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nomic Preparation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26초

베이비부머의 여가활동과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배우자 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Baby Boom generation' Leisure and Preparation for Old Aged on life satisfaction and moderated regression for Spouse support)

  • 정은경;김종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501-512
    • /
    • 2017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의 여가활동과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배우자 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들의 특성과 욕구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1955년생-1963년생)를 연구대상으로, 총 406부의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여가활동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둘째, 노후준비와 독립적 여가활동 수준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후준비는 여가활동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으며 넷째, 배우자지지는 노후준비와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역할을 하였다. 다섯째, 배우자지지의 조절효과는 경제적 노후준비에 의해 매개되어 삶의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신체적 노후준비에 의해 매개되어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전 세대와는 다른 특성을 가진 베이비부머가 노년의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관련 산업분야와 정부부처 등에서 융 복합적인 관점의 접근을 통해 다양한 정책마련과 전략수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가 부모부양 의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ld Age Preparation of Baby Boomers Give Dependents Awareness of Parent)

  • 박근수;김태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467-47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핵가족화가 가족 및 개인의 책임과 의무로 여겨져 왔던 부모부양의식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 현실에 있어서, 시대 상황적으로 여러 가지 상대적으로 취약한 베이비부머 세대 스스로의 노후준비가 부모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종교, 주거상태, 월평균소득 등이 부모부양의식에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경제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 건강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 여가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 가족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 주거생활 관련 노후준비수준 그리고 노후준비수준 총합 모두에서 부모부양의식과 관련하여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주거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과 여가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이 부모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유의확률이 .001(*p<0.05) 가장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이어서 경제생활관련 노후준비수준이 .005(*p<0.05)의 유의확률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본인들의 노후 준비수준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그들의 부모부양의식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적 제언을 하면, 첫 번째, 그들의 주거생활과 관련한 안정적 지원정책이 차별화하여 지원되어야 할 것이며, 두 번째로 봉사활동 등 사회활동을 통한 여가활동을 위한 사회적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하며, 아울러 아직 젊은 그들에게 경제활동을 통한 경제생활 불안감을 해소 할 수 있도록 국가의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Andersen모형을 적용한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conomic Retirement Preparation for People Living with Disabilities Based on Andersen's Behavioral Model)

  • 김진미;이윤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046-6055
    • /
    • 2014
  •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Andersen의 행동모형을 적용하였다. 2012년 5월 21일부터 7월 31일까지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 5차년도 자료 중 30세 이상 60세 이하 2869명을 대상으로 SPSS 20 program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인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소인요인으로는 학력, 결혼상태이고, 기능요인에서는 취업여부, 비수급여부 및 자가주택 여부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노후준비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총수입이 증가할수록 노후준비 가능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욕구요인에서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일상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노후준비가능성은 증가하였다. 이에 장애인의 경제적인 노후준비를 돕기 위해서는 그들의 다각적인 요인을 파악하고 개별적인 요구들을 반영할 수 있는 정책마련 및 프로그램이 운영 되어야 할 것이다.

고령여성장애인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노후준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nfluence of the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Moderation Effect of Preparation for the Later Life Factor -)

  • 박주영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53-77
    • /
    • 2013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여성장애인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궁국적인 목표라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통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영향을 미침에 있어 노후준비가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 비장애인의 경우 삶의 만족도와 노후준비의 연관성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내용이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인지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고용노동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의 4차년도(2011) 자료로 이 중 50세 이상 고령여성장애인 1,175명이며, 자료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요인, 건강요인, 경제요인, 사회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노후준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주관적 소속계층이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노후준비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령여성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노후준비를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안정적 노후준비 가계의 특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예비노인의 경제적 노후준비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s Prepared for the Stable Elderlyhood Financially and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n them)

  • 이선형;최은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4호
    • /
    • pp.193-212
    • /
    • 2010
  • The pre-elderly approaching old age in our society confront having a harsh economic statu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eparation of the pre-elderly for overcoming this status. In particular, it focused on financially stable pre-elderly persons. The data from the 2008 Chungcheongnam-do Welfare Plan for Five Years collected by the Chungnam Women's Policy Development Institute was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question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735 persons (ages 55-64) living in Chungcheongnam-do. Five hundred and eighty-on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SAS, version 9.1.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important variables needed to find the factors related to socio-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the adult-child relationship, the preparation plan for old age, etc. The results showed that job and health status were key to preparation for financial stability among the elderly. Another finding was the importance of concrete financial planning for the elderly; that is to say, the pre-elderly who made more concrete plans than indefinite ones were likely to belong to stable households. Another significant finding wa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factors for the financial preparation of the elderly. These results should serve as reference data for the future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because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the elderly will be vital for a healthy relationship between new and old generations.

