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Experience

검색결과 2,476건 처리시간 0.029초

체험경제이론에 의한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이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the Book Cur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Experiential Economy Theory on Perceived Valu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

  • 김미정;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24
    • /
    • 2022
  • 본 연구는 체험경제이론을 반영한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한 후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이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체험경제이론에 따른 4가지 요소 즉, 오락적 경험, 교육적 경험, 현실 도피적 경험, 심미적 경험을 교수·학습 활동에 반영하였다. 이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1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연구가설 1(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경험에 대한 인식이 프로그램의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은 심미적 경험과 오락적 경험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가설 2(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경험에 대한 인식이 지속적 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교육적 경험을 제외한 다른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과 예술경험 영역의 교육활동에 대한 교원들의 이해도와 그 보완 (An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and Its Complementary Plan on Activities of Social Relationships & Art Experience Area in the Nuri-Curriculum)

  • 정다운;윤양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45-358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과 예술경험 영역에 대한 교원들의 이해도를 분석하여 유치원 교원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자료 또는 주요 교육 프로그램 구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사회관계 활동과 예술경험 활동에 대한 교원들의 이해도 조사 설문 22문항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유치원 현직교원 650명과 예비교원 78명으로 총 728명이였다. 조사 결과 분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SPSS 23이었고, 자료 분석의 유의수준은 .05, .01, .001이었다. 본 연구 결과 자료에 근거하여 제시할 수 있는 결론은 누리과정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인구통계학적 변인별로 상대적 보완책을 강화하여 운영 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유치원 교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나 연수 활동은 유치원의 설립유형별-운영형태별 분석 결과와 교원들의 근무지역별-담당학급 규모별-담당 유아 연령별 분석 결과, 교원들의 경력-연령-소지자격별 분석 결과, 그리고 현장교원과 예비교사의 이해도 분석 결과별로 보완책을 수립하여 운영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교육을 위한 사회관계 활동의 경우는 유아 자신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자신이 가능한 일들과 가족들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실천하면서 이들을 소중하게 생각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하고, 유아교육을 위한 예술경험 활동의 경우는 음악적 요소-움직임 요소-미술적 요소 등을 탐색하여 예술적 표현 활동과 감상 활동이 통합된 경험이 되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중년여성의 빈둥지시기 경험 탐색과 평생교육학적 제안 (Exploring empty nest experience of middle aged women with implication on lifelong educational support)

  • 김정주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147-172
    • /
    • 2018
  • 이 연구는 중년여성의 생애사건 중 빈둥지시기의 경험에 대한 탐색을 통해 평생교육학적 의미를 찾고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중년여성에게 빈둥지시기는 자신의 삶을 재검토하고 재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그들에 대한 연구와 관심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중년여성이 빈둥지시기를 어떻게 경험하고 이를 통해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 면밀하게 살펴보고 이에 대한 평생교육학적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빈둥지시기를 경험하였거나 경험하고 있는 중년여성 10인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에 기반한 지속적 비교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통해 내용을 개념화하고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로 도출된 범주들을 가지고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빈둥지시기 경험과정에 대한 이야기의 윤곽을 그리면서 그들의 경험이 변화의지와 행동화의 핵심범주로 분류되어졌으며 그 결과 빈둥지시기 경험의 4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 4가지 유형은 자아탐색형, 역할순응형, 관계중심형 그리고 변화상실형 등으로 각 유형별로 상이한 특징과 경험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연구의 제한점과 중년여성을 위한 평생교육학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Applying design thinking to the educational problems: A student-centered instructional approach and practice in an undergraduate course

  • CHA, Hyunji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0권1호
    • /
    • pp.83-107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values and descriptive implications of the Design Thinking (DT) method into the context of educational problems of practice in an undergraduate course.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For the qualitative study, the student's productions and reflections on the experience of the application of the DT into educational problems were analyzed.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one-group pre and post-test were designed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T method into educational contexts in terms of creativity level to measure the student's Creativity Potential and Practiced Creativity,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nd Problem-Solving Inventory. This study validated that the DT metho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ose three competencies and also illustrated the detailed process from a qualitative viewpoint.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reflect the potential of the DT approach with the educational problem of practice, especially, in the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contexts for student-centered instructional setting.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접촉경험에 따른 문화적 역량과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 차이 (Difference of Cultural competence and Educational needs for cultural nursing competence by Cultural contact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 유장학;천의영;김해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867-875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접촉경험, 문화적 역량과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를 확인하고 다문화 접촉경험에 따른 문화적 역량과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S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 학생으로 자료수집은 2021년 10월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총 125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문화적 역량은 평균 3.49±0.55점,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는 평균 8.25±0.10점이었다. 대상자의 문화적 역량은 성적(F=7.465, p=.001), 다문화 친구(t=-2.477, p=.016)와 외국어 의사소통능력(t=-3.113, p=.002), 교외 다문화교육(t=-2.030, p=.045)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다문화 접촉 경험에 따른 문화간호역량 교육요구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높이기 위해 외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다문화 대상자와의 질적인 접촉경험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어린이용 가상세계의 교육적 특성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Virtual Worlds)

