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 and Moon

검색결과 918건 처리시간 0.024초

소집단 탐구기법을 활용한 '지구와 달의 운동' 단원 수업이 과학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s on 'The Earth and Moon' Using Small Inquiry Method)

  • 이용섭;김윤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8-9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Jigsaw small inquiry method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s. For this study, two classes of six graders were divided into a research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The classes were pre-tested in order to ensure the same standard. The research group had the science class with Jigsaw small inquiry method, and the comparative group had the class with a teacher centered lectures for 12 classes for 12 weeks. The Jigsaw small inquiry method was focused on the introduction stage, the whole group activities, professional group activities, restart the whole group activities, supplementary structured study guide, results announced, and excellent group rewards. To prove the effects of this study, science learning motivation was split up based on the attention power, relation, confidence, and sense of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igsaw small inquiry method is effective i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Second, Jigsaw small inquiry method is effective in scientific attitudes. Also, Jigsaw small inquiry method was approved by students. Consequently, Jigsaw small inquiry method had the great effects on developing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That means the science class with Jigsaw small inquiry method has potential to develop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s.

HAMILTONIAN OF A SECOND ORDER TWO-LAYER EARTH MODEL

  • Selim, H.H.
    • 천문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49-60
    • /
    • 2007
  • This paper deals with the theory for rotational motion of a two-layer Earth model (an inelastic mantle and liquid core) including the dissipation in the mantle-core boundary(CMB) along with tidal effects produced by Moon and Sun. An analytical solution being derived using Hori's perturbation technique at a second order Hamiltonian. Numerical nutation series will be deduced from the theory.

A Study on Earth-Moon Transfer Orbit Design

  • No, Tae-Soo;Lee, Ji-Marn;Jeon, Gyeong-Eon;Lee, Dae-Ro;Kim, Gha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3권1호
    • /
    • pp.106-116
    • /
    • 2012
  • Optimal transfer trajectories based on the planar circular restricted three body problem are designed by using mixed impulsive and continuous thrust. Continuous and dynamic trajectory optimization is reformulated in the form of discrete optimization problem. This is done by the method of direct transcription and collocation. It is then solved by using nonlinear programming software. Two very different transfer trajectories can be obtained by the different combinations of the design parameters. Furthermore, it was found out that all designed trajectories permit a ballistic capture by the Moon's gravity. Finally, the required thrust profiles are presented and they are analyzed in detail.

Classification of the vegetated terrain using polarimetric SAR processing techniques

  • Park Sang-Eun;Moon Wooil M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389-392
    • /
    • 2004
  • Classification of Earth natural components within a full polarimetric SAR imag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pplications of radar polarimetry in remote sensing. In this paper, the unsupervised classification algorithms based on the combined use of the polarimetric processing technique such as the target decomposition and statistical complex Wishart classification method are evaluated and applied to vegetated terrain in Jeju volcanic island.

  • PDF

창의·인성교육 기반 지구과학 수업모형 제안 (A Suggesting of the Earth Science Lesson Model Based on the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 문병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97-30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earth science lesson model based on the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To conduct this study, the curriculum revision in 2009 was analyzed by the causal mapping method. One after another, the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and earth system education were analyzed by the same method. Through as mentioned above, the key words which have relating concepts each other were picked out. Lastly, the key words were connected and compounded for the earth science lesson model based on the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The model indicates that the earth science lesson based on the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requires the reconstructs of the processing and contents of the lesson. In other words, the teaching/learning must be progressed as corresponding between scientific facts and mental recognition, scientific concepts and compounding thinking skill, scientific laws and reconstructing thinking skill. In contents were reconstructed as relating to knowledge, creativity, characters and guidance couns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earth science lesson model based on the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needs developing and apply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managing discussing and cooperative learning.

