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A (electron donating ability)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1초

품종별 부추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균성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three Species of Leeks(Allium tuberosun R.) Ethanol Extracts)

  • 안명수;김현정;서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6-193
    • /
    • 2005
  • 본 연구결과 호부추(LL), 재래종 부추(LM) 및 약부추(LS)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286{\sim}437mg%$이었으며 LS> LM> LL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3품종의 부추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도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서 LSEx 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유지에 대한 항산화력을 과산화물가(POV)와 공액이중결합산량으로 측정 비교한 결과 3종의 부추 에탄올추출물 모두 0.02% 첨가 종도에서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그 정도는 ${\alpha}-tocopherol$ 보다 높고 BHT보다는 낮은 경향이었다. 이러한 효과는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컸으며 품종 별로 보면 LSEx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약부추와 그 에탄올추출물이 총 폴리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 소거능과 마찬가지로 옥배유에 대한 항산화력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부추 3품종의 에탄올추출물 모두 항균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이들 모두 Pseudomonas에 대하여 높은 저해성을 보였으며 위의 각종 이화학적 성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 재래종 부추의 에탄올추출물은 모든 균주에 고른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3가지 품종의 부추 에탄올추출물들 중 항산화력은 소립종인 약부추가, 항균력은 중립종인 재래종 부추가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모든 추출물들에서 항산화력과 항균력을 확인할 수 있어서 이들 3종 부추 모두 항산화와 항균성에 대한 기능성 식품으로 충분한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삼을 기질로 한 담자균 배양물로부터 분리한 조사포닌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Crude Saponin Fraction Prepared from Culture Product of Basidiomycota cultured with Fresh Ginseng as Substrate)

  • 정재현;위재준;신지영;조주현;정동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7-72
    • /
    • 2005
  • 수삼 및 수삼을 기질로 한 배양물로부터 조사포닌을 분리하여 TLC를 확인한 결과 목질진흙버섯 및 영지버섯 균사체 배양물 조사포닌에서 $Rg_{2}$$Rh_{1}$ 위치에서 spot을 볼 수 있었으며,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배양물에서는 $Rg_{3}$$Rh_{1}$과 같은 위치에서 spot을 볼 수 있었다. 배양물의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수삼, 목질진흙버섯, 영지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배양물 조사포닌에서 1.04, 1.11, 1.45, 1.29%로 나타나 수삼보다는 수삼 배양물에서 높았으며, 특히 영지버섯 균사체 배양물에서 가장 높은 폐놀성 화합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삼 배양물 조사포닌의 전자공여능의 경우 목질진흙버섯 균사체 배양물 1mg/mL 및 10mg/mL에서 각각 92.8, 94.9%로 가장 높았다.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는 영지버섯 균사체 배양물 조사포닌이 29.5%로 목질진흙버섯 균사체나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배양물 보다 높았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영지버섯 균사체 배양물 조사포닌이 65.5%로 가장 높았다.

발효기간에 따른 돌산갓김치의 glucosinolates 함량변화와 항산화, 항고혈압 및 항당뇨활성과의 상관관계 (Changes in Glucosinolate Content of Dolsan Leaf Mustard Kimchi during Fermentation and Correlation with Antioxidant, Antihypertensive, and Antidiabetic Activities)

  • 오선경;김기웅;최명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290-1300
    • /
    • 2018
  • 돌산갓김치의 조추출물을 이용하여 glucosinolates함량, 항산화활성, 항고혈압 및 항당뇨활성을 측정하였다. Glucosinolates 함량은 DLMK의 잎과 줄기에서 6.41, 7.92 mg/g으로 발효기간 중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Total polyphenol과 total flavonoid함량은 줄기보다 잎에서 발효기간 동안 2배 이상의 함량을 나타냈다. ABTS라디컬 소거활성과 EDA은 발효 14일째 대조군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냈고, FRAP는 발효 14일째 잎에서 대조군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그리고 항고혈압 활성(ACE 저해활성)은 잎에서 대조군인 0.01% captopril과 비슷하거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항당뇨활성(${\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대조군인 0.05% acarbose보다 잎, 줄기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glucosinolates 함량과 ABTS 및 EDA, ACE 저해활성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의 상관관계는 줄기 추출물 보다 잎 추출물이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발효기간 중 glucosinolates는 sinigrin, glucobrassicin, glucotropaeolin, progoitrin 검출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돌산 갓김치 추출물은 항산화, 항고혈압 및 항당뇨활성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냈기에 기능성 식품으로서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에탄올 농도에 따른 머루(Wild Grape, Vitis coignetiae)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ild Grape (Vitis coignetiae) Extracts Depending on Ethanol Concentrations)

