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ance Estimation

검색결과 1,186건 처리시간 0.034초

M-Estimation Functions Induced From Minimum L$_2$ Distance Estimation

  • Pak, Ro-Jin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27권4호
    • /
    • pp.507-514
    • /
    • 1998
  • The minimum distance estimation based on the L$_2$ distance between a model density and a density estimator is studied from M-estimation point of view. We will show that how a model density and a density estimator are incorporated in order to create an M-estimation function. This method enables us to create an M-estimating function reflecting the natures of both an assumed model density and a given set of data. Some new types of M-estimation functions for estimating a location and scale parameters are introduced.

  • PDF

심층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Smoothed RSSI 기반 거리 추정 (Smoothed RSSI-Based Distance Estimation Using Deep Neural Network)

  • 권혁돈;이솔비;권정혁;김의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71-7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단일 수신기가 사용되는 환경에서 정확한 거리 추정을 위해 심층 인공신경망 (Deep Neural Network, DNN)을 활용한 Smoothed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기반 거리 추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거리 추정 정확도 향상을 위해 Data Splitting, 결측치 대치, Smoothing 단계로 구성된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Smoothed RSSI 값을 도출한다. 도출된 다수의 Smoothed RSSI 값은 Multi-Input Single-Output(MISO) DNN 모델의 Input Data로 사용되며 Input Layer와 Hidden Layer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Output Layer에서 추정 거리로 반환된다. 제안 기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제안 기법과 선형회귀 기반 거리 추정 기법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 기법이 선형회귀 기반 거리 추정 기법 대비 29.09% 더 높은 거리 추정 정확도를 보였다.

Multimodal 데이터에 대한 분류 에러 예측 기법 (Error Estimation Based on the Bhattacharyya Distance for Classifying Multimodal Data)

  • 최의선;김재희;이철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9권2호
    • /
    • pp.147-15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multimodal 특성을 갖는 데이터에 대하여 패턴 분류 시 Bhattacharyya distance에 기반한 에러 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multimodal 데이터에 대하여 분류 에러와 Bhattacharyya distance를 각각 실험적으로 구하고 이 둘 사이의 관계를 유추하여 에러의 예측 가능성을 조사한다. 본 논문에서는 분류 에러 및 Bhattacharyya distance를 구하기 위하여 multimodal 데이터의 확률 밀도 함수를 정규 분포 특성을 갖는 부클래스들의 조합으로 추정한다. 원격 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multimodal 데이터의 분류 에러와 Bhattacharyya distance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Bhattacharyya distance를 이용한 에러 예측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가상현실공간에서 정적 및 동적 이미지의 해상도 변화에 따른 거리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tance Estimation in Virtual Space According to Change of Resolution of Static and Dynamic Image)

  • 류재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09-119
    • /
    • 2011
  •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높은 현실감과 직관적인 시각정보의 제공이 커다란 장점임에도 불구하고, 가상공간에서의 공간제시에 있어서 거리감각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나 건축분야와 같은 공간을 취급하는 분야에서의 공간제시에 있어서의 왜곡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공간에서 거리감각을 고찰함에 있어서 거리감각을 조사하는 하나의 요소로서, 피실험자에 의한 이동거리추정판단에 관한 실험을 행하였다. 가상현실공간에서의 제시정보의 부족이 거리감각의 차이를 가져온다는 가정하에 몰입형 가상현실시스템에서 다양한 영상의 투영조건하에서 이동거리추정판단을 실험적으로 조사함으로써, 가상공간을 형성하는 시스템이 제공하는 정적, 동적 영상이미지의 특성에 의한 거리감각의 변화를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으로는 실재 건축물의 복도를 모델링하여, 복도의 실재공간과 모델링된 가상공간을 피실험자에게 영상으로 제시하면서 이동거리추정판단의 심리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모델과 같은 실재의 복도에서도 이동거리추정판단의 실험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실재환경과 가상현실환경과의 거리감각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그 결과 실재환경과 비교하여 몰입형 가상현실시스템에서의 거리감각이 단축이 되는 경향이 나타남을 설명한다. 나아가,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에 있어서 거리감각이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나타나는 요인을 고찰하여, 영상의 해상도를 거리감각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판단하고 정적, 동적 이미지의 해상도의 변화에 따른 거리감각을 규명한다.

