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s Prepared for the Stable Elderlyhood Financially and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n them

안정적 노후준비 가계의 특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예비노인의 경제적 노후준비를 중심으로 -

  • 이선형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노인복지) ;
  • 최은희 (충남여성정책개발원)
  • Received : 2010.10.01
  • Accepted : 2010.11.22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The pre-elderly approaching old age in our society confront having a harsh economic statu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eparation of the pre-elderly for overcoming this status. In particular, it focused on financially stable pre-elderly persons. The data from the 2008 Chungcheongnam-do Welfare Plan for Five Years collected by the Chungnam Women's Policy Development Institute was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question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735 persons (ages 55-64) living in Chungcheongnam-do. Five hundred and eighty-on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SAS, version 9.1.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important variables needed to find the factors related to socio-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the adult-child relationship, the preparation plan for old age, etc. The results showed that job and health status were key to preparation for financial stability among the elderly. Another finding was the importance of concrete financial planning for the elderly; that is to say, the pre-elderly who made more concrete plans than indefinite ones were likely to belong to stable households. Another significant finding wa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factors for the financial preparation of the elderly. These results should serve as reference data for the future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because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the elderly will be vital for a healthy relationship between new and old generations.

Keywords

References

  1. 강성호, 김태완, 김문길(2008), 국민연금 미수급자 규모 추정과 지역가입자 관리개선 방향. 서울: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연구원.
  2. 강유진(2005). 한국 성인세대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학회지 16(4), 159-174.
  3. 기초노령연금 홈페이지. http://bop.mw.go.kr/front_main/index.jsp
  4. 김경화(2005). 중년층의 노후생활준비에 관한 의식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대한민국정부(2010).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새로마지플랜 2015.
  6. 류건식, 이봉주, 김동겸(2009). 사적연금 소득 대체율 수정에 의한 노후소득보장수준 평가. 보험학회지 83, 93-121.
  7. 박창제(2008).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지 60(3), 275-297.
  8. 보건복지가족부(2009). 2008년도 노인생활 실태조사-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9. 석재은(2005). 노령계층의 소득계층별 필요 소득수준 연구. 한국인구학회지 26(1), 79-113.
  10. 신하연(1997). 중년기소비자들의 경제적 노후대비 수준과 실버타운에 대한 요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안종범, 전승훈(2005). 은퇴자가구의 적정 소득대체율. 한국경제연구 15, 5-33.
  12. 안현선. 김효민. 안진경. 김양희(2009). 중년기여성의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137-155.
  13. 양세정(2010). 적자가계의 특성 및 경제구조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1), 135-159.
  14. 양세정, 이성림(2009). 노후 경제적 대비 여부에 따른 가계경제의 차이와 재무관리 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1), 1-16.
  15. 여윤경(1999). 가계 은퇴자산의 충분성. 소비자학연구 10(4), 41-59.
  16. 여윤경, 김진호(2007). 한국가계의 은퇴자산 적정성 판단을 위한 시뮬레이션 분석. 금융연구 21(2), 1-30.
  17. 이선형(2000). 노인부부가계를 위한 노후 월평균 생계비 산정.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8. 이성림(2005a). 과소비. 부채가계의 가계 경제 구조 분석: 과소비. 부채가계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16(1), 73-95.
  19. 이성림(2005b). 사교육비 부담과 가계의 소비지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63-76.
  20. 이신영(2009). 도시 거주 노인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사회과학논총 28(1), 205-224.
  21. 이지영, 최현자(2009). 우리나라 은퇴자의 은퇴자금 충분성과 영향요인: 객관적 충분성과 주관적 인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1), 215-230.
  22. 정재기(2007). 한국의 가족 및 친족간의 접촉빈도와 사회적 지원의 양상: 국제간 비교의 맥락에서. 한국인구학회지 30(3), 157-178.
  23. 조추용, 송미영. 이근선(2009).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43, 135-156.
  24. 최정혜(2009). 한국과 미국 성인자녀의 노부모와의 관계의 질과 부양행동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9(2), 611-627.
  25. 충남여성정책개발원(2008). 충청남도 고령사회 맞춤형 복지 5개년 계획. 충청남도: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6. 최효미(2007). 노인가구의 소득원천. 노동리뷰 4월호, 69-80.
  27. 통계청(2005, 2007, 2008, 2009). 사회조사. 대전: 통계청. (2009년 이전은 사회통계조사)
  28. 통계청(2008). 장래인구추계. 대전: 통계청.
  29. 통계청(2009). 한국의 사회동향. 대전: 통계청.
  30. 통계청(2010). 2010 고령자통계. 대전: 통계청.
  31. 통계청(2010). 인구동향조사. 대전: 통계청.
  32.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4). 2004년도 노인 생활실태조사-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 욕구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9). 2009년 빈곤통계연보.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홍석태. 양해술(2009). 한국 중고령자의 노인교육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5), 287-299.
  35. 홍성희. 곽인숙(2006). 중년기 남녀 봉급 생활자의 은퇴계획 비교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193-207.
  36. 홍성희. 곽인숙(2007). 은퇴태도와 은퇴계획수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2), 89-104.
  37. 황승일(2000). 초기노인의 노후관련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 석사학위논문.
  38. Anderson, M., Li, Y., Bechhofer, F., McCRONE, D., and Stewart, R.(2000). Sooner rather than later? younger and middle-aged adults preparing for retirement. Ageing and Society 20, 445-466. https://doi.org/10.1017/S0144686X99007837
  39. Attias-Donfut, C., Ogg, J., & Wolff, F. C.(2005). European patterns of intergenerational financial and time transfers. European. Journal of Ageing 2, 161-173. https://doi.org/10.1007/s10433-005-0008-7
  40. Joo, S.-H. & Pauwels, V. W.(2002). Factors affecting workers' retirement confidence: A gender perspective.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13(2), 1-10.
  41. Junk, V. W., Fox, L. K., Einerson, M. J. and Taff, L. K.(1997). Pre-retirees' perception of retirement incom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Education 8(2), 41-55.
  42. Lytton, R., Garman, E. & Porter, N.(1991). How to use financial ratios when advising clients.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2, 3-23.
  43. Malroutu, Y. L. & Xiao, J. J.(1995). Perceived adequacy of retirement income.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6, 17-24.
  44. Rigg, J. & Sefton, T(2004). Income dynamics and the life cycle. Journal of Social Policy 35, 411-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