  • 정현진;박선빈;김선아;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491-1496
    • /
    • 2007
  •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마이크로웨이브로 추출한 머루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추출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고 폴리페놀도 농도 증가에 따라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세 가지 추출용매 중 50% 에탄올 추출 시 항산화 활성이 높았는데 이는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와도 일치하여 머루의 항산화 활성이 폴리페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사료된다. 전반적인 활성은 전자공여능이 약 $13{\sim}101%$로 특히 1.6 g/dL 농도의 50%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의 경우 1% L-ascorbic acid보다 우수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가 낮을수록 활성이 높은 경향으로 pH 1.2에서 활성이 $34{\sim}99%$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농도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의 차이가 컸으며 50% 에탄올 추출, 1.6 g/dL 농도에서 약 38.76 mM gallic acid equivalent로 가장 높았다. SOD 유사활성은 $30{\sim}50%$로 전자공여능이나 아질산염 소거능만큼 우수하진 않았지만 0.01% L-ascorbic acid보다 50%, 100% 에탄올 추출구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머루의 항산화 활성과 폴리페놀 함량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폴리페놀 함량이 풍부한 머루를 이용한 항산화 건강기능성 식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인진쑥 첨가사료를 급여한 흑우육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Black Cattle-Fed Mugwort)

  • 문윤희;정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87-594
    • /
    • 2012
  • 본 연구는 인진쑥을 첨가한 TMR 사료가 흑우육의 이화학적 품질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고품질의 기능성 흑우육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대조군(control)은 인진쑥을 첨가하지 않은 비육우 사료를 급여하였고, 급여군(treatment)은 비육우 사료에 인진쑥을 첨가하였다. 총 catechin 함량은 대조군 및 급여군이 각각 0.262 및 0.379 mg/kg, epicatechin은 각각 0.042 및 0.059 mg/kg으로 급여군이 유의하게 높았다($p$ <0.05). 적색도($a^*$)는 급여군이 대조군보다 높았으나($p$ <0.05) 명도($L^*$) 및 황색도($b^*$)는 급여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pH, VBN 함량 및 총균수는 대조군과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TBARS는 대조군이 급여군보다 높았고, EDA는 급여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보수력, 동결감량, 해동감량 및 가열감량은 대조군과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도 및 검성은 급여군이 대조군보다 높았고, 탄성은 대조군이 급여군보다 높았다($p$ <0.05). 그러나 응집성, 저작성 및 전단력은 대조군과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육의 색깔 및 향, 가열육의 맛, 풍미, 연도,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대조군 및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인진쑥의 급여로 항산화 물질이 축적되어 흑우육의 색깔이 개선되고, 항산화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기능성 고품질 흑우육 생산을 위한 기능성 사료의 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고려인삼(高麗人蔘)의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nti - aging Action of Korean Ginseng)

