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Community

검색결과 1,445건 처리시간 0.033초

코로나 19 팬데믹 시대 속 여성의 위기와, 돌봄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 : 기독교 교육학적 접근 (Crisis in Women during COVID-19 Pandemic and Pastoral Theological Reflection on Care : Christian Educational Approach)

  • 이수영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8권
    • /
    • pp.217-243
    • /
    • 2021
  • 본 연구는 유엔 사무총장이 "코로나 19는 여성의 얼굴을 한 위기이다" 라고 언급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하여 가장 큰 위기와 고통, 어려움에 처한 여성들의 상황을 통계자료들와 학술연구결과들을 통하여 경제적, 사회 문화적, 심리 정서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다루고, 이 문제들이 어떻게 "돌봄"에 관련되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들과 위기에 대한 교회의 한 대응으로서 "돌봄윤리"와 "돌봄목회"를 통한 목회신학적 성찰을 도모하였다. 교회의 "돌봄목회"는 교회내의 개인적 돌봄 뿐 아니라 사회, 문화, 경제, 정치, 생태계적 이슈들에도 확장되며, 교회는 공공성을 가지고 재난과 관련된 이러한 이슈들에 응답하는 선교적 사명을 지닌다. 나아가 교육목회를 통해, 돌봄과 불평등에 대한 가치관과 사고방식의 변화와 디아코니아, 교회공동체의 사랑의 돌봄이 격려되어야 할 것이다.

Effects of reforestation approaches, agroforestry and woodlot, on plant community composition, diversity and soil properties in Madhupur Sal forest, Bangladesh

  • Hasan, Mohammad Kamrul;Islam, Md. Tariqul;Akter, Rojina;Roshni, Nasima Akther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3호
    • /
    • pp.204-217
    • /
    • 2022
  • Background: Increasing land demands for food production have led to biodiversity loss and land degradation in the Madhupur Sal forest. Reforestation activities such as agroforestry and woodlot plantation support the conservation of diversity, restoration of forest and prevention of soil erosion in degraded natural Sal forest. Knowing about these reforestation activities, this study is needed to compare the species composition, richness, and soil nutrients of these two plantation activities to the natural Sal forest in the degraded Madhupur Sal forest in Bangladesh.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in between the reforestation activities, the highest Shannon-Wiener index (1.79), evenness (0.60) and Simpson's index (0.79) were found in the agroforestry site compared to the woodlot plantation site. On the contrary, the highest species richness (n = 14), tree basal area (19.56 m2 ha-1), Margalef's index (1.96) were recorded in woodlot plantation than in the agroforestry site. We observed that at 0-15 cm depth, soil organic matter (2.39%), total nitrogen (0.14%), available phosphorous (62.67 ㎍ g-1) and exchangeable potassium (0.36 meq/100 g) in agroforestry plots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other forest sites. At topsoil (15-30 cm depth), soil organic matter (1.67%) and available phosphorous (21.09 ㎍ g-1) were found to be higher in agroforestry site. Conclusions: Both reforestation approaches improved soil function, although woodlot plantation had the higher species richness. Therefore, plantation activities by the sustainable implementation of these two practices are the best alternative to restore the biodiversity, richness and conserve soil fertility in the Madhupur Sal forest of Bangladesh.

수생태계 먹이망 모델 고찰 (Food Web Models in Aquatic Ecosystems: Review)

  • 박영석;구경아
    • 생태와환경
    • /
    • 제55권4호
    • /
    • pp.259-273
    • /
    • 2022
  • 먹이망은 군집의 종구성과 종간 관계를 나타내줄 뿐만 아니라 먹이망을 구성하는 요소를 정량화하여 구조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먹이망에 관한 연구는 군집의 영양 패턴, 피식자와 포식자 사이의 개체군 동태, 생태계 안정성, 생태계 내 물질/에너지 흐름 등의 이해에 도움을 준다. 먹이망 모델은 생태계 군집의 종간 관계 복잡성을 이상적으로 표현해 주며 자연 생태계에서 관찰된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므로, 먹이망 모델은 대상 군집의 특성과 동태를 연구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사용되는 주요 먹이망 모델을 정적 모델과 동적 모델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주요 모델의 특성과 적용 사례를 고찰하였다. 정적 모델로 Ecopath 모델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는 동적 모델인 Ecosim과 연계되어 Ecopath with Ecosim으로 통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동적 모델로 독성물질 특성 등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경우 AQUATOX 모델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효율적인 먹이망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대상 생태계의 생물 요소들 사이의 섭식선호성 관계가 충분히 파악되어야 하고 또한 주요 환경인자들이 이들 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자료 수집이 필요하다. 효율적인 생태계 관리를 위해서는 환경변수만을 고려하는 관리가 아닌 환경과 생물 특성과 관계, 그리고 먹이망을 같이 고려하는 생태계 수준의 연구가 요구된다.

