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Tools

검색결과 680건 처리시간 0.029초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 온라인 협업 툴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Use Online Collaboration Tools for the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 서재이;안선주;최정일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571-591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online collaboration tools for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perspective of the learners. Methods: For empirical analysis, the survey of this study was administered with data that were limited to experienced learners using online collaboration tools such as Google Docs, Allo, Padlet, and Slido in online education environments such as Zoom, Webex, MS Teams, etc. and valid 400 data were analyzed by SPSS(ver 22.0) and R(ver 4.1.0) program package. Result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performance expectancy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reliability of system quality, empathy of service quality, playfulness and informativity of content qualit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ollaboration tool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security of system quality, responsiveness of service quality, and extroversion of use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did not affect. It was analyzed that playfulness had the greatest positive effect, followed by informativity, empathy, and reliabilit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ollaboration tools, it was found that the reliability and security of system quality and informativity of content quality had an effect on the effort expectancy. It was analyzed that informativity has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security and reliability.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perspectives of users and learners, who can be said to be the end customers of online collaboration t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not only platform operators that provide online collaborative tools, but also providers that use online collaboration tools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edutech and infrastructur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Multimedia for Professional Training of Future Specialists

  • Plakhotnik, Oleh;Strazhnikova, Inna;Yehorova, Inha;Semchuk, Svitlana;Tymchenko, Alla;Logvinova, Yaroslava;Kuchai, Oleksand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9호
    • /
    • pp.43-50
    • /
    • 2022
  • For high-quality education of the modern generation of students, forms of organizing the educational process and the latest methods of obtaining knowledge that differ from traditional ones are necessary. The importance of multimedia teaching tools is shown, which are promising and highly effective tools that allow the teacher not only to present an array of information in a larger volume than traditional sources of information, but also to include text, graphs, diagrams, sound, animation, video, etc. in a visually integrated form. Approaches to the classification of multimedia learning tools are revealed. Special features, advantages of multimedia, expediency of use and their disadvantages are highligh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apabilities of multimedia teaching tools gave grounds for identifying the didactic functions that they perform. Several areas of multimedia application are described. Multimedia technologies make it possible to implement several basic methods of pedagogical activity, which are traditionally divided into active and passive principles of student interaction with the computer, which are revealed in the article. Important condi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technologies in the educational process are indicated. The feasibility of using multimedia in education is illustrated by examples. Of particular importance in education are game forms of learning, in the implementation of which educational elements based on media material play an important role. The influence of the game on the development of attention by means of works of media culture, which are very diverse in form and character, is shown.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multimedia in student education is indicated. In the educational process of multimedia students, a number of educational functions are implemented, which are presented in the article. Recommendations for using multimedia are given.

Exploring dietitians' views on digital nutrition educational tools in Malaysia: a qualitative study

  • Zahara Abdul Manaf;Mohd Hafiz Mohd Rosli;Norhayati Mohd Noor;Nor Aini Jamil;Fatin Hanani Mazri;Suzana Shahar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8권2호
    • /
    • pp.294-307
    • /
    • 2024
  • BACKGROUND/OBJECTIVES: Dietitians frequently use nutrition education tools to facilitate dietary counselling sessions. Nevertheless, these tools may require adaptation to keep pace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is study had a 2-fold purpose: first, to identify the types of nutrition education tools currently in use, identify their limitations, and explore dietitians' perspectives on the importance of these tools; second, to investigate the features that dietitians prefer in digital nutrition education tools. SUBJECTS/METHODS: A semi-structured face-to-face interview was conducted among 15 dietitians from selected public hospitals, primary care clinics, and teaching hospitals in Malaysia. Inductive thematic analysis of the responses was conducted using NVivo version 12 software. RESULTS: Most dietitians used physical education tools including the healthy plate model, pamphlets, food models, and flip charts. These tools were perceived as important as they facilitate the nutrition assessment process, deliver nutrition intervention, and are time efficient. However, dietitians described the current educational tools as impersonal, outdated, limited in availability due to financial constraints, unhandy, and difficult to visualise. Alternatively, they strongly favoured digital education tools that provided instant feedback, utilised an automated system, included a local food database, were user-friendly, developed by experts in the field, and seamlessly integrated into the healthcare system. CONCLUSION: Presently, although dietitians have a preference for digital educational tools, they heavily rely on physical nutrition education tools due to their availability despite the perception that these tools are outdated, impersonal, and inconvenient. Transitioning to digital dietary education tools could potentially address these issues.

프로그램 교육목표 달성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for Evaluating the Achievement of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 김한종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72-78
    • /
    • 2009
  • 프로그램의 교육목표는 졸업 후 3~4년 후에 성취하여야 할 목표로 정의되며 이러한 교육목표 달성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는 프로그램 별로 개발을 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 교육목표 달성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도구로 졸업생 및 산업체 고용주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설문루브릭을 이용한 간접평가 방법과 정량적 평가가 가능하도록 현황조사를 이용한 직접평가가 가능하도록 평가방법을 개발하고 다양한 평가 도구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기 졸업생 및 산업체 고용주들을 대상으로 모의평가를 실시하여 교육목표 달성도를 평가하여 보았다.

