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eatures in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Discussion on their Practical Work-Based Teaching

예비교사의 실험 수업에 대한 반성적 논의의 특징

  • Received : 2013.04.03
  • Accepted : 2013.08.05
  • Published : 2013.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discussion on their practical work-based teaching by focusing on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e connectivity of discussion. Eight after-class discussion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finally analyzed in terms of theoretically driven categories such as aims, teacher knowledge and learner response which also respectively reflect the actual flow of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teaching practice. The result showed that in their discussion about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scientific skill components were most emphasized, while teaching method and strategy were most frequently addressed in the discussion about teacher knowledge. But this also revealed problems in their discussions such as the lack of discussion about inquiry and student interest, difficulties in clarifying theoretical terms and the lack of discussion about instructional models and theories. Meanwhile, pre-service teachers' discussions were limited in terms of connectivity between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meaning that their discussion tended to deal with each component separately rather than occurr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Furthermore, when connections were made during the discussion, only few components of instruction appeared. Based on this result, the paper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tools to facilitate effective reflection in ways that incorporate various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enhance connectivity between the components and between the instructions.

본 연구에서는 실험 수업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논의에서 나타나는 수업의 요소와 논의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하는 반성의 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실험 교실을 운영하고 있는 예비교사들의 수업 후 논의과정을 분석하였다. 반성적 논의의 분석틀은 수업의 계획-실행-결과의 과정상의 흐름을 반영하기 위해서 수업의 목적, 수업지식, 학습자의 반응을 범주로 삼았고, 각 범주의 요소는 선행 연구와 예비교사들의 논의에서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의 목적과 학습자 반응에서는 개념이해, 과학적 기능 요소를, 수업지식은 교수법과 내용표현지식의 교수 전략에 대한 반성을 많이 진행하였다. 그러나 탐구나 흥미 요소의 논의는 적었고, 각각의 개념을 명시적으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수업 모형이나 이론적 내용을 이용한 논의가 부족하였다. 또한 여러 요소의 내용이 서로 연계되면서 논의가 진행되기 보다는 각각의 요소에 대한 단일의 논의가 더 많이 나타났으며, 연계가 일어나는 논의의 다양성도 제한적이었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예비교사들의 수업전문성 발달을 위한 효과적인 반성적 논의를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요소가 논의에 포함되어야 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수업에 흐름에 따라 연계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순, 윤지현, 박지애, 노태희 (2011).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나타난 교과교육학지식의 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99-114.
  2. 김현정, 홍훈기, 전화영 (2010). 수업 평가와 반성 저널쓰기를 통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수업 수행 능력 개선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836-849.
  3. 노태희, 윤지현, 김지영, 임희준 (2010). 초등 예비 교사들이 과학 수업 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지식 요소. 초등과학교육, 29(3), 350-363.
  4. 박미화, 이진석, 이경호, 송진웅 (2007). 과학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개념적 정의와 유형: 예비 과학교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1), 70-83.
  5. 박성혜 (2003). The Development of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strument in Science Teaching for Elementry School Teachers, 한국교원교육연구, 20(1), 105-134.
  6. 박철용, 민희정, 백성혜 (2008).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28(6), 641-648.
  7. 손만수 (2009). 교원양성 기관에서 개설된 생물실험수업의 유형 분류와 중등 예비 과학 교사들의 만족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양일호, 정진우, 허명, 김영신, 김진수, 김민경, 최현동, 오창호 (2005). 과학 실험 수업 분석 도구 개발. 초등과학교육, 24(5), 504-517.
  9. 양일호, 정진우, 김영신, 김민경, 조현준 (2006). 중등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실험 목적 상호 작용 탐구 과정의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7(5), 509-520.
  10. 양일호, 조현준 (2005). 학교 과학수업에서의 실험의 목적에 대한 고찰. 초등과학교육, 24(3), 268-280.
  11. 오필석, 이선경,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 (2008). 예비과학 교사들의 고등학교 과학반 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예비 교사들이 형성하는 지식의 종류와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46-564.
  12. 윤지현, 임희준, 박지애, 노태희 (2012). 멘토링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PCK의 특징 및 멘토링에 대한 인식 고찰. 초등과학교육, 31(1), 99-108.
