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ion Guidance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9초

사서 교사의 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eacher Libarians' Efficacy)

  • 강봉숙;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9-16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 교사가 지닌 효능감 특징을 분석하고, 효능감 강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도 K 대학 1급 사서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전국의 사서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 교사의 효능감은 평균 3.38점이며, 교수법 효능감(3.60점)이 높고, 집단 효능감(3.38점)과 개인 효능감(3.18점)은 낮게 나타났다. 사서 교사는 수업운영, 불우 학생 지도 의지 및 문제 학생 지도 가능성 판단에 대한 개인 효능감과 동료 교사 및 학부모와의 갈등 관리에 대한 집단 효능감이 높았다. 반면에 문제 학생의 원인 분석과 지도, 어려운 내용 및 과목 지도에 대한 개인 효능감이 낮았다. 또 관리자 및 교육청과의 갈등에 대한 집단 효능감이 낮았다. 사서 교사들은 학생에 대한 교수법 방법 개선 노력에 대한 의지가 강하며, 학생 동기화와 교수 준비에 대해서 높은 효능감을 보였다. 그러나 학습 기술이 부족하고, 다양한 교수법이 부족하다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끼친 변인은 출신 학부, 학력, 근무학교 규모, 경력 등이며, 특히 학력이 높을수록 문제 학생 및 불우 학생 지도에 대한 자신감과 열정이 높고 교수법에 대한 자신감이 강했다. 또한, 동료 및 학부모와의 갈등해결과 교수법에 대한 신뢰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서 교사 효능감 향상 방안으로 양성에서의 교직 이수비율 확대, 임용 전 사서 교사 연수 제도 개선, 장학체계 확립 그리고 대학원 진학을 통한 전문성 향상 노력 등을 제안하였다.

대학생의 인생 설계와 진로 수업 효과 분석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Life Planning and Career Class Effectiveness)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37-45
    • /
    • 2024
  • 대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인생을 설계하고 진로, 취업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단순히 취업 특강이나, 취업에 관한 정보 제공, 모의 면접, 자기소개 작성법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해 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생 설계와 진로 설계를 체계적으로 제공해 주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인생 설계와 진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느낀 인생설계와 진로에 관한 수업 효과를 분석하여 인생 설계와 진로의 수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들은 인생 설계와 진로 수업을 통하여 첫째, 인생 설계 부분에서는 나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이 되었으며,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반성적 사고가 생겼다. 그리고 대학 4년 동안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었다. 둘째, 진로 직업 탐색 부분에서는 나에게 맞는 직업 탐색, 진로 탐색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다양한 직업군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취업에 대한 다양한 고민을 할 수 있어서 좋았다. 그리고 다양한 직업의 존재를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보았다. 셋째, 수업 진행 부분에서는 체험 활동 등의 수업 진행과 다양한 초청 강의가 좋았다. 또한 수업의 흥미가 있었고, 수업을 통해 자존감을 획득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대학생들에게 인생 설계와 진로 지도와 관련된 수업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진로 탐색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러한 수업이 많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한국의 재난관리체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of the Korean Disaster Adminstration System)

  • 최권중
    • 시큐리티연구
    • /
    • 제4호
    • /
    • pp.343-363
    • /
    • 2001
  • Chapter 1 is the introduction part. With the development of modem science and technology, the world has experienced serious disaster. Each occurrence of such disaster has reminded the people all over the world of the importance of coping with the disaster and therefore all the countries have set up the disaster administration system to handle their disasters in efficient way. The principal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ways and means needed to improve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Chapter 2 introduces the reader to a disaster management theory Chapter 3 dealt with the problems on the disaster administration system, under which the first and second section mention the points at issue in the system of law and administration of our country, respectively, Chapter 4 dealt with the plan to improve the disaster adminstration system under which the first section describes its basic direction while the second section describes the clarification of the role share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body, beefing up the functions of disaster administr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body. establishment of disaster prevention system, activation of support program against disaster, raising the professional personnels, extending the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etc. Chapter 5, the conclusion, describes the difficulties in coping with the disaster under the existing disaster administration system. Therefore, the entire fundamental of disaster administration is in need such as distinct rol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body, improving the systems of law and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training, and guidance and superintendence, etc. In addition, the control function of the concerned authorities must be reinforced to perform the disaster administration system smoothly while establishing 24 hour emergency system. Also, the financial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technical study on the disaster administration should be done continuously on long-term basis.