  • 최진호;오성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06-515
    • /
    • 1985
  • 홍삼(紅蔘)사포닌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의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에 의한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홍삼(紅蔘)사포닌을 가수분해(加水分解)하여 얻은 prosapogenin, panaxadiol 및 panaxatriol을 시료(試料)로 하여 in vitro 및 in vivo 실험(實驗)을 통하여 이들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들의 생체(生體) 과산화지질생성(過酸化脂質生成)에 미치는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비교(比較)하였다.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電子供與能)(EDA)은 $13.88{\sim}19.76%$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in vitro에서 과산화지질생성(過酸化脂質生成) 억제효과(抑制效果)는 현저하였으며 그 순서는 prosapogenin>panaxatriol>panacadiol이었다. POV에 의한 유효기간(誘導期間)은 이들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 홍삼(紅蔘)사포닌보다 훨씬 높았으며 prosaposenin>panaxatriol>panaxadiol의 순이었다. in vivo에서 복강(復腔)(i. p.) 및 경구(經口)(p.o.) 투여(投與)에 의한 생체내(生體內) 과산화지질생성(過酸化脂質生成) 억제효과(抑制效果)는 대조군(對照群)에 비(比)해 훨씬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홍삼(紅蔘)사포닌과 비교(比較)했을 때 간장(肝臟)과 신장(腎臟)에는 거의 비슷한 효과(效果)를 나타냈지만 혈액(血液)에서는 이들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이 홍삼(紅蔘)사포닌보다 훨씬 효과적(效果的)이었다. 효소활성(酵素活性)으로서 superoxide dismutase 활성(活性)을 in vitro에서 비교해 보면 이들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이 $24.2{\sim}36.4%$의 과산화지질생성(過酸化脂質生成)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나타내고 있어, 홍삼(紅蔘)사포닌의 12.1%보다 $2{\sim}3$ 배(倍)의 효과(效果)를 나타내고 있었고, in vivo에서는 복강(復腔)(i. p.) 투여(投與)에서는 $12.9{\sim}22.2%$. 경구(經口)(p.o.) 투여(投與)에서는 $11.2{\sim}21.6%$의 높은 활성(活性)을 나타내고 있었다. 단 peroxidase 활성(活性)은 복강(復腔)(i. p.) 투여(投與)에서는 $129.0{\sim}188.6%$, 경구(經口)(p. o.) 투여(投與)에서는 $111.4{\sim}139.6%$의 활성(活性)을 나타내고 있었다.

  • PDF

몇 가지 식품의 이화학적 특성 및 균증식 억제에 대한 점토광물 처리의 영향 (Effects of Clay Minerals Treatment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Inhibition of Microoganism of Some Foods)

  • 정옥진;우관식;김광엽;이희붕;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3-29
    • /
    • 2005
  • 국내산 점토광물들의 식품 잠재적 가치를 알아보고, 그 활용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점토광물에 대한 항산화성, 항균성, 물성에 대한 영향, 고미취 흡착능력 등을 측정하였다. 전자 공여능에 의한 항산화력 측정 결과 bentonite가 20.6%로 가장 우수하였다. 과산화물가에 의한 항산화력 측정결과 저장 7일째의 POV가는 control 310 meq/kg이었으며, vermiculite가 100 meq/kg로 가장 우수한 산패 지연 효과를 나타내었고, TBA가에 의한 항산화력은 zeolite가 가장 우수하였다. 향균활성 측정결과 illite, vermiculite, zeolite를 첨가한 배지에서 E. coli, .S. aureus의 균주에 대해 증식 지연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식 속도가 지연되었다. 응력완화와 파손강도 측정으로부터 각 점토광물은 무의 조직과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쌀의 취반시 kaolin, vermiculite를 첨가하였을 때 pentanol, hexanal, nonanal, linoleate, stearic acid, oleic acid 등 고미취의 원인이 되는 대부분 화합물의 peak area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국내산 여러 점토광물은 항산화력 및 유지 산패 지연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향균활성 및 물성 변화 억제 그리고 고미취의 원인이 되는 여러 화합물들을 흡착하는 등 여러 가지 각종 부수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품종이 다른 뽕잎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 탐색과 항산화 효과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Antioxidant effect from the extracts of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 조영제;주인식;김병오;김정환;이병구;안봉전;추재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334-343
    • /
    • 2007
  • 108종의 표본묘목으로부터 채취한 뽕나무잎을 이용하여 항산화효과와 Helicobacter pylort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효과 중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물 추출물에서는 양면상 등 13종의 뽕잎에서 80% 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이 확인되었으며, 80% ethanol 추출물에서는 고수9 등 59종의 뽕잎에서 80% 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이 확인되어, 물 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decolorlization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과 80% ethanol 추출물 모두에서 대부분의 뽕잎 추출물들이 90% 이상의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TBARS 값은 control값이 $0.493{\times}10^{-2}{\mu}M$로 나타났으며, 물 추출물에서는 청운뽕, 도내, 축무, 사천금, 수원상 1호, 불전 2호, 오노다마구와, 야마나까다까스께를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80% ethanol 추출물에서도 대축면을 제외한 107종의 품종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TBARS 값을 나타내어 산화촉진인자를 binding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TBARS와 같이 지용성 물질의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에서는 많은 종류의 뽕잎 80% ethanol 추출물에서 2이상의 높은 PF를 나타내었으며, TBARS값과 PF값 모두 80% ethanol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뽕잎 품종별 추출물로 Helicobacter pylori균을 저해하는 물질을 탐색한 결과 108종의 뽕잎 중에서 감락상, 다호조생, 신일뽕, 국상 27호, 개량십문자, 국부, 수중상, 백광 6호, 이상, 사천금, 영변추우, 사175, 당상 2호, 청목노상 및 수중상 등 15 품종의 뽕잎에서 저해환을 나타냈으며, 그 중 물 추출물에서는 다호조생 품종이 지름 13mm의 저해환을, 알코올 추출물에서는 청목노상 품종이 지름 15mm의 저해환으로 효과가 가장 우수하여 천연 항균제 및 생리활성 물질로의 이용가능성을 추측할 수 있었다.

