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s-isolate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5초

RT-PCR Detection of dsRNA Mycoviruses Infecting Pleurotus ostreatus and Agaricus blazei Murrill

  • Kim, Yu-Jeong;Park, Sang-Ho;Yie, Se-Won;Kim, Kook-Hy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343-348
    • /
    • 2005
  • The partial nucleotide sequences of the genomic dsRNA mycoviruses infecting Pleurotus ostreatus (isolates ASI2596, ASI2597, and Bupyungbokhoe) and Agaricus blazei Murrill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dsRNA mycoviruses. Partial nucleotide sequences of the purified dsRNA from ASI2596 and ASI2597 revealed RNA-dependent RNA polymerase sequenc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Oyster mushroom isometric virus 2, while nucleotide sequences and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from dsRNA mycovirus infecting Agaricus blazei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homology to the other dsRNA mycoviruses. Specific primers were designed for RT-PCR detection of these dsRNA viruses and were found to specifically detect each dsRNA virus. Northern blot analysis confirmed the homogeneity of RT-PCR products to each purified dsRNA. Al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se virus-specific primer sets can be employed for the specific detection of each dsRNA mycovirus in infected mushrooms.

잡초에서 분리한 3종 Cucumber mosaic virus의 동정과 특성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ree Isolates of Cucumber mosaic virus Isolated from Weed Hosts)

  • 이혁근;김성률;전용운;권순배;류기현;최장경
    • 식물병연구
    • /
    • 제14권1호
    • /
    • pp.15-20
    • /
    • 2008
  • 산박하(Isodon inflexus)의 Is-CMV, 깽깽이풀(Jeffersonia dubia)의 Jd-CMV 및 파리풀(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의 Pla-CMV 등, 3종의 잡초에서 분리한 Cucumber mosaic virus(CMV)를 공시하여, 기주반응 실험, dsRNA 분석, 혈청학적 성질조사, RT-PCR및 RFLP등의 실험을 통하여 각 바이러스를 동정하고, 특성을 구분하였다. 잡초로부터 분리 한 3종의 CMV는 Nicotiana benthamiana, N. tabacum cv. Xanthi nc, N. glutinosa, Cucubita pepo cv. Black Beauty에는 모두 유사한 모자이크 병징을 발현하였으며, Chenopodium amaranticolr와 Vigna unguiculata cv. Kurotanesanzaku에서는 국부 괴사병반이 발현되었다. 한편 고추(Capsicum anmuum cv. Chungyang)에서는 Jd-CMV와 Pla-CMV는 전형적인 모자이크 증상을 발현하였으나, Is-CMV는 병징이 나타나지 않고 무병징으로 감염되는 특성을 보였다. Is-CMV, Jd-CMV 및 Pla-CMV에 감염된 N. benthamiana로부터 추출한 dsRNA는 모두 약 3.4, 3.2, 2.1 및 1.0kbp의 분자크기를 갖는 4종의 dsRNA 밴드가 검출되었으며, 대조로 이용한 Fny-CMV의 dsRNA 패턴과 같았다. Is-CMV, Jd-CMV 및 Pla-CMV에 감염된 N. benthamiana의 즙액을 항원으로 이용하여 Fny-CMV의 항혈청과 한천겔이중확산법으로 조사한 혈청학적 실험 결과는 모든 항원이 한 종의 뚜렷한 침강선을 형성 하였으며, Fny-CMV의 항원에 의해서 형성된 침강선과 융합함으로서 서브그룹 I에 속하는 계통들로 판단되었다. 또한 Is-CMV, Jd-CMV 및 Pla-CMV에 감염된 N. benthamiana로부터 추출한 RNA를 이용하여 CMV-specific 프라이머를 이용한 외피단백질유전자를 포함하는 RNA3의 3' 영역 에 대한 RT-PCR을 실시한 결과, Fny-CMV와 마찬가지로 약 950bp 크기의 cDNA가 증폭되었다. 증폭된 각각의 cDNA를 EcoRI으로 처리하였을 때에는 절단되지 않았으며, HindIII, MspI, SalI 그리고 XhoI에서는 2개의 절편으로 절단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Fny-CMV의 절단패턴과 일치하는 것으로 Is-CMV, Jd-CMV 그리고 Pla-CMV는 서브그룹 IA에 속하는 계통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3종의 잡초로부터 CMV가 분리 동정된 것은 이 논문이 처음이다.