달의 위상 변화에 관한 교과서의 지식 통합 과정 및 학생 정신 모델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Knowledge Integration in the Textbook and Students' Mental Model about the Phases of the Moon)

  • 성나해;최승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3-174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달의 위상 변화 원인에 관한 교과서의 탐구활동과 학습자의 정신 모델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교수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교과서 9종과 25명의 학생들을 조사하여 현직 교사를 포함한 9인의 과학교육 전문가들이 교차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탐구활동은 현상을 관측하고 공간 모델을 설정하여 검증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탐구활동에서 다루는 과학 개념은 달의 공전, 태양광선의 평행과 달의 반사면, 태양-지구-달의 위치관계, 지구에서 보는 달의 위상에 대한 개념이었다. 이 개념들은 모델 설정 및 조작, 시공간 관계의 사용, 추론, 의사소통 기능과 연결되어 있지만 과학자들의 실제 탐구에 필요한 중요 기능이 생략되어 있었다. 한편 학생들의 정신 모델은 과학적 모델, 혼재형 모델, 대안적 모델로 나누어 각 유형별로 논의하였다. 지식 통합의 관점에서는 교수 설계 시 다양한 탐구 경로를 통해 학습자의 선개념과 새로운 개념의 연결을 권장하고 있으나 이상의 결과는 개념 연결을 강화할 기회가 충분하게 제공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고정도 천체력 S/W 개발(I) (S/W DEVELOPMENT OF HIGH PRECESION EPHEMERIS(I))

  • 안영숙;신종섭;박필호;박온광;이정숙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0권2호
    • /
    • pp.152-162
    • /
    • 1993
  • 이 연구에서는 태양계 천체들의 운동에 대한 역학 모델을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운동 방정식을 수치 적분하여 임의의 시각에 각 행성과 달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역학 모델에는 (1) 점질량 상호작용, (2) 지구와 달의 중력 포텐셜에 의한 figure효과, (3) 조석력, (4) 지구와 달의 orientation 등에 의한 섭동력 등을 모두 고려하였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 계산한 결과를 미국의 JPL에서 생산한 DE200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 요인: 달과 행성의 운동을 중심으로 (Reasons for Unsuccessful Earth Science Problem Solving of Pre-service Teachers: A Study on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 명전옥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39-349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의 달과 행성 운동의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문제 해결 실패 요인을 파악하고 달과 행성의 운동에 대한 효과적 교수전략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초등 예비 교사 40명과 중등 예비 교사 20명이었으며 이들은 지구과학의 천문 분야를 한 학기 수강하였다. 검사도구는 지필 검사와 면담이었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문제 해결 정도는 낮았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문제 해결 정도는 중등 과학 예비교사에 비하여 더 낮았다. 문제 해결 실패 요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선행 지식의 부족 (2) 해결 원리에 의한 문제표상 실패 (3) 배운 지식의 다른 상황(행성)에의 일반화 실패 (4) 일상과 문제 해결 상황의 관점에 대한 변별 부족 (5) 인과적 이해 대신 사실적 지식 암기 학습. 이상의 달과 행성의 운동 문제 해결 실패 요인은 일반적 문제 해결 실패자가 가진 특징과 달과 행성의 운동 과제가 갖는 특징의 결합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달과 행성의 운동 과제의 특징을 고려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높이기 위한 몇 가지 교수 방안이 제시되었다.

  • PDF

중학교 과학 '달의 운동' 단원의 상호작용형 WBI 개발 및 적용 (Developement and Application of Interactive type WBI on the Unit of 'Moon Mo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 정지영;김희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663-67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달의 운동’ 단원에 대한 상호작용형 WBI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중학교 과학교사 20명에게 의뢰하여 의견을 들었으며, 중학생 49명에게 3개월 동안 투입하여 그 질적 수준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흥미유발, 궁금증 해결, 탐구능력 신장, 학습 참여도, 난이도 등의 면에서 응답자의 85%이상이 긍정적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과학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학습자들의 반응은 본 WBI 프로그램 학습 후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또한 본 WBI 프로그램 투입 전후 학습자들의 개념 수준을 비교한 결과, ‘달의 운동’과 관련된 개념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가 부분적인 개념을 갖고 있는 경우보다 개념 향상 정도가 더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