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ry matter yields

Search Result 44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한국에 있어서 답리작을 이용한 양질 조사료 생산기술 (Studies on the Forage Production and Utilization on Paddy Field in Korea)

  • 서성;육완방
    • 한국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2년도 창립 30주년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5-56
    • /
    • 2002
  • The problems in the current domestic forage production were evaluated, and the prospective improvement was suggested in this paper. Grassland development in forest, production of high quality forages in upland and paddy land, efficient utilization of rice straw, development of new varieties of forages suitable for our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imported forages were described Among them, preferential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forages using paddy field after rice harvest . should be enlarged for domestic supply of forages in Korea. Several studies were carried out to select the promising forage crops and barley cultivars for whole crop silage production, to determine productivity, nutritive value and production cost of forages produced in paddy field, and feeding effect of forages with Hanuwoo and milking cow for whole crop silage with forages produced in paddy field, 1999 to 2001, and also discussed restraint factors and activation plans for enlargement of forage production in paddy land. The promising forage crops in paddy field were rye and barley for Middle region, and rye, barley, early maturing Italian ryegrass and wheat for Southern region. The promising barley cultivars for whole crop silage in paddy field were Albori in Suwon, Keunalbori, Milyang 92, Saessalbori, and Naehanssalbori in Iksan, and Keunalbori, Albori, Naehanssalbori, and Saegangbori in Milyang, respectively. Silage production, quality and animal palatability of silage by trench and round bale were also compared. The production yields of whole crop barley silage(WBS) were 17,135kg as a fresh matter, and 6,011kg as a dry matter per ha, and the quality of WBS was 2∼3 grade, while that of rice straw silage was 4 grade as a farm basis. The production cost of WBS per kg was 83won as a fresh matter, and 238won as a dry matter. Feeding of WBS as forages on Hanwoo was very desirable for the improvement of live-weight gain, beef quality and farm income, particularly in growing stage of Hanwoo. Milk production and income were also increased, and feed cost was decreased by feeding of WBS. The daily voluntary intake of WBS in milking cow was 26.3kg as a fresh matter(DM 7.7kg) per head. Milk production when WBS was fed, was very similar to that of imported hay feeding such as Kentucky bluegrass or domestic corn silage. The issues to be solved in near future f3r stable forage production and supply in paddy land are sustainable livestock-forages policy, development & seed production of new varieties of barley, rye, Italian ryegrass and other promising forages, efficient demand & supply system of forages, solidification for mass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forages, efficient application management of animal slurry on paddy field considering environmental agriculture/livestock industry, and break k development of bottleneck technique in production field. Domestic production & supply of high cost agricultural machine (round baler, wrapper, handler and so on), plastic wrapping film, and silage additives are also important.

  • PDF

파종시기에 따른 국내 육성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수량 및 사료가치의 품종간 비교 (Comparison of Yield and Forage Quality of Silage Corns at Different Planting Dates)

