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ngjin 1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3초

만경-동진강 유역 지하수의 화학적 특성에 대한 농업용수 측면의 예비적 평가 (A Preliminary Assessment of Groundwater Chemistry for Agricultural Water Supply in the Mangyeong-Dongjin Watershed)

  • 최한나;권홍일;윤윤열;김용철;고동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1호
    • /
    • pp.65-75
    • /
    • 2021
  • We investigated hydrochemical and stable isotop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a large agricultural plain, the Honam plain, to evaluate the adequacy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For preliminary assessment for the area, we collected 23 groundwater samples from domestic wells and conducted hydrochemical and water stable isotope analysis. Groundwater in the study area is mainly Ca-HCO3 type resulting from water-rock interactions. Stable oxygen and hydrogen isotopic compositions indicated that recharge water is derived from precipitation while some sampling sites had evaporation signatures. Irrigation water quality using sodium absorption ratio and salinity hazard showed most of the groundwater samples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irrigation. The groundwater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study area was affected by both seawater intrusion and agricultural activities, indicating a higher possibility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near the coastal areas. Elevated concentrations of nitrate and phosphate ions in the groundwater are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anthropogenic activities such as fertilizer appl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able to provide preliminary information on groundwater quality for agricultural water supply in the Mangyeong-Dongjin watershed.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thogen inducible Leucine Zipper containing Gene from rice (Oryza sativa L. cv. Dongjin)

  • Park, Sang-Ryeol;Song, Hae-Sook;Moon, Kyung-Mi;Hwang, Duk-Ju;Kim, Tae-Ho;Han, Seong-Sook;Go, Seung-Joo;Byun, Myung-Ok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83.2-83
    • /
    • 2003
  • A full length cDNA, OsLEUZIP, encoding leucine zipper containing protein from rice EST of rice (0ryza sativa L. cv. Dongjin) treated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10331. OsLEUZIP contains 1,227 bp nucleotides and encodes a protein of 408 amino acid residues with predicted molecular weight of 47,229 Da.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OsLEUZIP has consensus sequence of leucine zipper from PROSITE (PDOC00029), L-X(6)-L-X(6)-L-X(6) -L. OsLEUZIP gene were preferentially induced in rice during incompatible interaction with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10331 and Pyracuraria grisea KJ-301. Expression of OsLEUZIP gene was also induced by treatment of abiotics such as ethephon and ABA. Our data represented in this study suggesting that OsLEUZIP gen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ice defense-related. Further studies of this gene, overexpression in rice, yeast-two hybrid assay,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and northern blot analyses of transgenic plant, would be useful to elucidate the role of the OsLEUZIP gene in defense responses of rice.

  • PDF

질소비료수준과 재식밀도가 벼 품종의 엽형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itrogen Level and Planting Density on the Leaf Characteristics of Rice(Oryza sativa L.) Cultivars)

