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Holec, H., Autonomy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 Oxford: Pergamon, 1981.
|
2 |
노혜란.박선희.최미나, "대학 플립러닝 온라인 콘텐츠의 개발유형, 전달유형, 운영유형에 따른 만족도와 성취도 차이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6호, 2017, pp.419-440.
|
3 |
장해리.정영란,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이 중학생들의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29권, 제4호, 2009, pp.388-399.
|
4 |
Buzan, T., Use both sides of your brain. 3rd ed, New York: Plenum, 1989.
|
5 |
류지헌.정효정, "그림과 텍스트 자료를 활용한 협력학습이 학습자의 인지부하 및 마인드맵 작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방법연구, 제25권, 제1호, 2013, pp.197-218.
DOI
|
6 |
박정은.강순희, "일반 화학 실험에서의 글쓰기 지향 마인드맵 적용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제17권, 제4호, 2013, pp.1343-1364.
DOI
|
7 |
최윤희, "마인드맵과 토의 학습을 활용한 대학생 글쓰기 교육 방법 연구," 인문논총, 제38권, 2015, pp.53-75.
|
8 |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
9 |
Bloom, B. 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Vol. 1: Cognitive domain," New York: McKay, 1956, pp.20-24.
|
10 |
이미숙, "대학생용 고등사고능력 척도 개발," 강릉원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11 |
홍혜인,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의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적 사고력 강화 탐구 교수 전략 개발 및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12 |
Facione PA, Critical thinking: A statement of expert consensus for purposes of educational assessment and instruction, Millbrae, CA: The California Academic Press, 1990.
|
13 |
배상훈.조성범.홍지인,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학교 만족도에 대한 마이스터고 학교 효과: 3시점 유사종단자료 분석," 열린교육연구, 제21권, 제3호, 2013, pp.179-205.
|
14 |
이지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학연구, 제48권, 제2호, 2010, pp.67-92.
|
15 |
한지영, "평생학습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도구(SDLRS)의 타당성 연구," 공학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2018, pp.64-75.
DOI
|
16 |
심미정.오효숙, "간호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2012, pp.328-337.
DOI
|
17 |
권영애.박혜진, "비교과통합관리시스템이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2021, pp.121-132.
DOI
|
18 |
Chiasson, K., Terras, K., & Smart, K., "Faculty perceptions of moving a face-to-face course to online instruction," Journal of College Teaching & Learning (TLC), Vol.12, No.3, 2015, pp.321-240.
|
19 |
유병민.박성열.임정훈, "학습 스타일에 따른 이러닝 콘텐츠 개발 유형에 대한 선호도 연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1권, 제3호, 2005, pp.115-134.
|
20 |
신소영.김민정, "비형식 학습으로의 대학 온라인 교육콘텐츠 활용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열린교육연구, 제29권, 제4호, 2021, pp.83-105.
|
21 |
김소희.조영하, "대학교육에서 온라인학습의 활용 동향과 교수 학습적 함의," 평생학습사회, 제14권, 제4호, 2018, pp.51-78.
|
22 |
김은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음악 교육용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5호, 2020, 디지털정책학회, pp.65-74.
DOI
|
23 |
이지은.황현우, "대학 교수법 온라인 콘텐츠 설계에 따른 학습분석,"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제11권, 제3호, 2021, pp.167-198.
DOI
|
24 |
Anderson, T., & Elloumni, F., Theory and practice of online learning, Athabasca: Athabasca University Press, 2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