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Paradigm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형 전원주택단지의 지속가능성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Sustainability Indicators for Suburban Housing Estates in Korea Rural Areas)

  • 엄붕훈;우형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4-78
    • /
    • 1999
  • Recently, new concept and paradigm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s taking a growing interest in environmental planning and design.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principles, based on the concept of ESSD, and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for korean rural housing estates. A sustainability indices system, which is composed of 5 principles, 16 categories, an 37 estimation items, was finally established. Five principles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for rural housing estate were. 'Sustainable Land Use', 'Interdependence of Men and Nature', 'Ecological Principles and Diversity', 'Efficient use of Energy and Recycling', and ' Minimiz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weighting values of each indicators, such as estimation items, categories, and principle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result of AHP etc. The questi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experts of four related major fields. Finall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stainability indices system were verified.

  • PDF

생태계 서비스를 위한 주민 참여형 수변완충녹지 설계 고찰 - 한강수계 경안천변 매수토지 사례 연구 - (Design of Riparian Buffer Zone by Citizen's Participation for Ecosystem Service - Case Study of Purchased Land along Gyeongan-cheon in Han River Basin -)

  • 반권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0-184
    • /
    • 2022
  • 수변완충녹지는 유역의 비점오염원을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키고 탄소흡수원으로서 유용하며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자연기반해법이다. 더불어 수변완충녹지는 생물 다양성과 인간의 행위 빈도가 높은 수역과 육역의 중간지대에 구축되는 지속가능한 사회생태시스템으로서 지역 공동체와의 긴밀한 상호 소통적 환경계획 과정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수계 경안천변 용인시 모현읍 갈담리 582-2 일원의 매수토지에 추진되는 수변생태벨트 사업을 대상으로 계획 및 설계를 소통적 행위로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해 세 가지의 전략을 제시하고 이를 과정으로 구현하였다. 첫 번째, 관 주도의 사업을 지양하고 지역 거버넌스인 협의체를 중심으로 주민과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과정으로 개선하였다. 두 번째, 주민이 공감할 수 있는 생태계 서비스 기능 증진 측면의 설계 요소를 도입하고 선호하는 공간, 시설의 계획을 통해 수용성과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다. 세 번째, 생물 서식처, 물순환 기반의 생태환경, 주민 생태체험·휴식공간 등의 균형있는 계획과 더불어 향후 이용 주체인 주민들이 조성 효과와 생태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체감하고 조성지의 운영, 관리에 참여, 환원될 수 있도록 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설계 과정을 통해 사업 초기부터 주민참여 기반의 프로세스 모델을 정착하여 주민의 수용성, 주민 의견을 투영하는 사회생태시스템으로 작동되어 주민의 가치 인식, 조성 유지관리 단계까지 솔선수범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국내 수변완충녹지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향후 유사 사업 추진 시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글로벌 기업 환경 변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지속가능한 발전과 마케팅 - 지속가능마케팅의 의사결정 지향적 컨셉 -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Marketing - Integration of customer and socio-ecological aspect in Marketing concept -)

  • 남상민;김종호;노정구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83-108
    • /
    • 2007
  • 경제, 사회, 생태의 조화를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발전은 21세기에 마케팅의 중요한 도전과제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사회 및 생태적 관점의 통합을 통해 마케팅은 범세계적으로 대두되는 환경과 개발을 위한 패러다임으로서 지속가능한 발전 의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 논문은 국제기업환경 변화의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의미와 마케팅 영역에 제시되는 과제로서 지속가능마케팅컨셉의 의사결정 지향적 접근을 시도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속가능마케팅의 의사결정 지향적 컨셉을 여섯단계로 체계화하며, 생태 및 사회적 문제들의 분석, 고객욕구의 분석, 규범적 지속가능마케팅, 전략적 지속가능마케팅, 운영적 지속가능마케팅 그리고 변환적 지속가능마케팅으로 구분하여 고찰한다.

  • PDF

진화론적 공간디자인에서의 혼성적 변이공간에 관한 연구 - 생물학적 진화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ybrid Mutant Space of Evolutionary Space Design - Focus on the Biological Evolutionism -)

  • 천병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78-85
    • /
    • 2012
  • The relevance between organisms and their external environment covers everything including humans, natural and artificial surroundings, regarding which academic and scientific understanding has continued. Relevant elements established by inter-dependence between humans and environment and the unity of life should be translated from the perspective of a whole, not of unit elements or reduction. That is, a space is formed by its own program and assumes sustainable relevance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not building an independent system. The present study aims to present the feasibility of a potential mutant space formed by invisible arenas between individuals and evolutionary space formation based on an ecological paradigm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at evolutionary attributes as the major power source of biological changes could verify the virtual multiplicity of a new space formation, and that the potential form generation of hybrid mutant space of emergence and infinite formative capability could be supported. The suggestions made here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extending applicability of evolutionary space generation in the field of space design. To derive the potential mutant forms from biological space,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evolutionary form gener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evolutionary perspectives of reproduction, mutation (variation) and selection were taken. First, the theory of evolution was defined and characterized. Also, the relevanc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generated and hybrid mutant space was analyzed to consider relevant characteristics. The present study helped to understand that the hybrid mutant space had an evolutionary space structure based on a biological paradigm. It was also found that the mutant space structure built by mutant polymorphism assumed a systematic correlation between space and environment.