  • 이현도;빈영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29-335
    • /
    • 1988
  • 본 연구는 해양성 기후의 영향권인 경남 통영에서 재식밀도와 질소수준이 물질생산과 수용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225kg ha$^{-1}$, 150 kg ha$^{-1}$ 두 질소수준을 주구, 삼강벼와 동양벼 두 품종을 세구 30cm $\times$ 15cm, 30cm $\times$ 12cm, 30cm $\times$ 9cm 등 세 재식밀도를 세세구로 Strip split plot design으로 3반복 처리하여 엽위별 형태적 특성과 건물중, 생육후기 잔존 생엽수와 수량과의 관계를 구명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 동진벼의 엽장은 질소수준에 관계 없이 4, 3, 2, 1엽의 순으로 삼강벼는 질소수준 150 kg ha$^{-1}$구에서는 3, 4, 2, 1엽, 225 kg $^{ha-1}$ 구에서는 4, 3, 2, 1엽의 순으로 길었다. 나. 150 kg ha$^{-1}$. N. 구에서 삼강벼의 제 1엽장은 동진벼에 비해 길었으나 2, 3, 4엽장은 짧았으며 225 kg ha$^{-1}$. N. 구에서는 1엽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엽은 길고 3, 4엽은 짧았다. 다. 동진벼의 엽폭은 150 kg ha$^{-1}$. N. 구에서는 1, 2, 3, 4엽의 순으로 225 kg ha$^{-1}$구에서는 1, 2, 4, 3엽의 순으로 넓었으며 삼강벼는 질소수준에 관계없이 상위엽폭이 넓었고, 재식밀도간에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라. 동진벼의 엽초장은 1, 4, 3, 2엽초, 삼강벼는 1, 2 ,3, 4엽초의 순으로 길었고, 동진벼는 다비구에서 재식밀도가 낮을 수록 상위엽초장이 길어졌으나 삼강벼는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마. 다비, 밀식됨에 따라 두 품종의 엽신, 엽초중이 증가되었으며, 삼가여의 1, 2엽신중은 동진벼 보다 높았으나 3, 4엽신중은 낮았다. 삼강벼는 2, 1, 3, 4엽, 동진벼는 3, 2, 1, 4엽 순으로 엽신중이 높았다. 다비구에서 두 품종의 상위엽초중이, 또 재식밀도의 증가에 따라서는 두 품종의 엽초중이 증가되었다. 바. 재식밀도가 증가할수록 잔존 생엽수는 감소되었다. 삼강벼의 잔존 청엽수는 동진벼에 비하여 제 5엽은 20%, 4엽은 20% 증대되었다. 잔존 청엽수는 질소수준 보다 재식밀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사. 재식밀도와 질소수준이 증가할수록 증수되는 경향을 보였고 삼강벼는 동진벼 보다 30% 증수되었다. 단엽, 직립엽, 엽폭의 증대 그리고 잔존 생엽의 증가는 증수요인임이 확인되었아. 다비와 밀식은 미질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 PDF

만경.동진강 염하구에서 종속영양성 및 혼합영양성 미소편모류의 수도(數度)와 박테 리아 섭식 (Abundances and Bacterivory of Heterotrophic and Mixotrophic Nanoflagellates in and Estuarine System of the Mankyung and Dongjin Rivers, Korea)

  • 심재형;윤성화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13-425
    • /
    • 1995
  • 만경.동진강 염하구에서 종속영양성 및 홉합영양성 미소편모류(Nanoflagellates) 의 분포와 이들에 의한 박테리아섭식의 생태적 중요성을 추정하기 위해 1993년 10부터 1995년 3월 까지 총 4차에 걸쳐 풍속영양성 및 자가영양성 미소편모류의 수도와 FLB(fluorescently labeled bacteria)를 이용하여 박테리아 섭식률을 측정하였다. 연 구기간 동안 종속영양성 미소편모류와 자가영양성 미소편모류의 수도는 각각 438-4,149 개체 ml/SUP -1/(평균 2,145 개체 ml/SUP -1/, n=20), 971-4,935 개체 ml/SUP -1/(평균 2,226 개체 ml/SUP -1/,n=20)의 변화폭을 보였으며, 이들 편모류는 전반적으로 서로 유사한 수도를 나타냈다. 박테리아의 주요 섭식자로 알려진 종속영양 성 미소편모류와 엽록체가 있는 자가영양성 미소편모류의 수도는 보고 테리아의 수도 와 모두 유의성 있는 양의 상관관계(각각 $r^2$=0.51)과 $r^2$=0.47, p<0.05)를 보였다. 혼합영양성 미소편모류 군집의 크기는 적어도 자가영양성 미소편모류 군집의 4.23%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개체별 박테리아 섭식률(individual predation rate)은 종 속영양성 미소편모류가 2.2-14.2 박테리아 미소편모류/SUP -1/h/SUP -1/(평균 3.7 박 테리아 미소편모류/SUP -1/h/SUP -1/,n=16), 혼합영양성 미소편모류가 1.6-9.7 박테리 아 미소편모류에 의한 박테리아 섭식에서 30-69%를 차지하여, 박테리아 섭식자료서의 역할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박테리아 이차생산력에 대한 총 미오편모류의 박테리 아 섭식률의 비는 0.06-1.23으로 넓은 범위를 보였으나, 미소편모류의 수도가 매우 낮 은 1994년 6월의 경우(8$\pm$1%,써 =4)를 제외하면 총 미소편모류의 섭식률은 박테리아 이차 생산량의 상당 부분(66$\pm$37%,n=9)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만경.동진강 염하구에 서 종속영양성 및 혼합영양성 미소편모류는 박테리아의 주요 섭식자로서 박테리아 이 차생산량을 상위 영양단계의 동물플랑크톤에 전달하는 연결자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 진다.

