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position Effect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25초

서술형 수학 쓰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ssay Writing-Centered Mathematics Teaching on Problem Solving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 김효선;오영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131-154
    • /
    • 2014
  • 이 연구는 서술형 수학 쓰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문제 해결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서울B초등학교 6학년 학급에 문제 해결력 및 수학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을 가지는 두 개의 학급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서술형 수학 쓰기 활동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중심의 일반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약 두 달 동안 15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서술형 수학 쓰기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문제 해결력 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 성취도를 t-test로 분석하였으며, 검사지에 나타난 학생들의 서술 내용을 분석하여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알아보았다. 또한 수학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서술형 평가에 대한 성향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서술형 수학 쓰기 활동은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과 문제해결과정,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서술형 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병태생리학 사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ase-based Learning (CBL)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in Pathophysiology Course)

  • 이민희;박명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8권3호
    • /
    • pp.176-184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se-based learning (CBL)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in a pathophysiology course. Methods: The development of 3 CBL scenarios of pathophysiology were conducted by nursing faculties & clinical nurses before CBL began. Among the sophomore nursing students who were taking a pathophysiology course, the intervention group (n=43) was the nursing students who hope to participate in an extra-CBL program with usual pathophysiology lessons and the control group (n=36) was the nursing students who wanted to receive the usual pathophysiology lessons.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additional CBL using 3 different scenarios for 1 hour per week during 4 weeks from May to June, 2016. Data were analyzed by a chi-square test, t-test and ANCOVA using SPSS WIN 18.0 Results: The mean scor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11.60, p=.001), communication ability (F=4.24, p=.043),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4.75, p=.032)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tervention group than those in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problem solving ability (F=1.59, p=.211). Conclusions: The application of a CBL program during a pathophysiology cours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sophomore nursing students.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간호대학생 중심으로 (Influences of Self-leardership,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cused on Nursing Students)

  • 김경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07-314
    • /
    • 2021
  • 본 연구는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G시와 M시의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4월부터 6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20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독립표본 평균 검정, 일원 배치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셀프리더십(β=.331, p<.001)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β=.302, p<.001)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나타냈으며, 연구모형은 진로준비행동을 38.7%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키기기 위한 방안들이 간호교육 현장에서 개발 및 운영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플립러닝 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Flip Learning Learning Method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양지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67-473
    • /
    • 2021
  •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적용한 건강사정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경상북도 K시 일개 간호대학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건강사정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단일군 전후 비교 연구이다. 최종분석은 10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전 사후 차이는 대응표본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주도 학습능력(t=-3.23, p<.01), 비판적 사고성향(t=6.381, p<.001), 학업적 자기효능감(t=-4.62,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플립러닝 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이 확인되었다. 플립러닝 학습범의 적용은 장기적으로는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학생들의 능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다.

졸업직후 신규간호사의 감성지능, 비판적 사고능력 및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New Graduate Nurses immediately after Graduation)

  • 이외선;김미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307-315
    • /
    • 2018
  • 본 연구는 졸업직후 신규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능력과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C시와 K시 소재 2개의 종합병원의 졸업직후 신규간호사 18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2월 27일부터 3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피어슨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sobel test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감성지능은 비판적 사고능력(r=.62, p<.001), 임상수행능력(r=.60, p<.001)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판적 사고능력과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Z=3.88, p<.001). 그러므로 졸업직후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능력 뿐만 아니라 감성지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대인관계성향이 외모관심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Study on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on Appearance Concer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이현옥;구양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88-896
    • /
    • 2014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on appearance concer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02 college students living in Daegu. The SPSS 20.0 package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which included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Five 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ody management behavior, skin care behavior, hair/fashion behavior, cosmetics usage behavior, plastic surgery behavior), seven 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independent/responsibility, sympathetic/receptive, sociable/friendly, competitive/aggressively, conspicuous/narcissistic, defiant/distrust, dominant /supreme) and two groups of appearance concern (high, low) were utilized for the problem analysi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had an influenc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onspicuous/narcissistic type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body management behavior, skin care behavior, hair/fashion behavior, cosmetics usage behavior, plastic surgery behavior. The sympathetic/receptive type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skin care behavior and the competitive/aggressively type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hair/fashion behavior; however, independent/responsibility type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cosmetic usage behavior. Second, dominant /supreme type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appearance concern; however, conspicuous/narcissistic type and defiant/distrust type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appearance concern. Third, the appearance concern groups showed difference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higher appearance concern group compared to the low appearance concern group were more active for cosmetics usage behavior, hair/fashion behavior, plastic surgery behavior, body management behavior and skin care behavior.