Local and regional steppe vegetation palatability at grazing hotspot areas in Mongolia

  • Amartuvshin, Narantsetsegiin;Kim, Jaebeom;Cho, Nanghyun;Seo, Bumsuk;Kang, Sinky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1호
    • /
    • pp.76-84
    • /
    • 2022
  • Background: Climate and livestock grazing are key agents in determining current Mongolian steppe vegetation communities. Together with plant coverage or biomass, palatability of steppe community is regarded as a useful indicator of grassland degradation, in particular, at grazing hotspots in arid and semi-arid grasslands. This study analyzed relationships between livestock grazing pressure and steppe vegetation palatability at three summer pastures with different aridity (dry, xeric, and mesic) and livestock numbers (1,100, 1,800, and 4,100 sheep units, respectively). At each site, it was surveyed coverage, biomass, and species composition of different palatability groups (i.e., palatable [P], impalatable [IP], and trampling-tolerant [TT]) along a 1-km transect from grazing hotspots (i.e., well) in every July from 2015 to 2018. Results: In results, total vegetation coverage increased with wetness, 7 times greater at mesic site than dry one in averages (33.1% vs. 4.5%); biomass was 3 times higher (47.1 g m-2 vs. 15.7 g m-2). Though P was the dominant palatability group, the importance of IP in total coverage increased with aridity from mesic (0.6%) to dry (40.2%) sites. Whereas, TT increased with livestock numbers across sites. Locally, IP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near the wells and its spatial range of occurrence becomes farther along the transects with aridity across sites from mesic (< 100 m) to dry (< 700 m from the well). Conclusion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importance of IP and its spatial distribution are different at both local and regional scales, indicating that the palatability parameters are sensitive to discern balance between selective-grazing demand and climate-driven foraging supply in Mongolian rangelands.

Microalgal diversity in response to differential heavy metals-contaminated wastewater levels at North Nile Delta, Egypt

  • Maha Youssef Kamal Elmousel;Eithar El-Mohsnawy;Yassin Mohamed Al-Sodany;Eladl Galal Eltanahy;Mohamed Ali Abbas;Awatif Saad Al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7권3호
    • /
    • pp.157-167
    • /
    • 2023
  • Background: The most hazardous wastewater source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Middle Nile Delta, Egypt; receiving a massive amount of agricultural, industrial, and sewage drainage are Kitchener drain which is one of the tallest drainage systems, and Burullus Lake which represents the 2nd largest Egyptian coastal lake. Results: The current work is to determine the abundance and frequency of cyanophytes, chlorophytes, and bacillariophyt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environmental abiotic components. Among sixty nine microalgal species, 19 species are belong Cyanophyta, 26 belong Chlorophyta and 24 belong Bacillariophyta. Genus Scenedesmus (Chlorophyta) was the most abundant in the study area (13 species), followed by Genus Oscillatoria (9 species) and Genus Navicula (7 species). Nostoc muscorum and Chlorella vulgaris were the most common and recorded in all sites (100% of the locations) under study. The application of the 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TWINSPAN) and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revealed agglomerating of 4 groups (communities) at 4th level of classification and reasonable segregation between these groups. Zinc, cadmium and lead were showed the highest levels (0.26±0.03, 0.26±0.06, and 0.17±0.01 ppm,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water and community variables indicated a high negative correlation of total algae richness with nickel (r = -0.936, p < 0.01). Cyanophyta and Bacillariophyta were correlated negatively (r = -0.842, p < 0.01). However, Chlorophyta showed a negative richness with each of Ni and Pb (r = -0.965, -0.873, respectively) on one hand an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as revealed (r = 0.964) with all environmental variables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food literacy and its association with food intake and obesity status among Seoul citizens: results from Seoul Food Survey 2021

