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by full-time housewives with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Comparison with working wives and full-time housewives' husbands

영유아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사회활동 참여 - 취업주부와 전업주부 남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Ki, Eun Kwang (Dept. of Care and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th, Seojeong College)
  • 기은광 (서정대학교 아동청소년보육과)
  • Received : 2016.05.29
  • Accepted : 2016.07.29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by full-time housewives with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The data in this study comes from a 1 percent free sample of the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collected by Statistics Korea. The statistical methods for this study were percentag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ccording to number of infants,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and number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Second, there was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between full-time housewives and full-time wives' husbands. Third, factors like full-time housewives' age, educational level,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children, number of rooms, and occupancy status affecte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by full-time housewives. These results show that full-time housewives were under pressure in relation to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because of their caregiving labor but participated in religious and educational activities actively.

Keywords

References

  1. 강성구.김영수(2000). 전업주부의 운동참여 및 여가활동참여가 우울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4, 189-197.
  2. 김선미(2004). 전업주부는 어떻게 정체성을 유지하는가?-사회문화적 압력에 대한 저항과 종교활동 그리고 정당화. 한국생활과학회지, 13(56), 723-739.
  3. 김정숙(2006). 주부의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경제활동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소영(2016). 미취학자녀를 둔 부부의 무급노동시간 변화와 관련요인- 1999년-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윤정. 강현정(2013). 베이비부머의 사회활동 참여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3), 1090-1099.
  6. 김종선(2016). 한국 노인의 사회기여활동 참여가 당사자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하영(2008).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기혼여성의 여가활동 참가유형, 여가유능감 및 가족여가공유여부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3), 85-96.
  8. 김혜경(2000). 중년기 전업주부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와 사회적 정체감 : 상징적 상호작용론적관점에서. 한국가족복지학, 5, 129-153.
  9. 노혜숙. 한정신. 전경옥. 김영희. 김영란(1998). 한국주부의 사회참여활동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37, 167-294.
  10. 머니투데이뉴스(2016.6.23.). 광고비 20억, 인력 55명 쓰고도 보육혼란 자초한 복지부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62215012239199&outlink=1.
  11. 박주홍. 구차순. 김건(2012), 경력노인 인적자원 활용방안-재능나눔활동을 중심으로-. (재)부산복지개발원.
  12. 배수옥(2011). (여성평생교육에 관한) 교육인류학 리포트 : 백화점 문화센터의 중산층 전업주부를 중심으로. 파주: 이담Books.
  13. 백종혜(1995). 주부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베이비뉴스뉴스(2015.9.17.). 어린이집 논란, 누가 전업주부를 화나게 하나? 정책 잘못 만든 정부, 여성 혐오자들…"보육 정책 관점 바꿔야" http://www.ibabynews.com/news/newsview.aspx?newscode=201509152110513970005068&categorycode=0010.
  15. 서지원(2007). 사회자본으로서의 가족자원에 대한 이해와 활용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3), 1-14.
  16. 서지원(2008), 노년기 경제적 복지를 위한 사회투자정책의 방향 : 인적자본 및 사회자본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31-55.
  17. 서희열. 정덕주(2005). 여성의 사회활동 극대화를 위한 조세 지원 방안. 세무학연구, 22(2), 67-95.
  18. 이선미(2008). 여성은 왜 자원활동에 참여하는가? : 자원활동 참여동기와 성찰성. 젠더와 사회, 7(2), 212-236.
  19. 이정은(2010). 국제결혼 가정의 외국인 신부와 지역사회 활동. 중앙민속학, 15, 127-171.
  20. 이제홍. 최원오. 이혁(2008). 전업주부의 생활체육 참여특성과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4(1), 617-629.
  21. 이준웅. 김은미. 문태준(2005). 사회자본 형성의 커뮤니케이션 기초. 한국언론학보, 49(3), 234-261.
  22. 장혜경. 김영란(2000). 전업주부의 심리. 정서적 안녕과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3. 정현희. 구혜령(2003). 전업주부의 사회활동참여에 따른 유형화와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7(1). 153-167.
  24. 정혜선(2010). 영유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품앗이육아공동체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9(3). 429-441. https://doi.org/10.5934/KJHE.2010.19.3.429
  25. 통계청(2012). 2011년 혼인 이혼 통계.
  26. 통계청(2015). 2010 인구주택총조사.
  27. 통계청(2016). 2016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28. 한아름. 김여진(2012).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활동. 문화적응스트레스 그리고 우울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3, 75-104.
  29. 한학진. 강혜숙(2012). 여성들의 여가활동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직장여성과 전업주부 간 비교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4)1, 181-200.
  30. 홍민희(2004).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주부 참여가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홍윤숙(2009).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여가만족과 여가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8(2), 1239-1246.
  32. 황종남(2009). 중. 고령자의 사회활동 참여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Booth, A.(1972). Sex and social particip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7(2). 183-193. https://doi.org/10.2307/2094026
  34. Iezzi, D. F. & Deriu, F.(2014). Women active citizenship and wellbeing: The Italian case. Quality and Quantity, 48(2), 845-862. https://doi.org/10.1007/s11135-012-9806-0
  35. SBS(2015.9.14.). "취재파일" 전업주부가 '맘충이'?…왜 이들이 욕을 먹어야 하나 http://m.news.naver.com/ read.nhn?mode=LSD&sid1=102&sid2=320&oid=096&aid=0000400257
  36. Umberson, D., Chen, M. D., House, J. S., Hopkins, H. & Slaten, E.(1996).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re Men and Women Really So Differ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1(5), 837-857. https://doi.org/10.2307/2096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