중학생에게서 감사 훈련이 감사성향, 생활만족도, 정서적 안녕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ratitude Training on Grateful Disposition, Life Satisfaction, Affective Well-Being, and Self-esteem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이지현;이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315-3320
    • /
    • 2009
  • 본 연구는 중학생에게서 감사 훈련이 감사 성향, 생활만족도, 정서적 안녕감,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피험자는 경기도 소재 중학교 3학년 77명(2개 반)을 실험집단(39명)과 통제집단(38명)으로 나누어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1달 동안 아침 자율학습 시간에 총 20회의 감사훈련을, 통제집단은 동일한 시간에 아침 학교 프로그램(진로, 발명, 영어동화)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감사훈련은 감사 성향을 향상시켰으며 생활만족도를 향상시켰다. 아울러 감사훈련은 정서적 안녕감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훈련이 성인에서와 같이 청소년에게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액션러닝 교수학습 방법 적용의 효과: 리더십, 문제 해결능력, 일상적 창의성, 비판적사고 성향 (The Effect of Action Learning Teaching-Learning Method Applied to Nursing Students in U City)

  • 한현희;이미숙;홍영혜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30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 traditional lecture teaching learning method and action learning teaching learning method of nursing students' leadership, problem solving competence,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February 24, 2014 to May 30, 2014 with 171 nursing students (an experimental group of 88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of 83 students) assigned among $2^{nd}$ year students attending nursing departments in U city. The Action learning teaching learning method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by two experts. The Traditional lecture teaching learning method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s, a pre and post questionnaire were used. The data gathered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2. Results: Upon completion of education the nursing students' leadership, problem solving competence and crea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bot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pre testing phas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duc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o improve nursing students' leadership, problem solving competence,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action learning teaching learning method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lecture teaching learning method.

The Influence of Online Basic Clinical Trai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 Determination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for Nursing student

  • Seo, Ji-Un;Hong, Sun-Ye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91-9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 -19 상황에서 온라인 기초임상실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결정성 동기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이다. 연구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3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41명이 최종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비판적 사고성향(t=-2.60, p=.013)과 자기결정성동기(t=-2.84, p=.007)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했다. 이 결과는 온라인 기초임상실습이 비판적사고성향, 자기결정성 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 COVID-19 의료현장에서의 직접간호수행이 어려운 만큼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다면 온라인 임상실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간호학만족도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경로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Effect Path of Satisfaction with Biological nursing science on Clinical competence)

  • 임정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421-429
    • /
    • 2019
  • 본 연구는 기초간호학만족도, 전공간호학만족도, 비판적사고성향과 전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 간의 인관관계와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3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2018년 5월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PASW 18.0,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초간호학만족도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경로모형은 적합하였다(${\chi}^2/DF=1.093$, GFI=.992, AGFI=.968, RMSEA=.021, CFI=.998, NFI=.983). 기초간호학만족도는 전공간호학만족도(${\beta}=.345$), 전공간호학만족도는 비판적사고성향(${\beta}=.272$)과 전공만족도(${\beta}=.277$), 비판적사고성향은 전공만족도(${\beta}=.365$)와 임상수행능력(${\beta}=.582$), 전공만족도는 임상수행능력(${\beta}=.228$)에 직접효과가 있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기초간호학만족도가 높으면 전공간호학만족도가 높아지고, 이는 비판적사고성향과 전공만족도를 높이며, 결국에는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개발과 적용으로 기초간호학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재마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