  • Hyelim Yoo;Eunbin Jo;Hyeongyeong Lee;Eunji Ko;Eunjin Jang;Jiwon Sim;Kirang Kim;Sohyun Par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5호
    • /
    • pp.945-958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Food literacy (FL) is a crucial skill for selecting sustainable and healthy food options, necessitating the identification of vulnerable groups in the community using valid measurement tools. Identifying weak domains in FL is essential for enhancing the overall FL. This study examined the FL levels of Seoul citizens based o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FL, food intake, and weight status. SUBJECTS/METHODS: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from the Seoul Food Survey, a cross-sectional study employing representative samples of Seoul citizens. Data collection occurr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1, with 4,039 citizens aged 18 yrs and above participating in face-to-face surveys. Thirty-three FL items were assessed, comprising 14 items in the nutrition and safety (NS) domain, eight items in the cultural and relational (CR) domain, and 11 items in the socio-ecological (SE) domain. In addition, data on food intake sufficiency and obesity status were collect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alysis of variance,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Men, students, young adults, older citizens, and people experiencing food insecurity had the lowest scores for all the FL domains. The highest quartile group of NS scores had a higher probability of consuming adequate servings of vegetables and fruits, with significant linear trends observed (P for trend < 0.05). In all three FL domains, the odds ratio for obes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s with high FL scores (P < 0.05). CONCLUSIONS: A clos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low FL, obesity, and food intake, even after controlling for other covariates. Vulnerable groups with low FL were also identified.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FL and the health and well-being of these groups.

Who has a high level of food literacy, and who does not?: a qualitative study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 Hyelim Yoo;Eunbin Jo;Hyeongyeong Lee;Eunji Ko;Eunjin Jang;Jiwon Sim;Sohyun Par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6호
    • /
    • pp.1155-1169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Unhealthy food choices among young adults are common globally, and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is rising. Food literacy (FL) is important for improving and maintaining individual health in a rapidly changing food environment and can form the basis for following a sustainable diet.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improve FL among young adults, particularly college students, who are in the formative years of their lifelong food habits. This study examined the facilitators and barriers of FL and related dietary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SUBJECTS/METHODS: This study recruited 25 college students with different residence types using convenience and snowball sampling. In-person, telephone, and video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rch to November 2021.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framework analysis based on the socio-ecological model. RESULTS: At the individual level, prior good experiences with food were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facilitator. In contrast, the major barriers were a lack of knowledge, financial hardship, irregular schedules, and academic stress. At the interpersonal level, the influences of family and peers, such as early exposure to healthy eating habits and opportunities to have easy accessibility to farms and farming, are major facilitators, but the lack of a sense of community was the major barrier. At the environmental level, the major barriers were unfavorable food environments at home and in neighborhoods, such as the absence of kitchens in housing and large packaging of produce at markets. CONCLUSIONS: Many factors affected the students' FL and related healthy eating practic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campus-based F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by reflecting on these facilitators and barriers.

온배수 유입이 부소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rmal Discharge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Structure in Buso Stream)

  • 한중수;왕주현;김정은;정진호;배연재;최준길;이황구
    • 환경생물
    • /
    • 제35권1호
    • /
    • pp.83-94
    • /
    • 2017
  • 본 연구는 2015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 고온배수 배출시설에서 온배수가 유입되는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에 위치한 부소천 일대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점은 온배수가 유입되는 혼합역과 혼합역을 기준으로 상 하류 지점을 선정하여 수질 분석 및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조성, EPT-group 개체 비율, 군집 분석, 기능군 분석, 생물학적 하천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4강 11목 30과 50종 4,015개체이며, 출현종 비율은 하루살이목이 6과 16종 (32.00)%, 개체수 비율은 파리목이 1,848개체 (46.0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루살이-강도래-날도래목 (EPT-group)이 조사기간 동안 총 17과 32종 1,876개체 (46.72%)가 출현하였으며, 1차에서 3차 조사기간 동안 혼합역에서 가장 낮은 출현율을 나타냈다. 군집 분석 결과 혼합역에서 비교적 넓은 수온대를 가지는 실지렁이 (Limnodrilus gotoi)와 깔따구 sp2.(Chironomidae sp.2)가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네점하루살이 (Ecdyonurus levis), 민하루살이 (Cincticostella levanidovae), 민강도래 KUa (Nemoura KUa) 등이 우점종으로 분석된 상 하류 지점과 차이를 나타냈다. 섭식기능군 분석 결과 상류와 혼합역에서 Gathering-Collectors, 하류에서는 Filtering-Collectors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Shredders의 비율이 감소하였다. 서식기능군은 Clingers와 Burrowers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Clingers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천 건강성 평가 결과 평균 2.73 (${\pm}0.41$)으로 혼합역에서 가장 불량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온과 냉수성종의 상관성 분석 결과 수온이 증가할수록 냉수성 선호종 및 EPT-group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혼합역에 유입되는 고온의 방류수는 하천생태계에 교란을 일으키는 요인으로써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과 냉수성 선호종 및 민감종의 분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남서부지역 호수 및 저수지 생태계의 플랑크톤 동태 변화 (Assessing the Plankton Dynamics in Lakes and Reservoirs Ecosystem in the Southwestern Parts of Korea)