  • 손범영;김정태;송송이;백성범;김정곤;김종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9-186
    • /
    • 2009
  • 본 시험은 최근 육성된 국내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들의 파종기에 따른 수량 및 사료가치를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국내산 옥수수의 파종일에서 출사일까지의 출사일수는 수원169호와 P3394가 62일로 가장 짧았으며 강다옥이 68일로 가장 길었다. 청안옥이 다른 품종보다 도복에 더 강하였으며 후기녹체성은 광평옥, 강다옥이 다른 품종보다 더 우수하였다. 암이삭 비율은 강다옥을 제외한 품종들은 수입종인 DK697과 P3394와 비슷하였지만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월 3일과 5월 21일 파종기의 암이삭 비율은 46%, 45%로 비슷하였으나 6월 11일 파종기에는 41%로 낮았다. 생초수량은 강다옥이 가장 높았으며 그 외 품종들은 비슷한 생초수량을 나타내었다. 건물수량은 청안옥을 제외한 다른 국산 품종들은 DK697과 P3394와 비교해 볼 때 비슷하였다. 가소화영양소총량(TDN) 수량은 품종간 차이는 없었다. 5월 3일과 5월 21일 파종기의 생초수량, 건물수량 및 가소화영양소총량 등은 비슷하였으나 6월 11일 파종기에는 생초수량, 건물수량 및 가소화영양소총량 등이 감소하였다. ADF는 품종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범위는 $44.2{\sim}46.2%$였다.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NDF는 품종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범위는 $58.1{\sim}59.9%$였다.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ADF와는 반대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소화건물(DDM)은 품종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범위는 $52.9{\sim}54.5%$였다.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건물섭취량(DMI)은 $2.0{\sim}2.1%$로 품종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또한 파종기간 차이도 없었다. RFV는 P3394가 가장 낮았으며 이를 제외한 다른 품종들은 $84.1{\sim}85.0$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시험결과를 볼 때 광평옥 등 국내 육성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은 생산성과 사료가치 면에서 수입품종과 비슷하거나 우수하였다.

생육단계별 Festulolium braunii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구명 (A Study on the Dry Matter Yield and Qualityof Festulolium braunii at Different Growing Stages)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7-122
    • /
    • 1997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rage yield and quality and the possibility to provide Festulolium bmunii(Festuca pratensis $Huds{\times}Lolium$ mult~jlotum Lam.) as forage source in Korea. The Festuloliurn braunii were harvested at boot, heading and anthesis stage, respectively. The field trials were performed 6om 1994 to 1996 at the forage experimental field, College of agriculture, Chunpam National Universit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ate of boot, heading and anthesis stage of Festulolium bmunii observed in Taejon were May 12, May 23 and June 1 in 1995, and June 1, June 4 and June 9 in 1996, respectively. Winter survival percentage of Festulolium bmunii war ranged 6om 96% to 98% and summer survival percentage were 75-86%. It would suggest that Festulolium brawlii persisted well in the aspect of overwintering, while it wasn' t widely adapted to drought and high temperature in Taejon regions. 2. The CP content and DMD of Festulolium bmunii tended to decline as the growth stage advanced. The CP content and DMD of Festulolium bmunii were high at the boot stage and those at the anthesis stage were low. But fiber contents at the boot stage were lower than those at anthesis stage(P< 0.05). The yields of the DM and DDM with advancing the growing stage tended to increase,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PDM yields among stages. On the otherhand, the yields of DM and DDM at the anthesis stage were the highest (P< 0.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PDM yield among stages.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is suggested that Festulolium b m n i i has a possibility to use until the anthesis stage under the cutting regimes and that it has a potentiality to provide one of a good forage sources. %'ifqqiZ 43q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versity, Taejon 305-764, Korea)

  • PDF

저장탄수화물과 질소의 월동성과 재생활력에 대한 이용성 II. 추파 유채 ( Brassica napus L. ) 의 파종밀도가 월동중 저장유기물 함량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Partitioning of Carbon and Nitrogen Reserves During Winter Adaptation and Spring Regrowth II. Effect of seeding density on the content of organic reserves on the wintering period and forage yeild in rape ( Brassica napus L. ))