  • PDF

베이비부머 세대의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Self-efficacy on Preparations Toward Retirement for Baby Boomer Generation)

  • 윤성원;김기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427-3435
    • /
    • 2012
  • 2010년 베이비부머(baby boomer)의 맏형격인 1955년생이 정년퇴직하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현직에서 물러나고 있다. 베이비부머의 퇴직은 발달된 의학기술과 향상된 생활수준 그리고 주변 생활환경의 개선 등으로 인하여 곧 기대수명이 길어진 노인계층으로 진입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매년 낮아지는 출산율과 맞물려 고령 사회로의 진입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고 있다. 이에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진로자기효능감과 관련하여 은퇴준비를 알아보고자 첫째, 월 평균소득과 현재 직업에 따른 은퇴준비의 차이분석 둘째,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12. 1. 17.~2. 16까지 1개월 동안 서울, 경기, 강원, 충남, 경남, 전남, 제주도 등에 직접방문 및 우편발송으로 베이비부머 세대를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43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유효한 4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월 평균소득에 따른 은퇴준비는 경제적, 신체적 요인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현재 직업에 따른 은퇴준비는 경제적, 신체적, 사회적 등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결과값이 보여졌다. 진로자기효능감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경제적 요인이 가장 높은 58%의 영향력을 보이며 자기평가, 목표설정, 직업정보, 문제해결의 모든 요인에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부 치과위생사의 생활만족도, 노후에 대한 인식 및 노후준비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wareness of old age and preparation for old age of dental hygienists)

  • 이미라;박경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841-851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wareness of their old age, and preparation for their old age among dental hygienis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58 dental hygienists in Seoul, Gyeonggido, Incheon and Gangwondo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30, 2016.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10 items), life satisfaction (10 items), awareness of old age (13 items) and preparation for old age (23 items). Respondents were asked to choose on the Likert 5-point scale. Results: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life satisfaction, awareness about old age and preparation for old age among dental hygienists (p<0.01): physical preparation for old age wa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economic preparation for old age wa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wareness for old age, 10 or more years of experience as dental hygienist and having offspring (two or more children). Psycho-emotional preparation for old age wa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nd awareness for old age. Conclusions: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old age for their old age among dental hygienists.

남북한 경제협력 클레임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Claims for the South-North Korean Economic Cooperation)

  • 고재길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9권4호
    • /
    • pp.33-55
    • /
    • 2019
  • This study is aimed at drawing up improvement measures in connection with the resolution of claims, one of the major constraints in revitalizing South-North Korean economic cooperation. To that end, we first looked at the structure of South-North 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the institutional status related to resolving the claims. Also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claim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South-North Korean economic cooperation by companies and the provisions of the claims between the parties in order to derive any problems.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we were able to identify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efficient improvement of the causes of several South-North Korean economic cooperation claims. First, at the corporate level, there is a need to create specific details of a contract for resolving disputes and to add additional third-party coordination functions in the relevant clause of the contract in preparation for the occurrence of a disput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advance jointly with corporations in China and other third countries in order to secure stability.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continue to discuss ways of promoting South-North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with North Korea so that follow-up measures can be completed as soon as possible. In addition, a two-track strategy is suggested to provide a practical negotiation channel at the private level. Also it is necessary to be active in persuading North Korea to join the international arbitration treaty in preparation for the activation of full-fledged economic exchanges.

학령기 어머니의 가계소득과 교육소비욕구에 따른 사교육비와 경제적 노후준비 (The Expenses of Private Educations and Economic Preparations for Old Age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nd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in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 장윤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5호
    • /
    • pp.211-23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expenses of private education and the economic preparations for old age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nd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in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416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aged 8 to 19 years old living in Daegu. The data analysis methods adopted for the study were two-way ANOVA and Scheff$\acute{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ccording to the household income and the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in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In the group of mothers of low household income, the mothers with high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spent more money on academic education and music, fine arts or physical education than the mother's with low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group of mothers of high household income, the mothers with low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spent more money on academic education and spent less money on music, fine arts or physical education than the mothers with high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group of mothers of middle household incom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burden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ccording to the household income and the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in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In the group of mothers of middle household income, the mothers with low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perceived there was a higher burden for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than the mothers with high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xpenditure preparation for old age and the economic preparation behavior for old age according to the level of household income. The mothers with high household income spent more money on preparation for old age and did well in economic preparation behavior for old age than the mothers with middle and low household income.

중고령 종합병원 식당종사자의 근골격계 부담 작업에 대한 위험성 평가 (Risk Assessment in the Loaded Works of Muscular Skeletal Disorder for Mid-old Aged General Hospital Dining Workers)

  • 김희수;유영열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75-38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isk factors of the musculoskeletal workload of mid-old-age food preparation workers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the complaints of subjective symptoms between mid-old-age housewives and mid-old-age food preparation work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a total of 83 subjects from April 2009 through July 2009: 43 food preparation workers at the catering department of general hospital A, with a high rate of mid-old-age food preparation staff, and 40 full-time housewives (40~59 years ol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s of the subjective symptoms of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 mid-old-age food preparation workers had a 7.8-fold higher risk of developing musculoskeletal diseases than the full-time housewives. The musculoskeletal workload of the mid-old-age food preparation workers included repetitive motions, uncomfortable postures, and heavy lifting.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provide mid-old-age people with opportunities for appropriate economic activity and labor and will help improve their work postures and methods as well as their environmental-risk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