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ussion Instruction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초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학구적 자기효능감이 토론 참여도와 만족도에 주는 영향 분석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to the Discussion Participation Levels and Satisfaction Levels in the Online Discussion Instruction)

  • 김태웅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3호
    • /
    • pp.78-8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학구적 자기효능감이 토론 참여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학구적 자기효능감이 토론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학구적 자기효능감과 토론 참여도가 토론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토론 참여도와 만족도의 질적 증진을 위해 학습자의 학구적 자기효능감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 PDF

강의식교수법과 프로그램식교수법에 의한 참고정보원의 학습효과 비교연구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 programmed instruction method and a lecture/laboratory method on achievement in a course in reference materials)

  • 노진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8권
    • /
    • pp.93-13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programmed instruction versus lecture and discussion method on the knowledge of basic reference sources among undergraduat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The hypotheses of the study were: 1. Programmed instruction will be more effective than the lecture/discussion method with regard to academic achievement. 2.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tim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Seventy-eigh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were participated m the study from the two universities in Chungchong Province. A programmed instruction manual, including 4-types of reference sources-dictionary, encyclopaedia, bibliography, indexes and abstracts, 40-item multiple choice post-test, and a 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programmed instruction were developed specifically for this research. The post-test only control-group design was selected for this experimental study. Students were given instruction on the specific reference titles in dictionary, encyclopedia, bibliography, indexes and abstracts. The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by the lecture and discussion method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completed a programmed instruction manual by themselves. Both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ested right after the instruction of 4-types of reference sources. In addition, a questionnaire asking students' attitude toward programmed instruction was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the post test scor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programmed instruction is viable as an alternative method of instruction in the teaching of reference source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time spending for the leaning of bibliography, indexes and abstracts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ly, programmed instruction proved to be more efficient than the conventional lecture/discussion method in terms of learning time. 3.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 to programmed instruction and evaluated it very interesting and challenging. In conclusion, the programmed instruction method was just as effective as the lecture/discussion method in the teaching of reference sources. And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programmed instruction was favorable enough to secure a continued use of this method for the teaching of reference sources.

  • PDF

초등 수학에서 토의·토론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4학년 도형영역을 중심으로 (An Effect of Discussion and Debate Instruction on Mathematical Achievements and Attitude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

  • 최모로;안병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2호
    • /
    • pp.131-142
    • /
    • 2017
  • 본 연구는 수학 수업에서 토의 토론이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급 중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서 동질성이 검증된 두 개 반을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설정하여 토의 토론수업을 실시한 후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와 수학 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는 기술통계, 독립 t검정, 대응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학 토의 토론수업은 일반적 강의식 수업보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었고, 학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질문하며 문제 해결 활동을 통해 스스로 수학적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함양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 in Nutrition Education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Jang, Hyun-Sook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3권1호
    • /
    • pp.36-39
    • /
    • 2001
  • We developed a junior high school-level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 lesson on obesity and weight control and compared its effectiveness with the lecture/discussion method. we collected pretest and posttest data on knowledge an dinterest in obesity and weight control form 450 students in junior high school We randomly assigned three groups the CAI lesson group a comparable lecture/discussion lesson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se three groups in posttest knowledge scores and in interest in weight control CAI student's responses to learning by computer were significantly positive.

  • PDF

Peer Instruction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업참여도 및 토론 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Application of Peer Instruction in Science Class on Participation Degree and the Debating Ability of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규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2권3호
    • /
    • pp.352-370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Peer Instruction의 지속적 활용이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과학 수업참여도와 토론 능력의 신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이루어졌다. 수업 주제와 관련된 선다형 문항을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토론식 수업인 Peer Instruction이 3학년 과학 교과의 전차시의 수업에 대하여 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적용이 이루어졌고, 과학 수업참여도와 토론 능력을 조사하여 그 신장 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수업참여도 5개 영역인 수업준비하기, 수업활동하기, 의사표현하기, 수업확장하기, 수업열정, 모두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음은 물론, 토론 능력 6개 영역인 논리력, 분석력, 듣기능력, 수용성, 규칙성, 적극성 영역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Peer Instruction의 적용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와 토론 능력의 변화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논증강화교육이 의학과 학생의 문제바탕학습 경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gumentation Instruction on Medical Student Experiences with Problem-Based Learning)

  • 주현정
    • 의학교육논단
    • /
    • 제19권2호
    • /
    • pp.101-108
    • /
    • 2017
  • When participating in problem-based learning (PBL), it is important for medical students to generate claims and provide justifications for their claims in small group discussion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gumentation instruction on medical student learning experiences with PBL. A total of one hundred first-year preclinical students from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who had attended argumentation instruc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of the participants completed a 5-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regarding their learning experiences with PBL, before and after the argumentation instruction. The questionnaire comprised 22 items with eight subcategories: argumentation activity, reflection, integration of basic and clinical science, identification of lack of knowledge, logical thinking, self-directed study, communication, and attitude toward discuss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paired-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argumentation instruction promoted the preclinical students' experiences with argumentation activities, reflection, an integration of basic and clinical science, the identification of their lack of knowledge, logical thinking, and self-directed study, and it increased positive attitudes toward group discussion. The findings suggest argumentation instruction can enhance medical student group discussions and help students achieve the objectives of PBL, including acquisition of basic and clinical science knowledge and development of clinical reaso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which can highlight th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students have with PBL.

