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empty nest experience of middle aged women with implication on lifelong educational support

중년여성의 빈둥지시기 경험 탐색과 평생교육학적 제안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eek lifelong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pports for middle aged women who experience empty nest period. Empty nest period has gained limited attention in research even though it is an important period through which middle aged women review and re-evaluate their past life and prepare for their next.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how they experience the empty nest period and how it affects their life, and suggest lifelong educational implications. A total number of 10 middle aged women were interviewed. They were selected by the reason that they either have experienced or are currently in the empty nest period. The collected samples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based on grounded theory and were named & categorized through sequential process of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While story-telling the experiential process of empty nest period, this study found 2 main criteria, will of change and actualization, based on which 4 different types of middle aged women's experience were withdrawn. Those 4 types are self-seeking, role-adaptive, relationship-focused and change-unwillingly and each type was explained with its own characteristics. Based on study result, lifelong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middle aged women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중년여성의 생애사건 중 빈둥지시기의 경험에 대한 탐색을 통해 평생교육학적 의미를 찾고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중년여성에게 빈둥지시기는 자신의 삶을 재검토하고 재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그들에 대한 연구와 관심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중년여성이 빈둥지시기를 어떻게 경험하고 이를 통해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 면밀하게 살펴보고 이에 대한 평생교육학적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빈둥지시기를 경험하였거나 경험하고 있는 중년여성 10인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에 기반한 지속적 비교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통해 내용을 개념화하고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로 도출된 범주들을 가지고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빈둥지시기 경험과정에 대한 이야기의 윤곽을 그리면서 그들의 경험이 변화의지와 행동화의 핵심범주로 분류되어졌으며 그 결과 빈둥지시기 경험의 4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 4가지 유형은 자아탐색형, 역할순응형, 관계중심형 그리고 변화상실형 등으로 각 유형별로 상이한 특징과 경험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연구의 제한점과 중년여성을 위한 평생교육학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