  • 김태환;김기원;정우진;전해열;김병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31-237
    • /
    • 199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organic reserves on winter survival or regrowth yield. Forage rape (Brassica napus L.) was sown by three seeding densities of 5, 15 and 25cm interval among plants on Sep. 1, 1994. Field-grown plants were sampled on the before wintering (Dec. 4) and on the wintering period (Jan. 16) to analyze the nitrogen and non-structural cahohydrate reserves. The rate of winter survival and regrowth yield were also measured in the spring of next year. The dry matter yields from the plots of 5, 15 and 25cm seeding interval were 1,270, 1.01 9 and 1,062 kg/lOa respectively, on the before wintering. The similar pattern wa5 observed in the crude protein yields affected by seeding density. On the before wintering, both of nitrogen and starch contents per plant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seeding density was lowered. Starch content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nitrogen in all plots. On the wintering period, the contents of nitrogen reserves were 6.5, 41.2 and 121.7 mglplant, those of starch reserves were 1.0, 5.4 and 185.1 mg/plant, respectively, in the plots of 5, 15 and 25cm seeding interval. Nitrogen reserves on the wintering period increased while starch reserves highly decreased in all plots comparing to the before wintering. 'lhe rates of winter survival were 10.2, 20.6 and 37.1%, and regrowth yields were 76, 96 and 178 kgD.M/ IOa, respectively, in the plots of 5, 15 and 25cm seeding interval. These results cleariy showed that seeding density have a close influence on the level of nitrogen and non-structurd cahohydrate reserves, and that the rate of winter survival and regrowth yield were controlled by reserves level on the wintering period.

  • PDF

Effects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of Wheat Straw

  • Zhang, Hui Ling;Chen, Yong;Xu, Xiao Li;Yang, Yu Xi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4호
    • /
    • pp.523-528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ree branched-chain amino acids (BCAA; valine, leucine, and isoleucine) on the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of wheat straw using batch cultures of mixed ruminal microorganisms. BCAA were added to the buffered ruminal fluid at a concentration of 0, 2, 4, 7, or 10 mmol/L. After 72 h of anaerobic incubation, pH, volatile fatty acids (VFA), and ammonia nitrogen ($NH_3$-N) in the ruminal fluid were determined. Dry matter (DM)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degradability were calculated after determining the DM and NDF in the original material and in the residue after incubation. The addition of valine, leucine, or isoleucine increased the total VFA yields ($p{\leq}0.001$). However, the total VFA yields did not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BCAA supplement level. Total branched-chain VFA yields linearly increased as the supplemental amount of BCAA increased (p<0.001). The molar proportions of acetate and propionate decreased, whereas that of butyrate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valine and isoleucine (p<0.05). Moreover, the proportions of propionate and butyrate decreased (p<0.01) with the addition of leucine. Meanwhile, the molar proportions of isobutyrate were increased and linearly decreased (p<0.001) by valine and leucine,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leucine or isoleucine resulted in a linear (p<0.001) increase in the molar proportions of isovalerate. The degradability of NDF achieved the maximum when valine or isoleucine was added at 2 mmol/L. The results suggest that low concentrations of BCAA (2 mmol/L) allow more efficient regulation of ruminal fermentation in vitro, as indicated by higher VFA yield and NDF degradability. Therefore, the optimum initial dose of BCAA for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is 2 mmol/L.

