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f Knowledge Integration in the Textbook and Students' Mental Model about the Phases of the Moon

달의 위상 변화에 관한 교과서의 지식 통합 과정 및 학생 정신 모델의 비교 연구

  • Sung, Na-Hae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e, Seung-Ur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성나해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최승언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In this study, we compared textbook knowledge organization with students' mental models to contribute to a more well-designed instruction scheme. The selected science content was the cause of moon phases. We investigated 9 textbooks and 25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Patterns and features in participants' mental models were identified through cross inter-rater data analysis by 9 researchers, including in service teachers and experts in science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bserving and modeling are the main activities engaged in when dealing with moon phases. The activities consisted of such concepts as: lunar revolution, the sun's parallel rays, the illuminated half of moon, and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sun, moon, and earth. Each concept involved inquiry skills such as: creating and manipulating models, uti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and space, and communicating. However, the most important skills which are required fo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namely controlling variables and formulating hypotheses, were missing. We categorized students' mental models into three types: scientific models, mixed models, and alternative models. The knowledge structure of each of the models was also discussed in this paper.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ypically, students were not given enough opportunities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among ideas.

본 연구의 목적은 달의 위상 변화 원인에 관한 교과서의 탐구활동과 학습자의 정신 모델을 비교하여 효과적인 교수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교과서 9종과 25명의 학생들을 조사하여 현직 교사를 포함한 9인의 과학교육 전문가들이 교차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탐구활동은 현상을 관측하고 공간 모델을 설정하여 검증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탐구활동에서 다루는 과학 개념은 달의 공전, 태양광선의 평행과 달의 반사면, 태양-지구-달의 위치관계, 지구에서 보는 달의 위상에 대한 개념이었다. 이 개념들은 모델 설정 및 조작, 시공간 관계의 사용, 추론, 의사소통 기능과 연결되어 있지만 과학자들의 실제 탐구에 필요한 중요 기능이 생략되어 있었다. 한편 학생들의 정신 모델은 과학적 모델, 혼재형 모델, 대안적 모델로 나누어 각 유형별로 논의하였다. 지식 통합의 관점에서는 교수 설계 시 다양한 탐구 경로를 통해 학습자의 선개념과 새로운 개념의 연결을 권장하고 있으나 이상의 결과는 개념 연결을 강화할 기회가 충분하게 제공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찬종, 이조옥, 1995, 달의 위상 변화와 빛에 대한 중등학 교 학생들의 개념 사이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17, 8-21
  2.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 2005, 과학교육학개론. 북스힐, 서 울, 546 p
  3. 김태일, 2007, 한국과 싱가포르의 과학 교과서 탐구 활동의 특징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2 p
  4. 김혁, 2006, 지구과학 교과 영역 탐구 활동 소재로서의 월 면 회전. 한국지구과학회지, 27, 591-605
  5. 명전옥, 2001,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 요인: 달과 행성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2, 339-349
  6. 민준규, 1991, 중등학생 및 과학교사의 지구와 달의 운동에 관한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8 p
  7. 오준영, 김유신, 2006, 천문 현상들을 설명하는 예비초등 교사들의 정신모형의 구조: 계절과 달의 위상 변화. 한 국과학교육학회지, 26, 68-87
  8. Chinn, C.A. and Malhotra, B.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 175-218 https://doi.org/10.1002/sce.10001
  9. Dewey, J., 1901, Psychology and social practi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USA, 42 p
  10. Diakidoy, I., Vosniadou, S., and Hawks, J.D., 1997, Conceptual change in astronomy: Models of the earth and the day/night cycle on American-Indian children.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12, 159-184 https://doi.org/10.1007/BF03173083
  11. Gilbert, S.W. and Ireton, S.W., 2003, Understanding Models in Earth and Space Science. NATA Press, Arlington, VA, USA, 124 p
  12. Linn, M.C., Davis, E.A., and Bell, P., 2004, Internet Environments for Science Educa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Mahwah, NJ, USA, 412 p
  13. Linn, M.C. and Hsi, S., 2000, Computers, teachers, peers: Science learning partner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Mahwah, NJ, USA, 460 p
  14. Schwab, J.J., 1978, Science, curriculum, and liberal educ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USA, 400 p
  15. Stahly, L.L., Krockover, G.H., and Shepardson, D.P., 1999, Third Grade Students' Ideas about the Lunar Pha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 159-177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902)36:2<159::AID-TEA4>3.0.CO;2-Y
  16. Trundle, K.C., Atwood, R.K., and Christopher, J.E., 2007, A longitudinal study of conceptual chang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moon pha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 303-326 https://doi.org/10.1002/tea.20121
  17. Vygotsky, L.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USA, 159 p

Cited by

  1. Conception Typ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Moon Phase Changes and the Suggestions and Effects of Teaching Methods vol.35, pp.2,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2.0289
  2. Exploring 6th Graders Learning Progression for Lunar Phase Change: Focusing on Astronomical Systems Thinking vol.39, pp.1, 2018, https://doi.org/10.5467/JKESS.2018.39.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