  • PDF

MFSK를 이용한 잠수정의 거리 및 방향 예측알고리즘 구현 (Implementation of an Algorithm for the Estimation of Range and Direction of an Underwater Vehicle Using MFSK Signals)

  • 김시문;이판묵;이종무;임용곤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249-256
    • /
    • 2004
  • KRISO/KORDI is currently developing a deep-sea unmanned underwater vehicle (UUV) system which is composed of a launcher, an ROV, and an AUV. Two USBL acoustic positioning systems will be used for UUV's navigation. One is for the deep sea positioning of all three vehicles and the other is for AUV's guidance to the docking device on the launcher. In order to increase the position accuracy MFSK(Multiple Frequency Shift Keying) broadband signal will be used. As the first step to the implementation of a USBL system, this paper studies USBL positioning algorithm using MFSK signals.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MFSK signal is described with various MFSK parameters: number of frequencies, frequency step, center frequency, and pulse length. Time and phase delays between two received signals are estimated by using cross-correlation and cross-spectrum methods. Finally an USBL positioning algorithm is derived by converting the delays to difference of distances and applying trigonometry.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osition accuracy is improved highly when both cross-correlation and cross-spectrum of MFSK signals are used simultaneously.

  • PDF

사용자 선호지향 기반에 의한 GUI 아이콘 표현 유형과 조형 요소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그림 아이콘 디자인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of the most favorable ICONs and the formative factors in the GUI design - Focused on the design of the Graphic ICONs. -)

  • 우근도;정성환;홍정표;형성은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521-530
    • /
    • 2008
  •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의 아이콘들은 시각언어로서 정보를 전달하여 사용자들의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정보전달 매체이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아이콘을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기 때문에 임의의 사용자에게 원하는 시각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커뮤니케이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Graphic User Interface이라는 매체의 특성에 적합한 아이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이콘 유형인 그림 아이콘을 중심으로 하여 그림 아이콘의 각 세부적 표현 유형의 선호도에 따른 조형적 영향 요소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며 각 표현 유형에 영향을 주는 조형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아이콘 디자인에서 사용자 선호 지향적 디자인 방향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며 디자인을 할 때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도록 하였다.

  • PDF

그래브 준설선에 의한 해상준설측량 및 시공관리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Hydrographic Dredging Surveying and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Grab Dredger)

  • 이진덕;이재빈;김현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12
    • /
    • 2013
  • 준설성과의 과학적 평가를 위해서는 준설공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작업을 관리하고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비콘DGPS를 이용하여 그래브 해상준설선의 유도와 준설측량 및 시공을 위한 실시간 준설시공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GPS에 의한 선박위치 측정, GPS/자이로스코프 통합장비에 의한 선박방향 측정, 그래브 위치측정, 준설심도측정 및 보정 등의 기능을 구현하였으며, 또한 구축된 준설공정관리시스템을 제어 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시스템은 준설선을 정확한 위치로 유도하여 계획대로 준설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항만준설공사에의 적용성과를 통하여 그 효용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교통약자의 동선 안내 어플리케이션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Path Finding and Guiding Algorithm for Handicapped People)

  • 조수빈;김기혁;이동훈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56-62
    • /
    • 2019
  • 2015년 기준 우리나라 인구수에서 교통 약자는 전체 인구수의 26%를 차지하며 그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교통약자 중 특히 시각 장애인과 휠체어 이용자는 기존 건물에서 다른 건물로 이동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주목하여 시각장애인과 휠체어 이용자의 동선 안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알고리즘은 휠체어 이용자를 위해 계단, 문턱과 너비 등을 고려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와 경사로를 우선 안내하며 시각장애인을 위해서는 장애물을 포함한 모든 안내를 음성으로 지원한다. 본 연구는 향후 실제 교통약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거복지 분배 불평등 지수 연구 (Analysis on the Inequality Indicator of the Housing Condition Distribution)

