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Essay Writing-Centered Mathematics Teaching on Problem Solving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서술형 수학 쓰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4.01.17
  • Accepted : 2014.02.14
  • Published : 2014.02.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ssay writing-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on problem solving and mathematical deposi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For the present study, two 6th grade classes with equivalent achievement in terms of problem solving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based on the pretest. A total of 15 mathematics lessons focused on writing activities were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 group for two months, while the textbook-based traditional lessons were given to the comparison group.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adopt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essay writing-centered mathematics teaching is statistically superior that the textbook-based mathematics teaching with respect to students' problem solving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In addition, it was evidenced that essay writing-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makes an influence on students' perceptions toward essay-based assessment in a positive way.

이 연구는 서술형 수학 쓰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문제 해결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서울B초등학교 6학년 학급에 문제 해결력 및 수학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을 가지는 두 개의 학급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서술형 수학 쓰기 활동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중심의 일반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약 두 달 동안 15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서술형 수학 쓰기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문제 해결력 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 성취도를 t-test로 분석하였으며, 검사지에 나타난 학생들의 서술 내용을 분석하여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알아보았다. 또한 수학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서술형 평가에 대한 성향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서술형 수학 쓰기 활동은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과 문제해결과정,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서술형 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옥기․신성균․강완․류희찬․정은실․박교식․우정호 (1985). 수학과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수업방법 개선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85-09.
  2. 강현석․박찬혁 (2006). 교육과정 정상화를 위한 교과별 서술. 논술형 평가 방법의 재개념화. 교육학 논총, 27(2), 15-38.
  3. 김경희․김완수․최인봉․상경아․김희경․신진아․김성훈 (2011). 201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분석 결과-초등학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1-2-1.
  4. 김남준 (2006). 서술형 평가가 초등학생의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5. 김민경․조미경 (2006). 수학과 수행평가 문항 및 분석기준 개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5(1), 1-24.
  6. 김보영 (2003). 초등수학에서의 쓰기 활동이 개념의 이해 및 의사소통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7. 노영수․류춘식 (2001). 수행평가방법 중 서술형 평가를 적용한 학습이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공통수학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4(1), 125-136.
  8. 도주원․오지연․공정인․주미정․김미영․이대현․박만구 (2009). 초등 교사들의 수학과 서술형 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2(2), 63-80.
  9. 박배훈․류희찬․이기석․김인수 (2003). 창의성 신장을 위한 새로운 수학교육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5(1), 1-25.
  10. 박현숙 (2000). 수학과 평가도구로서 수학일지 쓰기의 개발과 그 적용 효과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11. 서수정 (2006). 서술형 평가를 강조한 중학교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반응과 변화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2. 서울시교육연구정보원 (2008). 2008 초등학교6학년 2학기 서술형.논술형 문항[수학]. 서울시 교육연구정보원
  13. 신성균․황혜정․김수진․김금순 (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교육 평가체제 연구(III)-수학과 평가 도구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92-5-2.
  14. 신준식․고정화․박문환․박성선․서동엽 (2011). 수학적 사고력 측정을 위한 수학 평가 도구의 개발. 한국초등수학학회지, 15(3), 619-640.
  15. 왕경수․김경희 (2009). 수학에서 쓰기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과 학습자 변인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8(1), 195-209.
  16. 정영옥 (2001). 균형 있는 초등수학과 수행평가 과제 개발에 대한 연구 : 1, 2단계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3(2), 325-354.
  17. 조미경 (2007). 초등학교 서술형 수행평가 문항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6(2), 207-226.
  18. 조미경․김민경․권점례․노선숙(2008). 초등수학 2-나 단계의 서술형 평가 문항개발 연구. 초등교육연구, 21(3), 437-466.
  19. 최승현․박경미 (1999). 중등학교 수학교과에서의 수행평가.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8, 415-433.
  2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초등학교 6학년 수학.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Burns, M. (2004). Writing in math. Educational Leadership, 62(2), 30-33.
  22. Craig, T. S. (2011). Categorization and analysis of explanatory writing in mathema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42(7), 867-878. https://doi.org/10.1080/0020739X.2011.611909
  23. Emig, J. (1977). Writing as a mode of learning.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28, 122-128. https://doi.org/10.2307/356095
  24. Fuehrer, S. (2009). Writing in math class? Written communication in the math classroom. Math in middle institute partnership action research project report. Lincoln, NE: University of Nebraska.
  25. Geeslin, W. E. (1977). Using writing about mathematics as a teaching technique. The Mathematics Teacher, 70(2), 112-115.
  26. Johnson, M. L. (1983). Writing in mathematics classes: A valuable tool for learning. The Mathematics Teacher, 76(2), 117-119.
  27. Miller, L. D. (1992). Writing in mathematics classes. The Mathematics Teacher, 84(7), 516-521.
  28. NCTM(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s.
  29. Wills, H. (1993). Writing is learning: Strategies for Math, Science, Social Studies, and Language Arts. Indiana: EDINF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