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atisfaction, Learning Transfer, Learning Persistence of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Agricultural Students

농대생의 농업교육훈련 만족도, 학습전이, 학습지속의향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Park, Hye Jin (Institute for Innovation in Higher Education, Konkuk University) ;
  • Yu, Byeong Min (Educational Technology Konkuk University)
  • 박혜진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대학교육혁신원) ;
  • 유병민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 Received : 2016.08.02
  • Accepted : 2016.09.10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transfer and learning persistence shown after actual education target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gr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of the factors related to learning persistence, satisfa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urned out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with a positive effect in the agr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agr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have a conspicuous object to learn for improving ability which is necessary for and applicable to agriculture. Second, of the three factors related to learning transfer in the agr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satisfa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facilities and satisfaction of environment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Third, results show that satisfaction of instructors does not affect both learning persistence and learning transfer. Lastly, in case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field practice, this study is suggesting the necessity of research by accessing in a concrete and detailed manner such as learning contents, instructors, educational facilities and satisfaction of environment from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he directivity of study related to satisfaction.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숙, 양영석. (2010). 활용지향적 기술창업교육이 참여자의 만족과 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산학 기술학회논문지 , 11(6), 2004-2012.
  2. 김은혜, & 마희영. (2014).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교육만족도 분석. 상업교육연구, 28(5), 1-19.
  3. 김종숙, & 윤지수. (2014).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성과 및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 17(4), 179-204.
  4. 김지심. (2009). 기업 이러닝에서 실재감과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진모. (1997). 기업교육훈련 참가자의 개인 및 상황적 특성이 교육훈련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교육학연구 , 3(1), 217-253.
  6. 김학섭. (2015). 농업교육훈련의 학습전이 관련 요인 간 구조적 관계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학섭, 박성열, & 차승봉. (2015). 농대 미래전문농업경 영인 과정 참여 대학생의 학습전이 관련 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4), 1-26.
  8. 나승일. (2003). 농업인적자원개발 전문가로서 농촌지도 요원의 교수능력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35(3), 21-38.
  9.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14). 2014년 농업농촌 교육훈련지원사업 결과보고 .
  10. 마상진, & 김영생. (2006). 농업인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1), 1-26.
  11. 문미경, & 진종순. (2010). 농업인대학 교육사업에 대한 성별영향평가.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 21(2), 215-239.
  12. 박성열, 김수욱, 남민우, 차승봉, & 박혜진. (2010). 농업 기초기술I 및 조경과목의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 방법에 따른 학습효과성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2), 31-52.
  13. 박행모, 문승태, & 김희수. (2008). 농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육 만족도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 개발 , 40(3), 33-53.
  14. 박혜진, & 유병민. (2014). SNS 활용 대학수업에서 학습 실재감과 학습몰입,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4), 649-674.
  15. 배병렬. (2006). LISREL 구조방정식모델. 서울: 청람.
  16. 배을규, 장민영, & 김대영. (2009). 학습전이 요인 및 수준의 조직간 비교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2(2), 29-60.
  17. 손경옥. (2014).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농산업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18. 신은정. (2012).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유병민, 김정주, 최영창, 박혜진, & 김선희. (2010).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 문제점 및 개선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17(1), 45-74.
  20. 윤현진, 윤관식, & 이병철. (2012). 과학기술인력 재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전이 영향요인, 만족도, 학습, 학습전이 간의 관계 분석: KI교육원 사례 중심으로. 기업교육연구, 14(2), 65-98.
  21. 이기하. (2010). 도시형과 도농복합형의 노인복지관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동기 및 교육만족도.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이연주, & 이희수. (2014). 농업교육강사를 위한 퍼실리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46(1), 27-47.
  23. 이유진, & 김진모. (2010). 대기업 직무교육훈련 참여자의 교육훈련전이와 전이동기 및 업무환경의 관계. 농업 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42(4), 249-274.
  24. 이인세. (2006). 지식기반사회에서 현행 농업교육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업경영인연합회 교육을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임종훈. (2012). 사이버대학 온라인 학습에서 실재감과 학습성과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장우환, 정호찬, & 이순석. (2011).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율성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43(3), 95-117.
  27. 정주영. (2013). 대학교육만족도, 직업가치관, 직업만족도에 관한 구조적 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정진. (2013). 노인복지관 평생교육프로그램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차승봉, & 남민우. (2015). 현장실습중심 농업교육프로그램의 교육내용적 특성, 학습태도, 만족도 간의 구조 관계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 22(4), 435-444.
  30. 차승봉, & 박성열. (2016). 농업계 고교 산업연계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과제가치, 사회적 지원, 교육만족도 간의 구조관계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48(2), 1-23.
  31. 최창환, & 정철영. (2008). 연구소 기술교육훈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영향요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40(3), 247-274.
  32. 하영자, & 임연욱. (2010). 이러닝 성인학습자의 내재적 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른 학습지속의향, 만족도, 학업성취도의 예측. 한국HRD 연구, 5(4), 49-67.
  33. 현영섭. (2004). Kolb의 경험학습모형을 적용한 기업교육 학습전이 모형.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Astin, A. W. (1973). The impact of dormitory living on students. Educational Record, 54(9), 204-210.
  35. Astin, A. W. (1993).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cisco: Jossey-Bass.
  36. Baldwin, T. T., & Ford, J. K. (1988). Transfer of train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ersonnel Psychology, 41, 63-10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88.tb00632.x
  37. Goldstein, I. L. (1993). Training in organizations: Need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Belmont, CA: Thomson Brooks.
  38. Haskell, R. E. (2001). Transfer of learning: Cognitive, instruction, and reasoning. SD: Academic Press.
  39. Kirkpatrick, D. L. (1994).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San Francisco: Berret-Koehler.
  40. Martinez, M. (2003). High attrition rates in e-learning: challenges, predictors, and solutions. The E-Learning Developers' Journal, 1-8.
  41. Merriam, S. & Merriam, S. B. (2001). The new update on adult learning theory. San Francisco: The E-Learning Developers' Journal, 1-8.
  42. Muller, T. (2008). Persistence of woman in online degree completion programs.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ance Learning, 9(2), 1-18.
  43. Noe, R. A. (1986). Trainess' attributes and attitudes: Neglected influences on training effectivenes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4), 736-749. https://doi.org/10.5465/amr.1986.4283922
  44. Ruben, B. D. (1995). Quality in Higher Education. New Brunswick, New Jersey: Transaction Publishers.
  45. Willing, P. A., & Johnson, S. D. (2004).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decision to dropout of online courses.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 8(4), 105-118.

Cited by

  1. 농업계열 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 주관적 규범,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관계분석 vol.24, pp.3, 2016, https://doi.org/10.12653/jecd.2017.24.3.0211
  2. 보건소 통합건강증진사업 담당자의 현업적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구조적 관계 vol.18, pp.6,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8.18.06.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