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Contents

검색결과 3,099건 처리시간 0.036초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Factors on Satisfaction with Start-up Education and Start-up Intention)

  • 김기홍;김용태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5호
    • /
    • pp.33-41
    • /
    • 2014
  • 최근 들어 창업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창업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아울러 창업교육의 양적인 증가와 더불어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창업교육 방법의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을 교육 콘텐츠 특성, 교육시스템, 멘토 역량으로 분류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창업교육 만족도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중에서 교육 콘텐츠 특성과 멘토 역량이 창업교육의 만족도를 높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창업 멘토링 교육 콘텐츠 특성과 시스템은 창업의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의 효과적인 방법으로 확산되고 있는 창업 멘토링 교육에서 우수한 교육 콘텐츠 확보와 멘토 역량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의 창업 멘토링 운영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고 하겠다.

  • PDF

농대생의 농업교육훈련 만족도, 학습전이, 학습지속의향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atisfaction, Learning Transfer, Learning Persistence of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Agricultural Students)

  • 박혜진;유병민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3권3호
    • /
    • pp.233-242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transfer and learning persistence shown after actual education target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gr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of the factors related to learning persistence, satisfa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urned out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with a positive effect in the agr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agr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have a conspicuous object to learn for improving ability which is necessary for and applicable to agriculture. Second, of the three factors related to learning transfer in the agr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satisfa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facilities and satisfaction of environment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Third, results show that satisfaction of instructors does not affect both learning persistence and learning transfer. Lastly, in case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field practice, this study is suggesting the necessity of research by accessing in a concrete and detailed manner such as learning contents, instructors, educational facilities and satisfaction of environment from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he directivity of study related to satisfaction.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알고리즘 교육내용의 설계 및 검증 (Design and Validation of Education Contents of Algorithm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Computer Science)

  • 이재호;오현종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353-380
    • /
    • 2009
  • 영재교육의 시행 확대에 따라 정보과학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수학 과학 분야의 영재교육에 비하여 선발 및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결과물이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정보과학영재교육을 시행함에 있어 알고리즘 교육영역은 가장 핵심적인 분야 중 하나이나, 알고리즘 교육을 초등정보과학영재의 수준에 맞추어 교육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정보과학영재교육 분야 중 가장 핵심적인 영역인 알고리즘 교육내용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른 연구를 시행하였다. 첫째, 정보과학영재의 정의 및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정보과학영재교육의 목표 및 교육내용과 알고리즘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알고리즘 교육내용 개발 기준과 활동지 개발 기준을 제안하였다. 셋째,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 교육내용과 활동지 개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경인지역의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 전문가 그룹을 활용한 델파이 분석을 시행하였다.

마인드맵 온라인 교육 콘텐츠가 대학생의 고등사고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ndmap online educational contents on college students' higher think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 차승봉;박혜진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5-6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nline educational contents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in order to strengthen the learning cap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The theme of mind map online education contents is a mind map series for effective learning arrangement, and has been developed into a total of six contents. Each contents consisted of 20-30 minutes, and the details consisted of the concept, principle, learning case, how to write a mind map, and how to use a digital mind ma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ink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who took the mind map online education contents was improve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improved after taking the mind map online education contents. Third, the reason why students' higher think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improved in this study is that they wer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composition of contents and appropriate video time.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educational contents, it is necessary to examine specific cases using concepts from conceptual approaches to specific topics, and to faithfully reflect the procedure in which each learner can actually use the concept.

초.중.고등학교 가족생활 교육내용의 위계에 관한 연구 (The sequence of the Curriculum and Contents of Textbooks of Family Life Field of Home Economics Subject in Prmary, Middle and High School.)

  • 김경선;이남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5-28
    • /
    • 1990
  • The Sequence of the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Textbooks on Family Life Field of Home Economics Subject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quence of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textbooks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he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r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Family Life field in primary, middle an high school specified in the contents of textbooks\ulcorner 2. What are the sequence of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textbooks on Family Life Field of Home Economics subject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ulcorner The study results given by th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Family Life field and the sequence of the contents of textbooks of Home Economics subject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re the educational contents on Family Life field in the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pecified i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ulcorn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Considering the sequence of educational contents on Family Life field in primary school, we can find out that the subject aims have relevance to those of the forth and fifth grade in primary school, and those of the forth grade in primary school are specified in the contents of curriculum of the forth grade and the contents of curriculum of the forth grade are specified in the textbooks for the forth grade in primary school. The subject aims of the fifth grade are specified in the contents of curriculum of the fifth grade and the contents of curriculum of the fifth grade are specified in the textbooks for the fifth grade. 2〉Considering the sequence of educational contents on Family Life field in middle school, we can find out that the subject aims have relevance to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 in middle school, and those of the first grade in middle school are specified in the contents of curriculum of the first grade and the contents of curriculum of the first grade are specified in the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in middle school. The subject aims of the second grade are specified in the contents of curriculum of the second grade and the contents of curriculum of the second grade are specified in the textbooks for the second grade.