예비교사의 실험 수업에 대한 반성적 논의의 특징 (Features in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Discussion on their Practical Work-Based Teaching)

  • 심현표;유금복;이은정;전상학;황세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911-93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실험 수업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논의에서 나타나는 수업의 요소와 논의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하는 반성의 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실험 교실을 운영하고 있는 예비교사들의 수업 후 논의과정을 분석하였다. 반성적 논의의 분석틀은 수업의 계획-실행-결과의 과정상의 흐름을 반영하기 위해서 수업의 목적, 수업지식, 학습자의 반응을 범주로 삼았고, 각 범주의 요소는 선행 연구와 예비교사들의 논의에서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의 목적과 학습자 반응에서는 개념이해, 과학적 기능 요소를, 수업지식은 교수법과 내용표현지식의 교수 전략에 대한 반성을 많이 진행하였다. 그러나 탐구나 흥미 요소의 논의는 적었고, 각각의 개념을 명시적으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수업 모형이나 이론적 내용을 이용한 논의가 부족하였다. 또한 여러 요소의 내용이 서로 연계되면서 논의가 진행되기 보다는 각각의 요소에 대한 단일의 논의가 더 많이 나타났으며, 연계가 일어나는 논의의 다양성도 제한적이었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예비교사들의 수업전문성 발달을 위한 효과적인 반성적 논의를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요소가 논의에 포함되어야 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수업에 흐름에 따라 연계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중학교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Peer Instruction을 통한 인지갈등: 문항의 난이도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Cognitive Conflict on Peer Instruction by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Focusing on the level of difficulty in question-)

  • 류은희;김중복;이정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117-139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Peer Instruction 수업을 통해 문항의 난이도에 따른 과학영재의 인지갈등의 특성을 알아보고, 일반 학생들의 인지갈등 정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교육청 부설 영재교육원 과학영재학생 49명, 일반 중학교 학생 71명을 대상으로 빛의 직진 및 합성에 관한 개념 검사에 대해 동료 토론 전 후의 인지갈등 검사를 실시하였다. 과학영재는 인지적 재평가 요인 측면에서는 문항의 난이도와 관계없이 동료와의 토론 후 유의미하게 인지갈등이 감소했다. 과학 영재는 동료에 대한 신뢰가 높은 편이었으며 동료와 토론하는 동안 자신의 개념을 동료에게 설명하면서 머릿속의 개념을 명료화할 수 있고 반성적 사고를 하게 되므로 갈등이 해소되어 인지갈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의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과학영재는 일반학생과 같이 동료 토론 전에 불안 정도가 높았지만, 일반학생에 비해 그 불안 정도는 낮았고, 동료 토론 후에 불안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과학영재의 인지갈등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영재의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인지갈등 전략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과학영재를 위한 개념검사 문항을 개발할 때, 문항의 난이도에 대한 고려 사항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문제중심학습 기반 컴퓨터활용 수업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PBL-Based Computer Application Instruction Model)

  • 이경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9-37
    • /
    • 2013
  • 창의성이 강조되는 교육환경에서 사고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그룹별 토론이나 창의성을 개발하기 위한 컴퓨터활용 수업 모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룹별 컴퓨터활용 교육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사전 조사한 후 창의성을 고려한 웹 기반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수업 모형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PBL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웹 마인드 맵을 토론과 자료공유를 위한 도구로 활용하여 수업의 효율성과 함께 집단의 창의성도 함께 고려하였다. 제안한 수업 모형을 프레젠테이션 제작 과목을 신청한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 의사소통이나 자료공유, 역할분담, 기여도의 차이, 과다 시간 소요 등에 대한 불만이 줄어드는 확률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 PDF

수학 수업의 일부 국면에 나타나는 수업의 실제에 대한 일 논의

  • 김진호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233-249
    • /
    • 2012
  • Some discussions are made about practices which take places in some aspects of instructions from the viewpoints of traditional and reform based instruction. This kind of discussion is needed to be done, because there is no evidences to show that reform based instruction is mainly implemented among teachers even through reform based instruction has continued to be stressed sinc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as released. Some suggestions was made for consideration of further deep discussions based on the practices discussed earl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