인간 피부 상재균과 병원성 세균에 대한 Paenibacillus elgii DS381과 그 항균물질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by Paenibacillus elgii DS381 and its antimicrobial substances against microbial residents on human skin and pathogenic bacteria)

  • 이다솔;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44-253
    • /
    • 2018
  • 이 연구는 분리된 토양 세균에 의해 생성된 항균물질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0여개의 세균 분리주 중 Paenibacillus elgii DS381이 여러 인간 피부 상재균과 병원성 세균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DS381 균주는 agar well diffusion test에서 모든 대상 세균과 효모에 대해 15.3~26.0 mm 직경의 저해대를 형성하였다. DS381이 생성한 항균 펩티드는 모든 대상 미생물에 낮은 최소저해농도 (0.039-5.000 mg/ml)를 나타내었다. DS381 균주는 lipopeptide 같은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나타내었는데, 배양 상등액의 표면장력을 60.0에서 40.3 mN/m으로 낮추었다. DS381은 또한 $1.56{\pm}0.13U/ml$의 chitinase 활성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은 P. elgii DS381이 일부 중요한 인간 피부 상재균과 병원성 세균에 대한 효율적인 생물제어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가리킨다.

Characterization and RT-PCR Detection of dsRNA Mycoviruses from the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Seo, Jang-Kyun;Lim, Won-Seok;Jeong, Ji-Hye;Yoo, Young-Bok;Yie, Se-Won;Kim, Kook-Hy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200-205
    • /
    • 2004
  • The partial nucleotide sequences of the genomic dsRNA mycovirus infecting Pleurotus ostreatus isolates ASI2223 and Suhan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mycoviruses belonging to partitiviruses and totiviruses. Partial nucleotide sequences of the purified dsRNA from ASI2223 and Suhan showed RNA-dependent RNA polymerase sequenc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ose of partitiviruses, including Fusarium poae virus 1, Fusarium solani virus, Rhizoctoniasolani virus, Discula destructiva virus 2, and Oyster mushroom isometric virus 2. Specific primers were designed for RT-PCR detection of dsRNA viruses from the P. ostreatus isolate ASI2223 and Suhan. Two virus specific primer sets were found to specifically detect each virus among six sets of designed oligonucleotide primer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dsRNA mycoviruses from P. ostreatus isolates ASI2223 and Suhan belong to the family Partitiviridae, although, they are not the same virus species. Our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se virus-specific primer sets can be employed for the specific detection of each viral sequence in infected tissues.

Calonectria ilicicola의 병원성과 배양적 특성간의 상호관계 (Relationship between Virulenc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Calonectria ilicicola)

  • 김기덕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3호통권86호
    • /
    • pp.387-395
    • /
    • 1998
  • 여러가지 기주에서 유쾌한 Calonectria ilicicola 균주의 병원성에 대한 형태적, 유전적 표지를 검출하기 위하여 균사생장, 균핵, 자낭각 그리고 dsRNA를 조사하였다. 시험된 모든 균주에서 병원성, 균핵수, 자낭각수 와 균사생장 등의 다양한 변이가 관찰되었으나 dsRNA는 검출되지 않았다. 균의 병원성은 균핵과 자낭각 생산과 각각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균사 생장은 자낭각의 생산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땅콩에서 유래한 균주보다 콩에서 유래한 균주가 기주인 콩에 더 강한 병원성을 보였으며 균핵과 자낭각의 생산도 더 많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C. ilicicla의 균핵과 자낭각 생산력은 inoculum potential의 구성요소로써 작용하며, 이중 균의 자낭각 생산력은 병원성과 기주 분화를 나타내는데 유용한 표지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Bacillus subtilis DS660과 Paenibacillus polymyxa DS842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acillus subtilis DS660 and Paenibacillus polymyxa DS842)

  • 이다솔;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54-361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여러 미생물에 항균활성을 갖는 토양세균을 분리하고 그들이 생성하는 항균물질과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많은 세균 분리균주 중 Bacillus subtilis DS660과 Paenibacillus polymyxa DS842은 6가지 인간 피부 상재균과 3종의 병원성 세균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DS660과 DS842 균주는 대부분의 대상 세균과 진균에 대하여 NA 배지 상에서 각각 직경 15.3~26.8과 11.3~27.5 mm의 생장 저해대를 형성하는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DS660과 DS842 균주는 siderophore를 생산하였는데 각각 $570{\pm}8$$1700{\pm}15{\mu}mol/ml$의 최대 생산량을 나타내었고, 균주 배양 상등액의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의 분석은 그들의 glycolipid 계면활성물질 생성을 나타내며 이에 의해 배양 상등액의 표면장력을 60 mN/m에서 각각 40.3과 30.3 mN/m으로 현저하게 낮추는 계면활성을 보였다. 또한 두 균주는 $169.2{\pm}9.9$$357.2{\pm}13.7nmol/min/mg$ protein의 ${\beta}$-1,3-glucanase 생산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세균의 세포벽 성분을 용해하는 능력을 지녔다. 이러한 결과들은 B. subtilis DS660과 P. polymyxa DS842가 일부 중요한 인간 피부 상재균과 병원성 세균에 대한 효율적인 생물제어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Isolation of Cryphonechia parasitica from Cankers on Chestnut Trees in ]Korea