  • PDF

서해 만경-동진 조간대의 주요 우점 저서 규조류의 분포 (Distribution Pattern of dominant Benthic Diatoms on the Mangyung-Dongjin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 오상희;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4-37
    • /
    • 1991
  • 저서규조류의 분포와 서식지 환경에 대한 조사가 서해에 위치한 만경-동진 펄 조 간대에서 이루어졌다. 총 60개의 정점으로부터 표층퇴적물을 정량적으로 취하여 서식 규조류의 종류를 파악하고, 개체수를 세었다. 퇴적물 입도분석을 하였으며, 정점별도 대기에 노출되는 시간의 길이로 계산하였다. 퇴적물은 외해쪽 또는 하부조간대로 갈수 록 조립해지고, 강하구쪽 또는 상부조간대로 갈수록 세립해진다. 총 371 분류군이 채 집되었으며, Navicula와 Nitzschia가 가장 우점하는 속이었다. 총 출현 개체수에서 1% 이상을 차지하는 규조는 다음6종이다. Paralia sulcata, Navicula sp. 1, Navicula arenaria, Cymatosira belgica, Amplora holsatica, Amphora coffeaeformis, Achnanthes hauckiana, Rhaphoneis amphiceros, Thalassionema nitzschioides. Navicula sp. 2, Dimeregramma minor, Amphora sp. 1, Cyclotella atomus, C, striata, Nitzschia kuetzingiana, Stephanodiscus sp. 1.이들 16종의 조사정점에 따 른 개체수 분포를 기재하였다. 우점종의 대부분은 니질성 규조이며, 그 분포범위 는 매우 넓다. 사질성규조인 무배선, 단배선형에 속하는 종들은 하부조간대에 국한되 어 분포한다. 사질성규조로서 대표적인 종류는 다음의 것들이다. Cocconeis sp. 1, Opephora martyi, Amphora sabyii, Dimeregramma minor var. nana, Fragilaria virescens var. oblongella, F. virescens, Cocconeis grata. 일정 면적당 개체수는 세립질 퇴적물이 우세한 상부조간대와 강하구에서 많다.

  • PDF

만경강 및 동진강 하구의 박테리아 개체수와 생산량 분포에 있어서의 하구 혼합 (estuarine mixing)의 중요성 (Significance of Estuarine Mixing in Distribution of Bacterial Abundance and Production in the Estuarine System of the Mankyung river and Dongjin River, Korea)

  • 조병철;심재형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4-163
    • /
    • 1992
  • 박테리아의 개체수와 생산량의 분포률, 그리고 하구 혼합 (estuarine mixing)이 이들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1990년 10월부터 1991년 8월까지 만경강 및 동진강 하구의 유광대에서 박테리아의 개체수, 생산량, 수온 및 염분도를 3번 조사 하였다. 제한된 조사에도 불구하고 조사기간에 나타난 박테리아의 개체수와 생산량은 넓은 범위의 값을 보였다. 각각 0.4-5.8$\times$10/SUP 9/ 1/SUP -1/와 0.1-22.2 ug C /SUP -1/ d/SUP -1/이었다. 이는 박테리아의 성장이, 하구에서 매우 유동적임을 나타냈다. 흥미롭게도 박테리아의 개체수는 대부분의 수임이 얕은 정점의 표면 아래에서 증가하 였으나, 박테리아의 생산량은 뚜렷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하구 혼합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mixing diagrams의 분석은 하구 혼합이 박테리아 개 체수와 생산량을 conservative하게 혼합하기도 하나, 박테리아 개체수를 증가시키며,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였으며를 보여주었다. 이것은 하구 혼합의 역할이 박테 리아의 개체수와 생산량의 분포에 따라서 하구에서의 생지화학적 순환에 있어서 중요 함을 제시하였다.

