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ared and emotionally attached places of residents living in a housing improvement district of Yanglim Dong, Kwangjoo

주거환경개선지역 주민의 인지 및 애착 장소에 관한 연구 - 광주 양림동 지역 사례연구 -

  • 김규리 (연세대학교 대학원) ;
  • 이연숙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김주석 (연세대학교 밀레니엄환경디자인 연구소)
  • Received : 2008.11.18
  • Accepted : 2008.12.24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Necessity of paradigm change has been awared in urban redevelopment especially, in housing regeneration from uniform scratch without serious consideration about resident's lives to holistic approach based on local culture and residents' particip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community places recognized and attached by residents of a housing improvement district which was scheduled to be changed for improvement of the area, in near future. This research itself was considered as an resident participation technique. Group interview at a field site was carri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ology. As results, valuable places cherished by residents were identified. Most of them could be explained in relation to religious leadership,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nd democratic movement. In regeneration process those places which have a strong tie with residents needs to be deliberately considered as a target to be preserved rather than demolished. The places also play a role in diffusing a livable village making movement. The result is expected to be used to make a cognitive and emotional community map of residents which is meaningfully differentiated from just a physical and geographical map. The places, place recognition activities and diffusion movement for common appreciation can be a basic foundation for residents participation in improving their housing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in creating value added strategies for the area.

Keywords

References

  1. 김영환(2001), 영국의 지속가능한 주거지 재생계획의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6-1, pp.151-153
  2. 김현식, 이영아(1996.12), 도시계획과정에서 주민참여방안 연구, 국토개발연구원 내부보고서
  3. 박혜연, 안창헌, 이연숙(2008) 일본 노다 북부지역 마을만들기 및 주민참여기법 사례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8-2, pp.299-304
  4. 배웅규(2001), 지역단위의 도시정비를 위한 주민참여 방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사또 시게루 저(2005), 민현석역(2008), 마을만들기 디자인게임, 서울시정개발원
  6. 서수정(2007), 지속가능한 개발과 뉴어바니즘 이론의 적용에 의한 영국 버밍험시 도시재생의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2-7, pp.125-143
  7. 송혜승, 이명훈, 이명규(2008.06), 주민참여 마을 만들기의 선호사업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3-3, pp.37-53
  8. 신중진, 신효진(2008.2), 주민참여 마을 만들기 계획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2, pp.109-120
  9. 안창헌, 이연숙(2008) 일본 히라노지역의 주거지 정비의 과정에서 활용된 주민참여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8-2, pp.171-176
  10. 윤혜경(1989), 학교생활공간 환경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이륜정, 이제선(2008), 도시기본계획 및 정비계획 수립과정에서의 주민참여방안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협동학술대회자료집, pp.331-340
  12. 이선미(1995), 이상적인 아파트 실내공간에 대한 심적 지도의 내용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이연숙 외(1990), 거시적 관점에서 본 도시인의 생활행태와 지역사회시설 이용정도 및 요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6-2, pp.185-200
  14. 이연숙(1998), 실내환경심리행태론, 연세대학교 출판부
  15. 이창호, 임정민(2008),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시범사업을 위한 운영 방안, 주택도시연구원 내부발표자료
  16. 하진목, 오덕성, 최준성(2008), 영국의 노후 주거단지 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35-144
  17. 홍인옥(2008),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시범사업의 사회경제적 지원방안연구, 한국도시연구소 내부발표자료
  18. Travlou, Penny(2008), Place mapping with teenagers: locating their territories and documenting their experience of the public realm, Children's Geographies vol 6, pp.309-326 https://doi.org/10.1080/14733280802184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