  • 류철균;안보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77-186
    • /
    • 2009
  • 가상세계란 컴퓨터를 매개로 하여 2D 혹은 3D로 구현된 가상 환경 속에서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영속적 공간으로 이 중 15세 이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가상세계를 어린이용 가상세계라 한다. 가상세계의 교육적 장점으로는 구체적 경험, 현존감, 경험의 공유, 협동 가능성, 유연한 환경을 꼽을 수 있으며 여기에 게임이 가지고 있는 흥미 요소인 명확한 목표, 도전, 협동, 경쟁, 환상을 보탬으로써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가상세계에서의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목표, 동기, 관계, 도움의 네 영역에 속하는 요소들을 두루 고려해야 한다. 이를 기준으로 하여 국내 어린이용 가상세계인 <노리스쿨>, <미스터 텅두>, <아즈로크>를 분석해 본 결과 명확한 목표 제시, 과제의 맥락화, 적절한 강화 제공은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준비성, 사회적 설득, 비계 설정 부분의 보완이 필요했다.

대학생의 성별 피임에 대한 지식정도와 교육 요구도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 about Contraceptives according to Sex in College Students)

  • 송주은;채현주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9-408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subjective, objective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 about contraceptives according to sex in college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84 male and 111 female college students on May, 2008. PASW 18.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jor, grade, place of residence, and experience of sexual intercourse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bjective knowledge about contraceptives between the two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ive knowledge.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knowledge about contraceptives. Even when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major, grade, place of residence, and experience of sexual intercourse were controlled, sex was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on subjective and objective knowledge about contraceptives. Educational need about emergency contraceptive pill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nd ranking of educational need about contraceptives was also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sex are needed to maximize the effect of contraceptive education and sexual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to give an education to college students.

어지럼에 대한 임상 간호사의 지식수준과 교육요구도 (Clinical Nurse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about Dizziness)

  • 박정희;이현정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1권4호
    • /
    • pp.259-265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clinical nurse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about dizziness. One of the most frequent complaints among adult persons visiting the hospital is experiencing dizziness. Clinical nurses in the hospital play a crucial role in managing such patients. Methods: Our paper is a cross-sectional survey using structured instruments to evaluate clinical nurse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about dizzi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January through February 2018. Subjects were 246 clinical nurses in an outpatient, intensive care, internal medicine unit and emergency department at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1. Results: The average ofdizziness knowledge score was 57.66± 23.75 (range 0-100) and educational need was 3.55 ± .47(range 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zziness knowledge according to age (p< .001), working unit (p< .001), career duration (p< .001), change experience of unit (p< .001), dizziness patient care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dizziness education (p< .001).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of dizziness and the need for dizziness education (r= .26 p< .001). Conclusion: Results of this paper indicate that a dizziness education program is urgently needed for clinical nurses. Such a program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based on our results.

중환자실 신규 간호사의 의사소통 상황 관련 교육 요구도 조사 (A Survey on Situation-related Communication Educational Needs for Novice Intensive Care Unit Nurses)

  • 황원정;하정민;박다혜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29
    • /
    • 2024
  • Purpose :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novice nurses' communication education need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nd Borich's need assessment model. This study identified communication challenges in clinical settings to develop a simulation program that enhances communication competencies based on educational requirements. Methods :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a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ere used. The latter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121 novice nurse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in the ICU at various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via the online open chatroom from June 24th to July 28th, 2023. The communication education needs were identifi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IPA, and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Text analysis was used to categorize the participants' communication experience. Results : The results revealed that "communication with physicians,"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communication with nurse on another shift" domains contained the most substantial educational needs for novice nurses work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s. Conclusion : The results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nd enhancing customized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s for novice ICU nurses. This valuable information could help ICU nurses and educators improve new nurses' communication skills, which woul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초등학교 교과과정에 나타나는 지역공공시설 유형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마을결합형학교 지역체험활동을 위한 - (Research on the Types of Regional Public Facilities that appear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 For Seoul Village-Coupled School Regional Experiential Activity -)

  • 손석의;김승제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3-10
    • /
    • 2020
  • Not only the education that follows the school curriculum but also the education that cultivates practical abilities, such a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elementary education in order to accept the social demand about the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mong these movements, 'village-coupled school' has been carried forward as a policy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ince 2016, and it is operating various programs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cooperation system of schools and villages. Particularly, each office of education is publishing the 'village resource sourcebook' and introducing the student experiential programs of public facilities that are located at each region in order to enable the experiencing of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utilized educational resources of the region. However, the standard or basis about the composition of the regional experiential learning curriculum is currently missing.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regional experiential learning, it seems that the school curriculum and associated facility experience or others would mutually increase the educational synergy effect. This research is a proposal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 of regional experiential learning. In the aspect of the experience at a public facility located in the region, it aims at analyzing the use, characteristic, and others of public facilities that appear in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 and propose the base data of the composition of the experiential activity program related to the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