  • PDF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나타나는 현대 공간에 관한 연구 - 인터렉티브 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ntemporary space in Ubiquitous society - Focusing on Interactive space -)

  • 고귀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50-57
    • /
    • 2012
  • In Ubiquitous era. architecture is not the old building adapting ubiquitous technology. In order to take the role as new architectural paradigm in space, environment and technology, it has to develop technology continuously and experimental architecture at the same time. it must have co-evolution of architectural field and others through organic network. by that, the evolution of space will be in the way that combines space which is responded to human emotion and user-centric human-friendly. It will be the new paradigm of Ubiquitous digital space. Digital technology resulted in a change to a society as well as to the life of human and its way of thinking. Due to those changes, new terms or concepts come out and a new meaning is added to the conventional concepts. This aims to examine type of spatial contexts for interaction design experience. This study is perform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or theory by interactive space and case studies for construction elements to design. The range of case study is limited to interaction space in addition of interactive elements and user interface. And analysis conclusion is show the many type, First, Interactive space has special purpose for make a interaction by intelligent elements.(sensor, program, algorithm, New-technology) Second, Interactive space was cooperation with various professional for space purpose. Third. Interactive space is self-develop by algorithm, program, sensor network and that is harmonize with user. finally. Interaction space is show the temper elements about allness, metastatic, activeness, liquidity, relationship. That was written by ecological theory.

  • PDF

제품조형의 내구적 속성에 관한 연구 -장기간 판매 제품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formal durability of consumer products - focused on the cases of long-selling products)

  • 조영식;조민정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97-106
    • /
    • 1999
  • 환경오염이라는 인류의 총체적 위기는 인간 중심적 패러다임을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목표로 하는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 변화시켰고, 이에 따라 디자이너 역시 인류의 과제인 환경문제 해결에 동참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책임과 디자이너 자신의 윤리적 책임은 디자인 방향을 환경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Environment)으로 전환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을 통한 환경 문제 해결이라는 측면에서 그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즉, 제품의 조형에서 내구적 속성을 파악하여 이를 제품에 부가함으로써, 경제적 손실과 환경오염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제품의 형태를 결정짓는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제품 조형의 내구적 속성을 파악하여 이를 제품에 부여한다는 것은 제품의 수명(Product Life Cycle)을 연장시키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제품의 폐기를 유보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제품이 제 수명을 다하기도 전에 새로운 형태의 제품에 밀려 폐기되는 일을 감소시켜 과잉 생산에서 오는 에너지 낭비와 자원의 소모를 막고, 오염물질의 방출과 쓰레기를 줄여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기업의 과도한 경쟁 의식에 의한 무분별한 제품개발과 소비자의 소비 지향적인 태도에 반발하는 것이다. 이 가정 위에서 제품 조형의 내구적 속성을 밝히는 것이 이 논문의 궁극적 목표라 하겠다.

  • PDF

사과 IPM 미래 전망: 화분매개자 친화형 병해충 종합관리 (IPPM) 전략 (Integrated Pollinator-Pest Management (IPPM) Strategy as Future Apple IPM)

  • 정철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45-154
    • /
    • 2021
  • 우리나라의 사과 병해충 종합관리는 지난 40여 년간 빠른 진화를 거치며 농작물 중 가장 앞선 시스템으로 발전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약 중심의 병해충 방제는 천적이나 화분매개자들을 통한 생태계 서비스를 저해하고 있다. 사과는 전형적인 타가수분 작물로서, 곤충 화분매개는 생산량과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현행 사과 IPM체계에 화분매개자 등 유용생물 활동을 조장할 수 있는 방안을 추가하여 화분매개 친화형 병해충 종합관리(Integrated pollinator-pest management, IPPM)을 제안한다. 해충군 관리는 기본적으로 발생 예찰, 관리 의사결정, 관리방안의 동원 등 기존 체계를 따른다. 그리고 농업생태계 내 기능적 새생물 다양성 확대를 위한 경관 조작, 화분매개자의 먹이와 번식을 지원하는 화분매개서식처의 조성 등의 생태공학적 접근, 선택적이며 저독성 농약의 적기 적소 처리 등을 제안하고 그 실천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기후변화와 새로운 병해충의 출현 등 변화하는 환경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의 중요한 방향타기 되기를 기대한다.