  • 이강희;채창우
    • KIEAE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45-51
    • /
    • 2017
  • Purpose: Housing is the most essential element for well-being in a society. The government would continuously supply decent housings to make a better living condition for people. As various housing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into practice,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need to be assessed and improved to rearrange the financial resources. The indicators, such as quality of life, housing supply amount and etc, could be used to estimate housing policy to provide a guidance for a new policy direction. Though various indicators are utilized to assess the policy effect, most of the items are depend upon a relativeness in aspect to assessment goal, items, time and its weighting. Therefore, it needs an absolute indicator to compare the policy effectiveness regardless of time elapse or items. In this paper, it developed the housing welfare indicator to assess the level of living condition, utilizing the Gini coefficient which is used for explanation on income distribution. Method: To suggest an inequity indicator, this paper used Gini coefficient to explain the level of living condition which is used on economics to provide the level of income distribution. Data are collected through the Korea Housing Survey b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between 2006 and 2014. Indicators of living condition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estimation model using the frequency of room use. Result: Gini coefficient between 2004 and 2014 is about 1.5 score except in year 2013, and the trend of score has been decreased slowly which means the inequality gradually improved. In this result, it implies the living condition and distribution level would be improved than before.

공간마케팅 관점에서 본 지역박물관의 공간과 프로그램 특성 - 서울·인천지역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Spaces and Programs of Local Museum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Marketing - Focused on Seoul and Incheon -)

  • 우은영;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55-62
    • /
    • 2017
  • As recently too many local museums have been built in the whole country, most of them cannot attract enough spectators.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it is needed for local museums to differentiate their spaces and programs related to their exhibi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ces and programs of local museums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marketing to activate them, and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local cultures. This study targeted historical public museum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 analysis frame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keywords related to spatial marketing,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s and programs of local museums were analyzed based on the fram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Access convenience refers to openness that public museum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can embrace accessible locations, points of interest, and convenient facilities easily recognized by pedestrians. 2) Symbolic formativeness is to express symbolic historical contents in the museum lobby or exhibition to show the identity of local museums. 3) Visibility is needed for direct guidance signs or spaces to let spectators know directions and locations. 4) Public concern is for spectators and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local museums to share and utilize their partial spaces. 5) Interactivity is to induce activation of local museums by utilizing experience exhibition contents and having spectators directly contact exhibits. 6) Interest is related to cultural festival programs of exhibition to arouse spectators' and local residents' curiosity. 7) Participation is to activate spaces and spectators by providing educational programs. 8) Usefulness is to induce spectators' interest in local museums by providing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informat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eline data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activation of local museums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marketing.

직무에 대한 임상실습 지도자와 신입 작업치료사의 견해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성인 작업치료사를 중심으로- (View of Occupational Therapy Fieldwork Supervisor and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in Job : Focusing on Adult Occupational Therapists that Work on Hospital)

  • 이춘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343-352
    • /
    • 2015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 직무에 대해 임상실습 지도자와 신입 작업치료사의 견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국내 58개의 의료기관에서 임상실습을 지도하는 117명의 작업치료사와 신입 작업치료사 104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중위수와 범위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임상실습 지도자는 실습생을 평가할 때 기본적인 소양과 매너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둘째, 신입 작업치료사는 대부분의 직무에서 중요도는 10점, 수행도는 7점, 만족도는 6점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직무에 대한 임상실습 지도자의 중요도는 중재계획의 문제 확인과 치료계획 수립이 1위와 2위로 나타났지만, 신입 작업치료사의 수행도는 2위를 제외한 5위 내의 4개가 모두 평가 직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신입 작업치료사가 겪는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해 임상실습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