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hildhood Teacher

검색결과 584건 처리시간 0.026초

유아교사의 일터영성 척도(WSSECT)의 타당화 : 행복감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판별력 (Discriminant Analysis of the WSSECT o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 이경화;임정수;정혜영;심은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399-413
    • /
    • 2015
  •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WSSECT (Workplace Spiritual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using discriminant analysi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The data from 504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t-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higher group in workplace spirituality significantly gets more scores of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than the lower group, 2) 4 factors of the WSSECT have discriminant power o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3) 2 factors ('meaning for life' and 'calling for ECE teacher job') of the WSSECT are effective to discriminat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Further statistical works are supplementary needed to validate the WSSECT and to increase its'feasibility.

유아교사의 통일교육역량에 대한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e in Unification Education)

  • 정대현;곽연미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819-83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the validity of an assessment scale for determining th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ing unification education. For this purpose, an evaluation scale was constructed and then test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Participants for this study included 266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unification education field. In order to the meas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SPSS 18.0 and AMOS. The result of this study identified four principal factors: 1) Instruction skills, 2) Evaluation, 3) Attitude, and 4) Knowled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the scale's reliability and legitimacy as a valid instrument for the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e in unification education.

유아교사들의 안전에 대한 지식과 사고예방실천과의 관계 연구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and Protective Practice on Safety)

  • 이은경;안효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5-2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and protective practice on safety. The study subjects were 31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Seoul, Kyung-gi area. A modified questionnaire was based on that developed by Nam(2002). Data were analysed by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mall but insignificant difference for safety knowledge in th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and working place, but no difference in attending safety education.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for safety practices in teaching experiences and working place. Third, teachers' safety knowledge was high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fety practices. In conclusion, enhanced early childhood teacher' safety knowledge is needed for improved safety practice.

의미 변별법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상 분석 (An Analysis of the Pre-service Teachers' Self Image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 이승은;박영미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05-12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변별법을 사용하여, 예비유아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유아교사로서의 자아상이 어떠한지 학년에 따른 자아상에 변화가 있는지를 탐색하여 교사양성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남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학과 1~4학년 재학생 167명이었다. 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아상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다변량분석 결과, 학년에 따라 유아교사상의 하위요인 중 <교사태도>, <교사자질>의 조합된 평균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사양성과정을 통해 유아교사상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사회적 평가>요인은 다른 요인에 비해 일관되게 상대적으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학년에 따른 변화도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의 이미지 제고를 위해 전문가들의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유아교사의 일터영성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Workplace Spiritual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 임정수;심은주;이경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717-735
    • /
    • 2014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WSSECT (Workplace Spiritual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tatistical tests. The initial version with 40 items based on two dimensions of spirituality in individual and professional level was constructed. Then, it was revised twice for improving reliability and validity. Finally the WSSECT was constructed of 4 factors - i.e. 'calling for ECE teacher job', 'meaning for life', 'membership in educational community' and 'awareness of inner life' - including the 23 items. The scale will be expected to identify workplace spirit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Occupational Stress on Teacher and 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 구자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70-477
    • /
    • 2017
  • 최근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보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아교사의 질적 향상이 그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로 30개원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총 134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사이에서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이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 인식과 상호작용의 상관관계에서 언어적 상호작용과 행동적 상호작용이 정서적 상호작용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정서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문성 인식의 여러 하위변인 중 직업윤리와 전문적 지식과 기술 요구의 변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의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예술적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연극 활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Adoption of Drama for Improving Early Childhood Teacher's Artistic Competence)

  • 김지윤;김수연
    • 공연문화연구
    • /
    • 제41호
    • /
    • pp.69-92
    • /
    • 2020
  • 본 연구는 유아기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유아의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들이 예술적 역량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예술은 온 국민이 누리고 향유해야 할 문화적 소양이듯이 유아교사의 예술적 경험은 유아의 예술적 감수성, 심미감, 미적능력 발달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에 매우 중요하다 판단된다. 유아교사의 예술적 역량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법 중 본고는 연극예술의 교육적 가치를 담고 있는 교육연극의 활용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교육연극 활동은 즉흥을 통한 허구적 상황을 창조해 내고, 가상의 인물과 동일시의 과정을 경험하게 되며, 감정의 교감을 통한 정서적 경험이 가능함과 동시에 몸을 통한 체화의 과정을 밟는다. 이러한 예술경험을 통해 유아교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극 놀이를 보다 다각적이고 진지한 일상과 연계된 활동으로 촉진시킬 수 있으며, 몸의 자유로운 활용을 통해 다양한 표현력과 상상력, 미적체험 자극도 가능하다. 또한 교육연극 활동 중에 유아와 교사는 수평적이고 민주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향은 2019개정 누리교육과정에서 유아중심의 놀이를 강조하는 교육관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본다. 유아교사들의 예술적 역량이 강화된다면 유아들의 바람직한 예술세계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사 스스로와 유아교육기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유아교사들의 예술적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연극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n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s)

  • 고슬기;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77-383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 및 교사-유아상호작용 간 관계를 알아보고,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대해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인 유아교사 5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각 변인을 측정 후, SPSS 26.0을 활용하여 Pearson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 수준이 증가할수록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는 교사-유아상호작용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준 높은 교사-유아상호작용을 예측함에 있어서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도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DAP 관련 신념과 교수실제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Regarding DAP in Korea and China)

  • 서현아;천희영;이미란;좌승화
    • 아동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35-15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in regards to the DAP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of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A number of both teacher variables and classroom environment variables were also examined. One hundred and ninety three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385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to the TeacherQuestionnaireas issu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higher scores in terms of teachers' beliefs about DAP than DIP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Practice).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higher scores for teachers' beliefs about DIP. Second, Korean teachers' scores in terms of instructional activities for DAP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teaching experience and the teachers' age, and the scores for instructional activities related to DIP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in any of the teacher variables. On the other hand, Chinese teachers exhibited different scores for the instructional activities for both DAP and DIP, again depending on the amount of teaching experience, the teachers' ages, and the ages of the children they taught. Third,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for DAP was found to be in evidence in Korea, but not in China.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및 교사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Study of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on Resilience)

  • 박영심;송화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77-90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지역 소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82명이다. 자료분석은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Stepwise 방식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전체는 회복탄력성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교사효능감 전체는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전체에 대해서는 개인적 교사효능감, 물질적 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사들의 자기계발과 사회적 지지가 뒷받침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