Modeling the long-term vegetation dynamics of a backbarrier salt marsh in the Danish Wadden Sea

  • Daehyun Kim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7권2호
    • /
    • pp.49-62
    • /
    • 2023
  • Background: Over the past three decades, gradual eustatic sea-level rise has been considered a primary exogenous factor in the increased frequency of flooding and biological changes in several salt marshes. Under this paradigm, the potential importance of short-term events, such as ocean storminess, in coastal hydrology and ecology is underrepresented in the literature. In this study, a simulation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wind waves driven by atmospheric oscillations on sedimentary and vegetation dynamics at the Skallingen salt marsh in southwestern Denmark. The model was built based on long-term data of mean sea level, sediment accretion, and plant species composition collected at the Skallingen salt marsh from 1933-2006. In the model, the submergence frequency (number yr-1) was estimated as a combined function of wind-driven high water level (HWL) events (> 80 cm Danish Ordnance Datum) affected by the North Atlantic Oscillation (NAO) and changes in surface elevation (cm yr-1). Vegetation dynamics were represented as transitions between successional stages controlled by flooding effects. Two types of simulations were performed: (1) baseline modeling, which assumed no effect of wind-driven sea-level change, and (2) experimental modeling, which considered both normal tidal activity and wind-driven sea-level change. Results: Experimental modeling successfully represented the patterns of vegetation change observed in the field. It realistically simulated a retarded or retrogressive successional state dominated by early- to mid-successional species, despite a continuous increase in surface elevation at Skallingen. This situation is believed to be caused by an increase in extreme HWL events that cannot occur without meteorological ocean storms. In contrast, baseline modeling showed progressive succession towards the predominance of late-successional species, which was not the then-current state in the marsh.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variations in the NAO index toward its positive phase have increased storminess and wind tides on the North Sea surface (especially since the 1980s). This led to an increased frequency and duration of submergence and delayed ecological succession. Researchers should therefore employ a multitemporal perspectiv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hort-term sea-level changes nested within long-term gradual trends.

식물원 이용객의 생태의식과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tanical Garden Visitors' Eco-consciousness and Motivation)

  • 정재만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5-246
    • /
    • 2014
  • 본 연구는 식물원 방문객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그들의 생태의식과 욕구구조의 연관성 규명을 목적으로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식물원 이용자의 생태의식과 이용동기수준의 파악', '이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생태의식에 미치는 효과', '생태의식과 이용동기와의 연관성 규명'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은 경기도 일원 3개 식물원 방문객 대상의 설문조사로 진행하였다. 이용객의 생태의식은 던랩(Dunlap)의 15개 NEP 척도로 측정하였고, 이용동기는 매슬로우(Maslow)의 7단계 욕구를 활용했다. 3개 조사대상지에서 3일간 조사한 끝에 각 360부의 설문지를 확보하여 본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이용객들의 생태의식과 이용동기는 보통 이상의 높은 수준이었다. 생태의식에서는 '자연균형과 생태위기'와 '반인간 중심주의'에 대한 반응이 높았다. 이용동기에서는 '인지적 욕구'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애정 및 소속의 욕구', '생리적 욕구'의 순이었다. '자아실현 욕구'와 '자존의 욕구'는 가장 낮았으며, 이 둘을 제외하면 대체로 상위욕구의 비중이 높은 반응을 보였다. 생태의식과 이용동기는 상관성 분석 결과, 부(-)적 상관과 정(+)적 상관이 섞여 있었으나, 정적 상관의 비율이 70% 이상으로 높았다. 분석결과 생태의식과 이용동기는 대체로 낮은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생리적 욕구'와 '인지적 욕구'가 생태의식과 상관성이 높았는데 이는 이 두 욕구가 각각 식물원 방문객의 하위욕구와 상위욕구를 대표하는 욕구로 판단된다. 즉, 식물원 방문객이 학습목적성이 강하지만, 이와 동시에 신체적인 휴식공간으로서의 기대감 또한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연구 결과, 식물원 방문객의 생태의식은 보통 이상의 높은 수준인데, 향후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되었다. 따라서 이용동기 또한 계속 높아질 것이며, 특히 '심미적 욕구'와 '인지적 욕구'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식물원의 시각적 자원을 활용한 경관관리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방문객의 지적 욕구를 채워줄 수 있는 컨텐츠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거환경개선지역 주민의 인지 및 애착 장소에 관한 연구 - 광주 양림동 지역 사례연구 - (Awared and emotionally attached places of residents living in a housing improvement district of Yanglim Dong, Kwangjoo)

  • 김규리;이연숙;김주석
    • KIEAE Journal
    • /
    • 제8권6호
    • /
    • pp.71-78
    • /
    • 2008
  • Necessity of paradigm change has been awared in urban redevelopment especially, in housing regeneration from uniform scratch without serious consideration about resident's lives to holistic approach based on local culture and residents' particip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community places recognized and attached by residents of a housing improvement district which was scheduled to be changed for improvement of the area, in near future. This research itself was considered as an resident participation technique. Group interview at a field site was carri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ology. As results, valuable places cherished by residents were identified. Most of them could be explained in relation to religious leadership,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nd democratic movement. In regeneration process those places which have a strong tie with residents needs to be deliberately considered as a target to be preserved rather than demolished. The places also play a role in diffusing a livable village making movement. The result is expected to be used to make a cognitive and emotional community map of residents which is meaningfully differentiated from just a physical and geographical map. The places, place recognition activities and diffusion movement for common appreciation can be a basic foundation for residents participation in improving their housing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in creating value added strategies for the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