초종과 파종비율을 달리한 혼파초지의 건물수량과 품질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Mixtures on the Different Grass Species and Seeding Rates)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1-108
    • /
    • 2007
  • 본 연구는 초종과 파종비율을 달리한 혼파초지를 비교 검토하여 건물수량과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혼파방법을 찾고자 관행 혼파초지{conventional mixtures(CM), orchardgrass (Potomad) 50% + tall fescue (Fawn)20% + Kentucky bluegrass(Kenblue) 20% + white clover(Regal) 10%},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Red clover mixtures(RM), orchardgrass (Potomac) 40 + tall fescue 20%(Fawn) + Kentucky bluegrass (Kenblue) 10% + red clover(Kenland) 30%} 및 잔디형 초종 + 혼파초지{Turf type grass mixtures(TM), orchardgrass Potomac) 50% + turf type grass(tall fescue, Millenium 20% + Kentucky bluegrass, Midnight 10% + perennial ryegrass, Palmer III 10%) + white clover, Regal 10%)의 3처리를 두어 시험하였다. 시험은 난괴법 4반복으로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초지시험포장에서 2003년 9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수행하였으며,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2년 평균 건물수량은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가 11,656kg/ha으로 관행 혼파초지(11,245kg/ha)나 잔디형 초종 + 혼파초지(9,897kg/ha)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가져왔다(p<0.05). CP 함량은 연도와 혼파초지의 유형에 관계없이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관행 혼파초지나 잔디형 초종 + 혼파초지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NDF, ADF, cellulose 및 lignin과 같은 섬유소물질의 함량은 조사연도와 혼파초지의 유형에 따라 대체적으로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에 비하여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2년 평균 CPDM 수량은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가 2,832kg으로 관행 혼파초지(2,372kg)나 잔디형 초종 + 혼파초지(2,266kg)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2년 평균 DDM 수량은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가 8,881kg으로 관행 혼파초지(8,255kg)나 잔디형 초종 + 혼파초지(7,314kg)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얻었다(p<0.05). 2005년 5회 예취시의 식생비율은 관행 혼파초지는 orchardgrass는 45%, tall fescue 22%, Kentucky bluegrass 5% 및 white clover 24%이었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초지는 orchardgrass 40%, tall fescue 22%, Kentucky bluegrass 4% 및 red clover 31%이었고, 잔디형 초종 + 혼파 초지는 orchardgrass 37%, 잔디형 초종 37%(tall fescue 23%, Kentucky bluegrass 6%, perennial ryegrass 8%) 및 white clover 23%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초종과 파종비율에 따른 혼파초지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Rye 단작 및 Rye-Red Clover 혼작에서 우분슬러리 시용이 작물의 생산성 및 토양 유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on Productivity and Soil Organic Matter of Rye and Rye-Red Clover Mixture)

  • 최연식;정민웅;최기춘;육완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7-244
    • /
    • 2008
  • 본 연구는 사료작물 작부체계에 따른 액상분뇨 시용수준이 호밀과 호밀-레드 클로버의 생산성 및 지력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에서 2년간 수행 되었다. 작부체계(호밀단작, 호밀-레드 클로버 혼작)를 주구, 우분액비의 시용수준(0,150, 300 kg/N/ha)를 세 구로 하여 분할구 배치법 3반복으로 실험하였다. 파종량은 호밀-레드 클로버 혼작시 호밀 130 kg/ha, 레드 클로버 20 kg/ha을 매년 파종했으며, 호밀 단작시 150 kg/ha를 파종하여 수행하였다. 호밀단작과 호밀-레드 클로버 혼작에서 건물 생산량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우분액비 시용이 증가함에 따라 그 생산성은 증가하였다(p<0.05). 호밀단작과 호밀-레드 클로버 혼작에서 조단백질 및 TDN 함량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우분액비 시용이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증가 하였다(p<0.05). 그러나 TDN 함량은 시용 수준 증가에 따른 영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NDF 및 ADF 함량은 작부체계와 우분액비 시용수준의 증가에 따라 거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토양유기물 함량은 시험 시작 전 토양보다 시험 후 토양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작부체계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우분액비 시용이 증가함에 따라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중부지역에서 청보리 뒷그루로 만파한 사일리지 옥수수 품종의 생육 및 수량 (Planting Date and Hybrid Influence on Silage Corn Yield and Quality at Paddy Field in Middle Region)

  • 주정일;성열규;김충국;이희봉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8
    • /
    • 2010
  • 청보리와 사료용 옥수수 작부체계에서 청보리 수확 후 만파한 사일리지 옥수수 7품종에 대하여 생육 및 수량을 적파재배와 비교하고자 2007년과 2008년 충남농업기술원에서 수행하였다. 청보리 뒷그루로 옥수수를 만파하면 생육기간의 단축과 고온기 생육으로 인하여 경직경과 이삭의 크기와 무게가 크게 감소되었다. 적파에 비하여 만파시 지상부 전체 건물중에서 잎과 줄기의 구성비율이 증가되고 암이삭의 비율이 감소되었는데, 그 정도는 품종간 차이가 있었다. 청예수량, 건물수량 및 TDN 수량은 적파에 비하여 청보리 뒷그루로 만파시 변이계수가 높았다. 적파를 대비로 할 때 만파재배시청예수량 91.8%, 건물수량 72.6%, 종실수량 51.0%, TDN 수량 68.1% 수준으로서 종실수량의 감소폭이 가장 컸고, 이로 인하여 TDN 수량이 크게 감소되었으며, 청예수량은 감소폭이 가장 적었다. 청보리 뒷그루로 만파 재배시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높은 품종은 강다옥으로서 다른 품종에 비하여 이삭의 크기와 무게의 감소폭이 적었다. 따라서 청보리 뒷그루로 만파하면 경엽 건물수량에 비하여 종실수량의 감소폭이 크므로 총 건물수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파종기 이동에 의하여 이삭의 크기와 무게에서 변화가 적은 품종을 선정할 필요가 있었다.