녹차 및 매실 추출물이 N-Nitrosodimethyl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Camellia sinensins) and Maesil(Prunus mime) Extracts on Endogenous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 성낙주;최선영;정미자;신정혜;김행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22
    • /
    • 2002
  • 녹차 및 매실추출물이 아질산염 소거, 전자 공여능 및 NDMA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질산염과 아민이 풍부한 식단(CW)에 인공타액과 위액을 이용한"simulated digestion"에서 확인하였다. 녹차와 매실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pH 1.2,4.2 및 6.0에서 실험한 결과, pH가 낮을수록, 시료 첨가량이 많을수록 효과적이었으며 pH 1.2에서 녹차 추출물 0.5ml 첨가시킬 경우 99.6%의 높은 소거작용을 나타내었고, 매실 추출물 3ml 첨가시 77.2%의 소거작용을 나타내었다. 녹차 및 매실 추출물의 전자공여 시용은 각각 70.6%, 75.1%로 높게 나타났다. 녹차와 배 신 추출물의 NDMA 생성억제 효과는 pH 1.2에시 가장 뛰어났을, 시료량이 증가할수록 억제효과가 높아 3ml 첨가시에 82.1%와 73.2%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식이에 녹차 및 매실 추출물의 텀가량을 달리하여 인공소화시킬 때 NDMA생성억제 효과는 시료 첨가량에 비례하여 각각 20m1첨가시 녹차 추출물은 57.9%, 매실 추출물은 48.4%의 NDMA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지충이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from Sargassum thunbergii)

  • 최선영;김순영;허종문;최한길;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9-144
    • /
    • 2006
  • 지충이 (Sargassum rhunbergii)의 기능성 을 밝히고 식품으로서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전자공여 작용, 아질산염 소거작용, SOD 유사활성, 환원력 및 $\beta-carotene-linoleate$ model system을 이용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chloroform 추출물이 $22.5{\pm}0.8$ mg/100 mL, methanol 추출물이 $20.1{\pm}0.6$ mg/100 mL였으며, 전자공여작용은 hexane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 효과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추출물의 농도 $1000{\mu}g/mL$일 때 methanol 추출물과 water 추출물에서 각각 $70.4\%$$63.2\%$로 radical 소거능이 강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2.5 반응용액에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 할수록 뛰어난 소거작용을 보였으며 $1000{\mu}g/mL$에서 methanol 추출물이 $89.4{\pm}0.9\%$로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보였고 반대로 water 추출물은 $38.6{\pm}0.5\%$로 낮은 소거효과를 보였다. SOD 유사활성은 chloroform 추출물이$1000{\mu}g/mL$ 첨가시 $61.4\%$로 활성이 가장 높았다. $\beta-carotene-linoleate$ model system에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을 때 시료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장 활성이 높은 methanol 추출물의 경우 $1000{\mu}g/mL$ 농도에서 $78.4\%$로 대조구인 BHT$(72.1\%)$ 보다 더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