  • PDF

수학체험교구 개발 모형 및 이를 적용한 최대공약수 교구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Tools for Math Activities & it's Application)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587-603
    • /
    • 2020
  •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중요한 수단이자 교육적 도구인 수학체험교구를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최근 활동이론(action theory)에 근거한 수학교육이 강조되면서 다양한 수학체험교구가 개발되고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비교과활동을 통해 활용되고 있지만, 실제 수학수업에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구로 수학체험교구가 개발되어 활용되는 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수학과 교육과정에 부합되고, 수학적 근거가 명확한 체험교구는 체계적으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체험교구를 개발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으로 체험교구 개발 모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개발 모형에 따라 최대공약수 체험교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모형과 실제 구현된 체험교구를 통해 다양한 수학체험교구의 개발이 실제적으로 실행되고, 수학적 기초에 근거한 수학체험교구가 다양하게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용 하이퍼미디어 자료 편집기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Educational Hypermedia Editor)

  • 이기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92-101
    • /
    • 1997
  • 컴퓨터 환경 및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하이퍼미디어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제작도구가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이퍼미디어 프로그램 지원 지능이 부족하거나 사용법이 불편하다. 또, 제작된 프로그램에서의 새로운 노드의 생성 및 데이터의 추가는 불가능하여, 교수-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학습 자료 및 정보를 누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편하게 하이퍼미디어 교육 자료를 제작하여 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하이퍼미디어 자료 편집기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CAI와 관련된 교수 학습 이론과 하이퍼텍스트 및 하이퍼미디어 관련 이론을 고찰하고, 국내 외의 제작도구의 특징을 분석하여, 편집 모드와 실행 모드가 함께 제공되는 하이퍼미디어 자료편집기를 설계 구현하였다. 본 자료편집기는 자료제시형의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제작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므로 학생들의 조사 학습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사용될 수 있으며, 사회과 등에서의 활발한 사용이 기대된다.

  • PDF

영작문 도구로서의 인공지능번역 활용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인식연구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use of AI Translation Tools in EFL Writing)

  • 양재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121-128
    • /
    • 2024
  • 최근 AI기반 온라인 번역 도구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교육적 활용 방안 및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를 30명을 대상으로 AI기반 온라인 번역도구를 활용한 영작문 과업을 수행하고 영어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실제적 경험을 기반으로 AI번역도구에 대한 활용 가능성, 교육적 활용도 및 장단점 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작문시험,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영어 글쓰기의 완성도 및 충실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으며, 학습자들의 인식에서도 번역도구의 사용은 학습에 대한 즉각적인 지원과 편의성을 제공, 효과적인 도구활용을 위한 교육적 전략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도 나타났으나, 번역의 완성도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도구 활용에 대한 과용과 의존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었다. 번역도구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서 교육적 전략이나 교사의 역할의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슬기로운 생활" 교과를 위한 성취기준, 평가기준 및 평가도구 개발 (Developing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Tools for "Intelligent Life" Course of Elementary School)

  • 배진호;안정민;김재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2호
    • /
    • pp.93-100
    • /
    • 2004
  • To get an appropriate and meaningful performance assessment outcomes and to provide the base of essential elementary educational evaluations, we had tried to establish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and had developed appropriate assessment tools in 「Intelligent Life」 course of the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The following things were taken into account to establish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and to develop assessment tools. First, managing deeply not only cognitive domain but also the basic inquiry skills and affective domain, all-round educational properties of integrated courses were likely to come out. Second, evaluating instructional processes as well as instructional results, we had developed assessment standards in elementary 2nd grade's 「Intelligent Life」 course. Third, developing assessment standards on the basis of the 7th Curriculum, we had examined both text book and teacher's guide to promote effectiveness of field application. The type of an assessment tools had been developed various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lower grades and properties of elementary 2nd grade's 「Intelligent Life」 course. We had developed assessment tools to observe and evaluate practical achievement levels, placing great importance on the types of an assessment tools including observing, narrative of inquiry, report, etc.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s of the developed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and an assessment tools, were revealed in the affirmative on the whole.

  • PDF

사이버강좌 솔루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lution for the Cyber Education)

  • 남상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67-73
    • /
    • 2003
  • 최근, 인터넷어학원에서부터 가상대학까지 사이버강좌에 대한 관심이 크게 고조되고 있으며 이의 구현이 활성화되고 있다. 하지만 사이버강좌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솔루션의 도입과 콘텐츠의 구축에 있어서는 많은 어려움과 시행착오를 겪게 마련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강좌의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측면에서의 기본적인 필요 사항을 조사하였다. 하드웨어는 멀티미디어 편집장비, 서버, 교육기자재 둥으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실시간강의를 할 것인지 주문형강의를 할 것인지에 따라 기자재 도입의 차이가 있다. 또한 교육솔루션은 크게 콘텐츠 저작도구와 사이버강좌 운영을 위한 학습관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의 도입에 있어 핵심적인 고려 요소를 제시하였다.

  • PDF

디자인 기초 교과목의 컴퓨터 응용연구 (A Study on the Computer application of basic design courses)

  • 도화용;문재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37-46
    • /
    • 2002
  • 컴퓨터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이제는 디자인분야의 실무에 있어서도 필수도구로서 자리를 굳히기 시작하면서 이제가지 사용해 온 재래의 디자인 재료들은 점점 현장에서 사라져 가고 있다. 대학에서의 교육도 업무의 현장에 대한 직접적인 적응력을 기르기 위해 컴퓨터를 학습의 도구로 사용한지 꽤 되었다. 따라서 디자인 기초과목 중의 하나인 도학의 강의와 수업방법도 재래도구의 사용법을 응용하여 컴퓨터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도입한 새로운 강의 방식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