간척지에서 주요 겨울사료작물의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Comparison of Dry Matter and Feed Value of Major Winter Forage Crops in the Reclaimed Tidal Land)

  • 신재순;이승헌;김원호;윤세형;김종근;남진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3-118
    • /
    • 2005
  • 본 시험은 충청남도 당진군에 소재한 대호 간척지내 시험포장에서 전작물로 벼 재배된 곳을 밭으로 전환하여 공시 초종으로 총체보리 2품종(올보리, 알보리), 호밀 2품종(올호밀, Koolgrazer) 그리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2품종(화산 101호, Florida80)을 총체보리와 호밀은 10월 10일경,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9월 30일경에 조파하여 각 작목 간에 따른 토양염류도 변화, 수량 및 사료가치를 비교 검토코자 2002년에서 2004년까지 2년간 수행되었다. 각 작물재배구의 계절별 토양염류도는 각 작물구 모두 파종 당시에 높았으며 월동 후 수확시까지 점진적으로 낮아졌다. 건물수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가장 높았으며 총체보리 그리고 호밀 순으로 나타났다. 조단백질함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가장 높았으며, 총체보리 그리고 호밀 순으로 나타났으며, 조섬유 함량은 호밀이 가장 높았으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그리고 총체보리 순으로 높았다. ADF 함량은 총체보리>이탈리안 라이그라스>호밀 순으로 낮았으며, 식물체 중나트륨(Na) 함량은 총체보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호밀 순으로 높았다. 위의 결과로 볼 때 간척지에서 겨울 사료작물로 재배할 때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총체보리가 가능하였다.

수확기에 따른 호밀 품종간의 사초 생산능력 (Forage Yield and Quality in Rye Cultivars with Different Harvesting Dates)

  • 김수곤;김종덕;권찬호;하종규;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7-104
    • /
    • 2006
  • 본 연구는 수확기에 따른 호밀 품종간의 사초생산능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4월 20일과 4월 30일의 수확시기를, 세구는 'Kodiak', 'Koolgrazer', 'Danko', 'Homil22', 'Olhomil' 품종으로 하였다. 조기수확시의 건물 함량은 각각 17.8%로 만기수확시의 20.0% 보다 낮았으나, 조단백질 및 TDN 함량에 있어서는 만기수확시 보다 높았다. 공시품종 간에는 건물, 조단백질 및 TDN 함량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ADF, NDF, ADL 및 cellulose 함량은 조기수확이 만기수확시 보다 낮았으나, hemi-cellulose 함량은 조기수확이 만기수확시 보다 높았다. 공시품종 간에는 조생품종의 섬유소함량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았다. 조기수확시의 건물, 조단백질, IVDDM 및 TDN 수량은 각각 7,839, 1,468, 6,077 및 5,128kg/ha로 만기 수확시의 11,003, 1,813, 8.032 및 6,857kg/ha 보다 낮았으며 공시품종 간에는 조생품종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았다. 시험에서 얻어진 결론은 사초용 호밀의 수확시기를 고려할 때 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은 조생호밀품종에 만기수확을 조합하는 사초생산기술에 의해서 가능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