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ssential Educational Elements and Educational Activitie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기업가정신 교육의 핵심교육요소와 교육활동에 관한 연구

  • 최믿음 (동덕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콘텐츠전공) ;
  • 김민성 (고려대학교 미디어산업연구센터) ;
  • 김정환 (부경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Received : 2022.03.21
  • Accepted : 2022.05.07
  • Published : 2022.06.28

Abstract

Recent companies that have grown to be the world's largest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nd have a substantial impact on the global economy started as start-ups built on the founder's entrepreneurship. As a consequence,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is research examined the essential elements and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educational process among educators who undertake entrepreneurship-related education, using AHP methodologies. The study revealed that both educators rated competency education as more essential than character education. Within the character education dimension, habits were deemed more significant than attitudes, while within the competency education dimension, the technique education module was seen more important than the knowledge education modul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ustained expansion of domest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 well as to the response to opportunity entrepreneurship.

최근 세계 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글로벌 거대 IT 기업들의 출발은 창업자의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에 기반한 스타트업이었다. 주변의 문제를 인지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업가정신의 발현이 수많은 사람들이 누리는 서비스로 승화되어 경제적, 사회적 기여를 가져오자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 기업가정신 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연구들은 대체로 교육과 교육수혜자들의 창업의도와의 관계를 밝히는데 집중해 왔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교육 과정의 중요도와 체계적 접근이 부족하다는데 문제의식을 가지고 AHP 분석 기법을 활용해 기업가정신 관련 교육을 진행하는 교육자들을 대상으로 교육 과정에 있어 핵심이 되는 요소와 교육활동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외 교육자들은 역량 교육 차원을 인성 교육 차원보다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 교육 차원 내에서는 습관이 태도보다 중요하다고 평가하였으며, 역량 교육 차원에서는 기법 교육 모듈이 지식 교육 모듈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8개 교육활동에 대한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이 연구가 기회포착형 창업에 대한 대응뿐 아니라 국내 기업가정신 교육의 저변이 보다 안정적으로 확대되는데 기여하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최현성, 공윤엽,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교육 및 직계가족 창업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창업학회지, 제17권, 제1호, pp.91-113, 2022. https://doi.org/10.24878/TKES.2022.17.1.91
  2. 김재현, 임흥순, 이종훈, "청년몰 자금, 교육, 컨설팅지원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청년상인 기업가정신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제12권, 제6호, pp.543-553, 2021.
  3. 박동, 김안국, 황규희, 이종선, 이봉주, 청년 지식기술창업 연구,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10.
  4. K. H. Vesper and W. B. Gartner, "Measuring Progress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12, No.5, pp.403-421, 1997. https://doi.org/10.1016/S0883-9026(97)00009-8
  5. 정선영, 김도현, 김래영,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창의성 역량과 사회적 문제해결력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제31권, 제3호, pp.435-454, 2019. https://doi.org/10.17927/TKJEMS.2019.31.3.435
  6. 도혜원, 김경환, "창업교육과 구분된 기업가정신 교육의 필요성 연구," 한국창업학회 2017년 추계학술대회발표집, pp.250-251, 2017.
  7. 정현진, 김창완, "4차산업혁명 시대 디자인씽킹 기반의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레임워크 연구," 한국창업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75-200, 2018. https://doi.org/10.24878/TKES.2018.13.1.175
  8. 유재봉, 교육평가 용어사전, 서울:학지사, 2004.
  9. T. M. Amabile,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No.10, pp.123-167, 1988.
  10. G. T. Lumpkin and G. D. Gregory, "Clarifyi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struct and Linking it to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 No.1, pp.135-172, 1996. https://doi.org/10.5465/AMR.1996.9602161568
  11. 배종태, 차민석, "기업가정신의 확장과 활성화," 중소기업연구, 제31권, 제1호, pp.109-128, 2009.
  12. G. Beaver, "Entrepreneurship: Starting. Developing and Managing a New Enterprise," International Small Business Journal, Vol.13, No.3, pp.100-103, 1995. https://doi.org/10.1177/0266242695133007
  13. R. D. Hisrich, M. P. Peters, and D. A. Shepherd, Entrepreneurship. USA:McGraw-Hill, 2013.
  14. J. G. Covin and P. S. Dennis, "A Conceptual Model of Entrepreneurship as Firm Behavior,"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16, No.1, pp.7-26, 1991. https://doi.org/10.1177/104225879101600102
  15. S. G. Scott and R. A. Bruce,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No.3, pp.580-607, 1994. https://doi.org/10.2307/256701
  16. 김영수, 성상기, "기업가정신교육의 교과내용과 방법에 관하여: HAKS모형에 기반한 모듈식 교육방안," 상업교육연구, 제29권, 제5호, pp.1-30, 2015. https://doi.org/10.34274/KRABE.2015.29.5.001
  17. J. W. Creswell and C. N. Poth,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UK:Sage Publications, 2016.
  18. M. Rosman, Z. Ahmad, I. Norlailam, J. Nik, and Y. Najihah, "The Impact of Entrepreneur Educ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 Vol.16, No.4, pp.171-180, 2020.
  19. S. Z. Mohamed,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on Economic Growth in 95 Developing and Emerging Countries," Scientific Annals of Economics and Business, Vol.68, No.2, pp.145-162, 2021. https://doi.org/10.47743/saeb-2021-0014
  20. B. Xu, H, Yu, and L, Li,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on regional economic growth: a perspective of spatial heterogeneity," Entrepreneurship and Regional Development, Vol.33, pp.309-331, 2021. https://doi.org/10.1080/08985626.2021.1872940
  21. 황보윤, "기업가정신 교육 필요성과 국내 생태계에 관한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 춘계학술대회, pp.95-101, 2016.
  22. N. Elert, F. Andersson, and K. Wennberg,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High School on Long-Term Entrepreneurial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s Sciences, Vol.1, No.1, pp.83-98, 2008. IFN Working Paper No.1063, 2015. https://doi.org/10.1504/IJSSCI.2008.017590
  23. 이은주, 오성은, "핵심역량에 기초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20호, pp.145-173, 2020.
  24. 강경균, 이윤주, 노성호,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II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6.
  25. 김동욱, 김민철, "제주특별자치도의 외국의료기관 유치선택방안: AHP 분석결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2권, 제2호, pp.55-74, 2008.
  26. T. L. Saat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2nd ed.). PA:RWS Publications, 1990.
  27. 김성철, 어하준, "AHP가중치 결정에서의 다수전문가 의견종합 방법," 한국경영과학회지, 제19권, 제3호, pp.41-51, 1994.
  28. T. L. Saaty, "Decision making wit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s Sciences, Vol.1, No.1, pp.83-98, 2008. https://doi.org/10.1504/IJSSCI.2008.017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