  13. 윤혜경 (2012). 생산적 반성의 관점에서 분석한 초등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 703-716.
  14. 이근준, 정진우 (2004). 중등학교 과학실험수업의 탐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07-518.
  15. 이송연, 민희정, 원정애, 백성혜 (2011). 멘토링을 통한 예비화학교사들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4), 621-640.
  16. 이윤정 (2011). 실험 저널쓰기에서 나타난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실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96-209.
  17. 이은주, 강순희 (2012). 탐구 기능의 직접적 수업을 위한 탐구 기능 하위 요소 추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236-264.
  18. 이정아 (2010). 초등 예비 교사의 반성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반성의 유형과 특징. 초등과학교육, 29(3),378-388.
  19. 정애란, 맹승호, 이선경, 김찬종 (2007).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수업 실행에 대한 관심 영역과 반성적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93-906.
  20. 정진우, 이근준, 김진국 (2006). 중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서 초임 과학 교사들의 탐구 지도 수준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7(4), 364-373.
  21. 조희형, 고영자 (2008)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22. Abell, S. K. (2007). Research on science teacher knowledge. In S. K. Abell & N. G. Lederma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p. 1105-1149).
  23.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4. Abrahams, I. (2009). Does Practical Work Really Motivate? A study of the affective value of practical work in secondary school science. Science Education, 31(17), 2335-2353. https://doi.org/10.1080/09500690802342836
  25. Bennett, J., & Kennedy, D. (2001). Practical work at the upper high school level: the evaluation of a new model of assess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 97-110. https://doi.org/10.1080/09500690119244
  26. Davis, E. A. (2006). Characterizing productive reflection amo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eeing what matt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2(3), 281-301. https://doi.org/10.1016/j.tate.2005.11.005
  27. Lunetta, V. N., & Hofstein, A. (1991). Simulation and laboratory practical activity. In B. E. Woolnough (Ed.), Practical Science: The role and reality of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pp. 125-137). Open University Press.
  28. Magnusson, S., Krajcik, J. S.,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95-132).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29.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https://doi.org/10.1007/s11165-007-9049-6
  30. Roth, W. M., & Tobin, K. (2001). The implications of coteaching/cogenerative dialogue for teacher evaluation: Learning from multiple perspectives of everyday practice. Journal of Personnel Evaluation in Education, 15(1), 7-29. https://doi.org/10.1023/A:1011100117706
  31. Shulman, L. S., & Sykes, G. (1986). A national board for teaching? In search of a bold standard. Paper prepared for the Task Force on Teaching as a Profession, Carnegie Forum on Education and the Economy. New york: Carnegie Corporation.
  32.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1.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33. Tamir, P. (1988). Subject matter and related pedagogical knowledge in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2), 99-110. https://doi.org/10.1016/0742-051X(88)90011-X
  34. van Manen, M. (1977). Linking ways of knowing with ways of being practical. Curriculum Inquiry, 6(3), 205-228. https://doi.org/10.2307/1179579
  35. Ward, J. R., Suzanne S., & McCotter, S. S. (2004). Reflection as a visible outcome for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3) 243-257. https://doi.org/10.1016/j.tate.2004.02.004
  36. Wellington, J. J. (1998).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Time for re-appraisal. In Wellington, J. J.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pp. 3-15). London: Routledge

Cited by

  1. Analyzing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 Community's Reflection on their Instructions from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etical Perspective: A Case of Three Years of Biological Laboratory Class vol.35, pp.3,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523
  2. Analyzing the Growth of a Pre-Service Science Teacher Community through the Lens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The Case of a Three-Year Voluntary Science Teaching Program vol.14, pp.4, 2013, https://doi.org/10.29333/ejmste/8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