배경의 특징 추적을 이용한 물체의 이동 거리 추정 및 정확도 평가 (A Distance Estimation Method of Object′s Motion by Tracking Field Features and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Estimation Accuracy)

  • 이종현;남시욱;이재철;김재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1-624
    • /
    • 1999
  • This paper describes a distance estimation method of object's motion in soccer image sequence by tracking field features. And we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stimation accuracy We suppose that the input image sequence is taken with a camera on static axis and includes only zooming and panning transformation between frames. Adaptive template matching is adopted for non-rigid object tracking. For background compensation, feature templates selected from reference frame image are matched in following frames and the matched feature point pairs are used in computing Affine motion parameters. A perspective displacement field model is used for estimating the real distance between two position on Input Image.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estimation, we synthesized a 3 dimensional virtual stadium with graphic tools and experimented on the synthesized 2 dimensional image sequences.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average of the error between the actual moving distance and the estimated distance is 1.84%.

  • PDF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UWB 시스템의 거리 추정 기법 (Distance Estimation Method of UWB System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남경모;정의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4-34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Ultra-Wideband(UWB) 시스템에서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거리 추정 기법을 제안한다.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딥러닝 모델을 학습하는데 사용하는 학습 데이터는 MATLAB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하였으며, IEEE 802.15.4a 표준을 활용한다. 기존 거리 추정에 사용하는 문턱값 기반의 거리추정 기법과 성능 비교를 통해 제안하는 거리 추정 기법의 성능을 검증한다.

  • PDF

Hybrid Indoor Position Estimation using K-NN and MinMax

  • Subhan, Fazli;Ahmed, Shakeel;Haider, Sajjad;Saleem, Sajid;Khan, Asfandyar;Ahmed, Salman;Numan, Muhammad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9호
    • /
    • pp.4408-4428
    • /
    • 2019
  • Due to the rapid advancement in smart phones, numerous new specifications are developed for variety of applications ranging from health monitoring to navigations and tracking. The word indoor navigation means location identification, however, where GPS signals are not available, accurate indoor localization is a challenging task due to variation in the received signals which directly affect distance estimation process. This paper proposes a hybrid approach which integrates fingerprinting based K-Nearest Neighbors (K-NN) and lateration based MinMax position estimation technique. The novel idea behind this hybrid approach is to use Euclidian distance formulation for distance estimates instead of indoor radio channel modeling which is used to convert the received signal to distance estimates. Due to unpredictable behavior of the received signal, modeling indoor environment for distance estimates is a challenging task which ultimately results in distance estimation error and hence affects position estimation process. Our proposed idea is indoor position estimation technique using Bluetooth enabled smart phones which is independent of the radio channels. Experimental results conclude that, our proposed hybrid approach performs better in terms of mean error compared to Trilateration, MinMax, K-NN, and existing Hybrid approach.

Novel estimation based on a minimum distance under the progressive Type-II censoring scheme

  • Young Eun Jeon;Suk-Bok Kang;Jung-In Se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30권4호
    • /
    • pp.411-421
    • /
    • 2023
  • This paper provides a new estimation equ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a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empirical and theoretical distribution functions under the most widely used progressive Type-II censoring scheme. For illustrative purposes, simulated and real datasets from a three-parameter Weibull distribution are analyzed. For comparison, the most popular estimation methods, the maximum likelihood and maximum product of spacings estimation methods, are developed together. In the analysis of simulated datasets, the excellence of the provided estimation method is demonstrated through the degree of the estimation failure of the likelihood-based method, and its validity is demonstrated through the mean squared errors and biases of the estimators obtained from the provided estimation equation. In the analysis of the real dataset, two types of goodness-of-fit tests are performed on whether the observed dataset has the three-parameter Weibull distribution under the progressive Type-II censoring scheme, through which the performance of the new estimation equation provided is examined.

MATLAB을 이용한 송전선로의 아크사고 검출 및 고장거리 추정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fection of Arcing Faults in Transmission Lines and Development of Fault Distance Estimation Software using MATLAB)

  • 김병천;박남옥;김동수;김길환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51권4호
    • /
    • pp.163-168
    • /
    • 2002
  • This paper present a new verb efficient numerical algorithm for arcing faults detection and fault distance estimation in transmission line. It is based on the fundamental differential equations describing the transients on a transmission line before, during and alter the fault occurrence, and on the application of the "Least Error Squares Technique"for the unknown model parameter estimation. If the arc voltage estimated is a near zero, the fault is without arc, in other words the fault is permanent fault. If the arc voltage estimated has any high value, the faust is identified as an fault, or the transient fault. In permanent faults case, fault distance estimation is necessary. This paper uses the model of the arcing fault in transmission line using ZnO arrestor and resistance to be implemented within EMTP. On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structure for modeling of arcing fault detection and fault distance estimation algorithm using Matlab programming. In this paper, This algorithm has been designed in Graphic user interface(G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