  • Ju, Young-Jik;Kim, Dae-Hyuk;Cha, Byeong-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23-29
    • /
    • 2002
  • A total of 672 Cryphonectria parasitica was isolated from 2,536 blight lesions on chestnut twigs, which were collected from major chestnut plantations all over Korea. Isolation rates of each province ranged from 13.5% in Jeonbuk-ds to 37.4% in Gyeongnam-do, with an average rate of 25.6%. The isolates were classified into six groups according to color and shape of colony on PDA: smooth margin (S), irregular margin (I), yellow to brown (Y), white (W), and white with yellow center (C). Among these groups, IY was the most abundant with an isolation rate of 65%. On the other hand, SW, SC, IW, and SY were quite rare, with isolation rates ranging from 1.5% to 5.8%. When the 672 isolates were inoculated on the chestnut twigs,380 isolates (56.5%) caused lesions larger than the standard virulent isolate EPISS-2, while 158 isolates (23.4%) caused smaller lesions than the standard hypovirulent isolate UEP-1. However, 87.4% of the isolates belonged to the virulent group and only 12.6% belonged to the hypovirulent group based on Bavendamm test. In the provinces of Jeonnam-do, Jeonbuk-do, and Gyeongnamdo, which have high density of chestnut trees, the rates of hypovirulent-like isolates were over 20%.

Characteristics of ustilago maydis virus of SH14 killer strain isolated in Korea

  • Hwang, Seon-Hee;Jung, Cheong-Hwan;Yie, Se-W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3권2호
    • /
    • pp.154-159
    • /
    • 1995
  • SH-14, a novel killer strain of Ustilago maydis was isolated in Korea. It has been reported in other papers that the toxin specificity and double-stranded RNA pattern of SH-14 strain were different from other laboratory strains.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U. maydis SH-14 virus. Three distinctive peaks were isolated from CsCl density gradient, designated as top (T), intermediate (I) and bottom (B) components. We found that the densities of each components, 1.285, 1.408 g/cm$\^$3/, respectively,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other strains. As previously reported by the analysis of dsRNA in each component, the dsRNA segments are separately encapsidated. Capsid protein of SH-14 virus consists of two proteins about 70 Kd shown by SDS-PAGE analysis.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virus particles revealed that UmV particles are very similar in size and morphology to all isolates as well as all lab-strains. In order to test immunological cross reactivity of UmV, werstern bolt analysis was carriedout with antiserum against A8 virus. All capsid protein had positive reaction against A8 antibody which indicated that UmV are immunologically cross-reactive with all isolates from Korea.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paper may show that UmV isolated from SH-14 strain has very similar biochemical characteristics to those of other UmV.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toxin specificity and the molecular weight of toxin protein from the SH-14 strain has us to conclude that U. maydis SH-14 strain is a new killer type.

  • PDF

옥수수에 발생하는 벼검은줄오갈병의 유전자 비교 (Characterization of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in Maize)

  • 이봉춘;윤영남;홍성준;홍연규;황재복;송석보;강항원;이기운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223-225
    • /
    • 2008
  • 2005년 전북 고참에서 채집한 옥수수 이병주로부터 벼검은줄오갈병 바이러스를 동정하였다. 이들 이병주로부터 게놈 dsRNA를 추출하여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으로 게놈 패턴을 분석 하였다. 전기영동 결과 이미 알려진 10개의 분절게놈을 확인하였으며 채집지역별 isolate에서 게놈 dsRNA이동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추출된 dsRNA를 주형으로 하여 S10의 full-length 특이 primer를 사용하여 RT-PCR한 결과 1,801의 예상되는 band를 확인하여 RBSDV로 동정하였다. S10을 pGEM-T vector에 크로닝하여 염기서열 분석 결과 1,801nt, 559aa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는 벼에 발생하는 RBSDV S10의 크기와 동일하였으며 상동성 분석결과 18개 염기에서 변이가 확인되어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