  • PDF

LTSA 기반 초등수학 안내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LTSA-based Guide System for Elementary Math)

  • 김태년;김영미;황대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1A권2호
    • /
    • pp.223-23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교육에서의 컨텐츠의 효율적 관리와 중복개발방지 및 재사용성을 위한 교육학습시스템의 표준화 수립과 수요자 중심의 맞춤교육을 통한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여 보다 효율적인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 근접한 LTSA기반의 초등수학 안내시스템을 제안한다. 학습자 특성에 따라 학습 진도/방법을 제시하여 프로그램학습의 기계적인 교육이 되지 않도록 학습자의 개인간차(학습자와 학습자)를 고려하였다. 또한 표준안을 기반으로 구현된 초등학교 교육 활용사례를 통한 교육의 학습내차(학습자 내부영역)의 문제를 부각시켜 시스템 내의 지도(coach)프로세스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학생 대상 증강현실기반 교육 콘텐츠 연구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Research on Augmented Reality Based Educational Content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손지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5-46
    • /
    • 2017
  • 본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교육 콘텐츠 연구들을 고찰해 보면서 연구동향과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06년에서 2016년까지 발표된 논문들을 수집한 후, 선정기준에 적합한 12편의 국외 연구들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선행연구들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한 연구가 많았으며, 연구설계는 단일대상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도구로는 증강현실을 위한 모바일 기기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측정방법으로는 행동관찰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증강현실기반 교육콘텐츠 유형은 사물조작형, 자기모델링 관찰조작형, 현장문제해결형, 위치기반 학습안내형으로 구분되었다. 교육적 효과는 사회적 행동, 놀이 및 모방행동, 타인에 대한 감정인식의 향상이 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 학생을 위한 증강현실기반 교육 콘텐츠 개발과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수학 기반 교과목 강의콘텐츠 저작기술의 개선 (An Improvement on the Authoring Technology of Lecture Contents for Subjects Based on Mathematics)

  • 신운섭;오용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102-10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웹을 이용한 사이버교육에 있어 가장 중시되고 있는 콘텐츠의 상호작용과 그 저작효율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모델과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수학적 기반으로 구조도를 비롯한 다양한 모델과 개념단위가 제시되며, 실험·실습을 위주로 하는 공학교육용 콘텐츠를 저작함에 있어, 자바(JAVA)를 이용한 단위 콘텐츠 애플릿의 라이브러리를 구축하는 기술과 개념단위를 기반으로 분기·접속하는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콘텐츠의 융통성과 상호작용을 개선하고 그 저작의 수월성을 제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사이버강좌의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는 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개념단위 분기 방법은 기존의 페이지별 분기방법과 병행하여 구현함으로써 더욱 융통성 있는 상호작용을 제공하며, 이와 더불어 자바 애플릿에 의한 단위 콘텐츠의 구성으로 공학분야 콘텐츠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미국 일리노이주와 한국의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환경교육 내용 비교 분석 - 3~6학년 환경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 Science Textbook between Korea and Illinois State in USA - Focused on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of 3rd~6th Grades -)

  • 박헌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3호
    • /
    • pp.453-463
    • /
    • 2014
  •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 science textbooks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order to find how to develop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McGraw-Hill science textbooks for third to sixth grade and science textbooks of Korea based o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categories were educational goals, kinds of contents, distributions of contents and tense. The result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goals in science textbook of Korea and United States were biased to knowledge area.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United States was higher 2.5 times then Korea and distributed in all areas. In quantitative distributions in Korea were biased some special areas. Tense of educational contents were almost present. Attitudes and recognition of students varies gradual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ill be useful "evenly distributed" for all areas and school year.

네트워크 기반의 다자간 상호 경쟁적 학습모형의 설계 및 플랫폼 구현 (Design and Development of Network Based Competition Learning Model)

  • 허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0A권6호
    • /
    • pp.709-714
    • /
    • 2003
  • 최근 통신기술의 발달로 교육용 컨텐츠에 있어서도 학습자와 학습 컨텐츠 사이의 상호작용이 강조되고 있다. 반면에 기존의 WBI나 CAI의 경우는 학습자와 컨텐츠 사이의 단순한 상호작용만 적용하였다.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게임 형태의 플랫폼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별적 독립학습에서 발생하는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부재의 문제와 협동학습에서 나타나는 공동의 목표 설정 및 프로그램 구현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다자간 상호 경쟁적 학습 모형을 제시한다. 또, 이를 적용한 네트워크 게임 형태의 교육 컨텐츠를 위한 설계와 플랫폼 형태로 실제 구현해 봄으로써 상호 경쟁적 학습 모형과 함께 교육용 컨텐츠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