업가정신 교육의 핵심교육요소와 교육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sential Educational Elements and Educational Activitie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 최믿음;김민성;김정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04-115
    • /
    • 2022
  • 최근 세계 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글로벌 거대 IT 기업들의 출발은 창업자의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에 기반한 스타트업이었다. 주변의 문제를 인지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업가정신의 발현이 수많은 사람들이 누리는 서비스로 승화되어 경제적, 사회적 기여를 가져오자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 기업가정신 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연구들은 대체로 교육과 교육수혜자들의 창업의도와의 관계를 밝히는데 집중해 왔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교육 과정의 중요도와 체계적 접근이 부족하다는데 문제의식을 가지고 AHP 분석 기법을 활용해 기업가정신 관련 교육을 진행하는 교육자들을 대상으로 교육 과정에 있어 핵심이 되는 요소와 교육활동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외 교육자들은 역량 교육 차원을 인성 교육 차원보다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 교육 차원 내에서는 습관이 태도보다 중요하다고 평가하였으며, 역량 교육 차원에서는 기법 교육 모듈이 지식 교육 모듈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8개 교육활동에 대한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이 연구가 기회포착형 창업에 대한 대응뿐 아니라 국내 기업가정신 교육의 저변이 보다 안정적으로 확대되는데 기여하길 기대한다.

아동 요리활동의 교육적 효과 및 만족도 조사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ffect and Satisfaction of Cooking Activities for Children)

  • 박희나;정희선;주나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55-46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satisfaction towards, and effects of children's cooking activity programs held at children's cooking schools, which have recently been gaining interest as an effective integrated educational method. Also,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good teaching-learning methods, which can be applied to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showed that 84.1%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aspects of the programs. People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teachers' "teaching ability", and were least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fees". The satisfaction scores for the children's cooking programs were higher when they were performed in a school class environment as compared to a cultural center environment, and children who had participated for more than 12 months were more satisfied than those who had only participated 1 to 3 months. Quantitatively, of the 24 measured evaluation categories grouped into 6 fields that measured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he cooking programs, the greatest effects were found on the children's self-confidence and sense of achievement in the social emotion field, and the lowest effect was found on their writing ability in the language field. In addition, scores were higher when the cooking activities were performed in a private cooking school environment as compared to a cultural center environment. Scores were also higher when the educational program lasted 7 to 9 months as compared to only 1 to 3 months.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과 예술경험 영역의 교육활동에 대한 교원들의 이해도와 그 보완 (An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and Its Complementary Plan on Activities of Social Relationships & Art Experience Area in the Nuri-Curriculum)

  • 정다운;윤양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45-358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과 예술경험 영역에 대한 교원들의 이해도를 분석하여 유치원 교원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자료 또는 주요 교육 프로그램 구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사회관계 활동과 예술경험 활동에 대한 교원들의 이해도 조사 설문 22문항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유치원 현직교원 650명과 예비교원 78명으로 총 728명이였다. 조사 결과 분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SPSS 23이었고, 자료 분석의 유의수준은 .05, .01, .001이었다. 본 연구 결과 자료에 근거하여 제시할 수 있는 결론은 누리과정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인구통계학적 변인별로 상대적 보완책을 강화하여 운영 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유치원 교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나 연수 활동은 유치원의 설립유형별-운영형태별 분석 결과와 교원들의 근무지역별-담당학급 규모별-담당 유아 연령별 분석 결과, 교원들의 경력-연령-소지자격별 분석 결과, 그리고 현장교원과 예비교사의 이해도 분석 결과별로 보완책을 수립하여 운영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교육을 위한 사회관계 활동의 경우는 유아 자신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자신이 가능한 일들과 가족들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실천하면서 이들을 소중하게 생각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하고, 유아교육을 위한 예술경험 활동의 경우는 음악적 요소-움직임 요소-미술적 요소 등을 탐색하여 예술적 표현 활동과 감상 활동이 통합된 경험이 되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숲 체험활동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the Nee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 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189-5197
    • /
    • 2015
  • 본 연구는 숲 체험활동에 대한 유아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도를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17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클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현황은 빈도분석을,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는 빈도분석 및 분산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의 숲 체험활동에 대한 교육적 효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 및 요구에서 숲 체험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추천과 권장할 것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숲 체험 교육의 중요성과 유아교사들의 인식이 유아의 자연과 상호작용하면서 그 안에서 인간과 자연과 공존의 중요성을 깨닫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숲 체험 교육이 그만큼 중요하고 유용함을 시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