  • 김현우;라긍환;정광석;박종환;허유정;김상돈;나정은;정명화;이학영
    • 환경생물
    • /
    • 제28권2호
    • /
    • pp.86-94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 31개 호소 지점을 대상으로 동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및 생태학적 모델 적용을 고려한 호소간의 플랑크톤 동태 비교에 목적이 있다. 조사기간 동안 총 89종의 동물플랑크톤(윤충류 70종, 지각류 14종, 요각류 5종)과 554종의 식물플랑크톤(규조류 176종, 녹조류 237종, 남조류 68종 그리고 기타 73종)이 동정 확인 되었다. 플랑크톤 밀도 및 종 다양도는 지점별 및 계절별 상이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전체 호소의 연평균 총 식물플랑크톤 밀도는 $7,350{\pm}15,592$ cells $mL^{-1}$ (n=124)이었으며, 가장 낮은 지점에서는 평균 $855{\pm}448$ cells $mL^{-1}$ (n=4), 가장 높은 지점에서는 평균 $72,048{\pm}13,4631$ cells $mL^{-1}$ (n=4)인 것으로 파악되어 호소별 식물플랑크톤 밀도 차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소형 동물플랑크톤인 윤충류가 우점하였으며, 지각류 및 요각류의 출현 종수는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각 조사지점별 출현한 총 동물플랑크톤 종수는 상이하였으며, 호소별 평균 출현 종수는 약 3~10여 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 및 SOM 모형의 적용 결과 동식물플랑크톤의 종수와 밀도는 호소의 규모가 작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존재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조사대상 호소에 대해서 플랑크톤 군집 구조 관점에서 수자원 관리가 실시될 경우 대형 호소보다는 중소형 호소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인공하천에서 유량감소로 모사한 가뭄효과가 수질 및 부착돌말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rought Simulated by Discharge Control on Water Quality and Benthic Diatom Community in the Indoor Experimental Channel)

  • 박혜진;김백호;공동수;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5권1호
    • /
    • pp.129-138
    • /
    • 2012
  • 본 연구는 하천에서 가뭄으로 인해 나타나는 갈수현상을 단기간의 유량의 감소로 모사하여 수질 및 부착돌말류 군집에 미치는 생태학적 영향을 인공수로에서 분석하였다. 아크릴로 제작한 실내 인공수로에 부착돌말 인공기질로는 슬라이드글라스를 설치하고, 부영양 저수지의 표층수를 유입시켜 실험수로 이용하였다. 실험기간 중 부착돌말 군체형성기 동안 모든 실험군의 유량은 6 L $min^{-1}$, 이후 유량감소기 동안 각 실험군의 유량은 NDF(No depletion of flow rate (Control): 6 L $min^{-1}$), LDF (Low depletion of flow rate: 3 L $min^{-1}$), 그리고 HDF (High depletion of flow rate: 1 L $min^{-1}$)로 설정하였다. 유량감소의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16일간의 실험기간 동안 유입수와 배출수의 수온, 전기전도도, 용존산소, pH, 탁도, 부유물질, 영양염 및 Chl-$a$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부착기질의 Chl-$a$와 AFDM(ash free dry matter), 그리고 부착돌말류의 조성과 세포밀도를 1일 간격으로 분석하였다. 광도는 처리 유량이 적어질수록 유의하게 증가했다(F=229.5, p=0.000). $NH_4$-N는 NDF보다 HDF에서 현저하게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유입수의 SS 농도(100%) 대비 배출수의 SS 농도는 HDF에서 88%로 감소하였으며 LDF (97%)와 NDF (99%)에 비하여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기질의 Chl-$a$는 NDF에 비하여 유량감소 처리군에서 약 2배 이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8.399, p=0.001). 또한 기질의 AFDM과 부착돌말류 총밀도는 NDF에 비하여 두 처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9.390, p=0.001; F=6.088, p=0.007). 실험기간 동안 대조군과 처리군 모두에서 $Aulacoseira$ $ambigua$, $Achnanthes$ $minutissima$, $Aulacoseira$ $granulata$ 등 총 3종의 부착규조류가 총 밀도의 10% 이상을 보인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제1 우점종인 $A.$ $ambigua$는 LDF에서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HDF, NDF순으로 생물량이 낮았다(F=8.551, p=0.001). 본 연구 결과, 인공 하천생태계에서 가뭄(갈수) 효과는 수질과 부착돌말류 현존량에 유의한 변화를 야기하였으며, 특히 부착돌말류 현존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실제 하천에서 가뭄에 의한 생태계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