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formal durability of consumer products - focused on the cases of long-selling products

제품조형의 내구적 속성에 관한 연구 -장기간 판매 제품의 사례를 중심으로

  • 조영식 (이화여자대학교 정보디자인과) ;
  • 조민정 (이화여자대학교 정보디자인과 대학원)
  • Published : 1999.05.01

Abstract

The whole crisis of human being derived from environmental pollution has changed the human -centered paradigm into the ecological paradigm based on the harmony of human and nature, which have made it inevitable for designers to participate in the environmental problem-solving. In the line of this sense, it is necessary for designers to recognize the social and ethical responsibility for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o change into the designing for environment, not for sale itself. In accord with the context abo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clues for re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with the analysis of design for long-selling product, as we call, product durability analysis. That is, this study is under some assumptions that designing durable product and durable product itself are able to extend a product life cycle, delay a product disusing, reduce a rash development competition for new product among companies, mitigate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of consumers, eliminate a waste of resources, and go far toward the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환경오염이라는 인류의 총체적 위기는 인간 중심적 패러다임을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목표로 하는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 변화시켰고, 이에 따라 디자이너 역시 인류의 과제인 환경문제 해결에 동참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책임과 디자이너 자신의 윤리적 책임은 디자인 방향을 환경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Environment)으로 전환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을 통한 환경 문제 해결이라는 측면에서 그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즉, 제품의 조형에서 내구적 속성을 파악하여 이를 제품에 부가함으로써, 경제적 손실과 환경오염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제품의 형태를 결정짓는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제품 조형의 내구적 속성을 파악하여 이를 제품에 부여한다는 것은 제품의 수명(Product Life Cycle)을 연장시키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제품의 폐기를 유보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제품이 제 수명을 다하기도 전에 새로운 형태의 제품에 밀려 폐기되는 일을 감소시켜 과잉 생산에서 오는 에너지 낭비와 자원의 소모를 막고, 오염물질의 방출과 쓰레기를 줄여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기업의 과도한 경쟁 의식에 의한 무분별한 제품개발과 소비자의 소비 지향적인 태도에 반발하는 것이다. 이 가정 위에서 제품 조형의 내구적 속성을 밝히는 것이 이 논문의 궁극적 목표라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