  • PDF

이앙시기에 따른 벼 품종별 줄무늬잎마름병 발생 및 수량 비교 (Comparison of Rice Stripe Disease Occurrence and Yield under Different Rice (Oryza sativa L.) Cultivars)

  • 차광홍;오환중;박흥규;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5-82
    • /
    • 2010
  • 벼 이앙시기별 및 벼 품종별 줄무늬 잎마름병 발생 및 벼 수량에 대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줄무늬 잎마름병 발생이 심한 경우 간장, 수장, 이삭수, 수당입수, 등숙율 등이 매우 낮아서 정상주에 비교하여 64%의 감수를 보였다. 2. 벼 이앙시기별 발병률은 5월 30일 > 6월 15일 > 7월 1일 순으로 나타났고, 발병률이 높은 상습 발병지나 감수성 품종의 경우는 이앙시기를 6월 15일 이후로 정하는 것이 줄무늬 잎마름병에 대한 병 발생률을 줄이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3. 벼 줄무늬 잎마름병 저항성 품종으로는 화영벼, 온누리, 일미벼, 남평벼, 동진2호, 호품벼, 황금누리, 말그미, 새누리, 풍미1호, 해찬물결, 황금노들, 칠보벼, 동진벼, 영안벼, 주남벼, 삼광벼, 낙동벼 등 총 18개 품종이었으며, 감수성 품종으로는 오대벼, 운광벼, 신운봉1호, 만나벼, 호평벼, 보라미, 다미벼, 왕찰벼, 설갱벼, 백진주벼, 농림6호, 사사니시끼, 유니시까리, 청무벼, 동진1호, 흑남벼, 구로마이, 상해항혈나, 흑찰벼, 흑향벼, 아랑향찰벼 등 총 21개 품종으로 조사되었다.

고체상 추출법에 의한 콩나물 중의 잔류농약 동시 검출 (Simultaneous detection of residual fungicide in Bean Sprouts by Solid-phase Extraction)

  • 이명훈;이태준;표동진
    • 분석과학
    • /
    • 제6권5호
    • /
    • pp.509-514
    • /
    • 1993
  • 콩나물(bean sprouts)에 잔류되어 있는 농약, benomyl, topsin-M과 thiram을 고체상 추출법(solid-phase extraction)과 HPLC를 이용하여 동시에 분석, 정량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농약성분의 추출로는 ODS 카트리지(cartridge)를 사용하였고, 고정상으로는 $C_{18}$ 컬럼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40% $CH_3CN$ 수용액을 1ml/min의 유속으로 276nm에서 검출하였다. 콩나물에서 농약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 ODS 카트리지를 이용한 역상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농약성분을 모두 검출할 수 있었다.

  • PDF

Winding Temperature Measurement in a 154 kV Transformer Filled with Natural Ester Fluid

  • Kweon, Dongjin;Koo, Kyosu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156-162
    • /
    • 2013
  • This paper measures the hot spot temperatures in a single-phase, 154 kV, 15/20 MVA power transformer filled with natural ester fluid using optical fiber sensors and compares them with those calculated by conventional heat run tests. A total of 14 optical fiber sensors were installed on the high-voltage and low-voltage windings to measure the hot spot temperatures. In addition, three thermocouples were installed in the transformer to measur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during the heat run tests. In the low-voltage winding, the hot spot temperature was $108.4^{\circ}C$, calculated by the conventional heat run test. However, the hot spot temperature measured using the optical fiber sensor was $129.4^{\circ}C$ between turns 2 and 3 on the upper side of the low-voltage winding. Therefore, the hot spot temperature of the low-voltage winding measured using the optical fiber sensor was $21.0^{\circ}C$ higher than that calculated by the conventional heat run test.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bisphenol A, chlorophenols and alkylphenols by solid-phase extraction and HPLC

  • Lee, Taejoon;Park, Keun-Young;Pyo, Dongjin
    • 분석과학
    • /
    • 제30권1호
    • /
    • pp.20-25
    • /
    • 2017
  • An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ing potential endocrine disruptors (bisphenol A, 2-chlorophenol, 2,4-dichlorophenol, 2,4,6-trichlorophenol, pentachlorophenol, p-t-butylphenol, p-pentylphenol, p-hexylphenol, p-t-octylphenol, p-heptylphenol, nonylphenol) by solid-phase extraction (SPE) and High Perfo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equipped with fluorescence and variable wavelength detector has been developed. The SPE process for sample concentration was performed on a commercially available Oasis HLB cartridge packed with polymeric sorbents. The effect of elution solvent and elution volume on the recoveries of the analytes were investigated with HPLC. Average recovery of >85% was achieved with 60mg sorbents using 5mL of methanol as elution solvent. Phenolic compounds in canned drinks, beverages and water samples were surveyed by this propose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