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p

검색결과 1,377건 처리시간 0.03초

불연속면 방향의 효율적인 측정 방안 (Effective Measuring Method of Discontinuity Orientation)

  • 김해경;고영구
    • 지질공학
    • /
    • 제13권3호
    • /
    • pp.321-334
    • /
    • 2003
  • 본 연구는 암반에서 불연속면 방향의 효율적인 측정 방안에 관한 것이다. 불연속면의 방향성은 주향/경사, 경사방향/경사(세 자리 숫자/두 자리 숫자) 그리고 경사방향을 우측에 두고 바라보는 방향을 주향방향으로 결정하는 방법의 세 가지 방법으로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불연속면의 주향/경사는 클리노미터에 의해 측정이 되며, 경사방향』경사는 실바콤파스(type15)에 의해 측정된다. 주향/경사는 지질조사시에 측정이 되는데, 경사방향/경사는 공학적 목적으로 측정이 되며, 통계처리에 유용하다 클리노미터에 의해 불연속면의 경사방향 측정과 주향/경사를 경사방향/경사로의 전환 시, 측정자에 따라 오류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연속면 방향성을 두 가지 방법 (주향/경사. 경사방향/경사)으로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클리노미터에 회전방위판과 주향 및 경사방향 표시 화살표를 부착하여 측정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이 새로운 측정법은 주향뿐만 아니라 경사방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측정법이다. 또한 이 측정법은 주향/경사 및 경사방향/경사의 동시 측정이 가능하다. 암반사면에서 불연속면의 방향 측정 시, 현행 측정법과 새로운 측정법을 비교한 결과. 새로운 측정법이 오류를 분명히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새로운 측정법은 도로 설계 시 광역적인 지표지질조사에서 많은 불연속면의 방향성을 측정할 경우와 측정 경험이 부족한 조사자에게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춘계 남해 전선역에서 알칼리 인산분해 효소를 통한 제한 영양염의 평가 (Limiting Nutrient Based o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the Frontal Area of the Southern Sea, Korea)

  • 오석진;장민익;남기택;김석윤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885-892
    • /
    • 2017
  • 2017년 추계에 남해 전선역을 파악하고, 알칼리 인산분해 효소(Alkaline Phosphatase; APase) 활성을 이용하여 제한 영양염과 제한 영양염의 시간적인 변화를 평가하였다. 전선역이 형성된 인근해역의 경우, 용존무기인(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의 농도와 용존무기질소(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DIP 비가 각각 $0.2{\mu}M$ 이하와 최대 23.2로, DIP가 제한된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Chlorophyll a(Chl.-a)가 $0.2{\mu}g/L$로 높은 생물생산력을 보였다. APase와 DIP는 중요한 역의 상관관계(r = -0.81; P<0.001)를 보여, DIP가 제한되어진 해역임을 알 수 있었으며, APase와 Chl-a 관계는 APase의 60 %가 식물플랑크톤, 40 %가 박테리아 기원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용존태 APase와 입자태 APase의 분포로부터 전선역은 장기간 DIP가 제한된 해역이며, 그 외의 해역은 최근에 DIP 제한이 해소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전선역에서 APase와 같이 가수분해효소의 측정은 제한 영양염의 시공간적인 변화 특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전선역에서 생지화학 순환의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불연속면의 최대경사벡터를 활용한 사면거동해석 (Analysis of Rock Slope Behavior Utilizing the Maximum Dip Vector of Discontinuity Plane)

  • 조태진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9권5호
    • /
    • pp.332-345
    • /
    • 2019
  • 평사투영도에서 불연속면을 대표하는 유일한 점으로 정의되는 최대경사벡터를 해당 면의 경사와 경사방향에 의거하여 형성하였다. 평사투영해석에서 평면의 극점이 대원과 역방향에 제도되는 것에 비해 최대경사벡터는 대원의 최대 경사지점에 위치하여 불연속면의 미끄러짐 방향을 직접 투영도 상에서 지시한다. 투영도 상에서 불연속면의 거동방향을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최대경사벡터를 활용하여 평면 및 전도파괴 양상을 직관적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평면 파괴의 경우 블록의 옆면을 형성하는 고 경사 절리의 존재를 확인하여 실제 미끄러짐 블록의 형성가능성을 산정하였다. 또한 사면 방향과 반대방향을 갖는 고경사절리들의 존재를 확인하여 3각형 단면을 갖는 미끄러짐 블록의 형성여부를 판별하고 안전율을 도출하였으며, 4각형 단면을 갖는 가장 취약한 블록의 안전율과 비교분석하였다. 쐐기파괴 경우에는 절리면 교차에 의해 형성되는 쐐기의 기저선 방향이 최대경사벡터 속성을 지니고 있어 쐐기파괴 영역을 평면 및 전도파괴 영역이 제도된 투영도 상에 함께 도시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쐐기 상부 면을 형성하는 절리를 추출할 수 있어 전체 쐐기형상을 추정하고 역학적 거동분석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쐐기의 기하학적 특성자료를 도출하는 토대를 확립하였다.

신문용지용(用) 지료(紙料)의 조성조건(調成條件)에 의한 보류(保留)의 변화(變化) (Influences of Wire Retention on the Newsprint Process Affected by Stock Preparation Conditions)

  • 김봉용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1권
    • /
    • pp.1-9
    • /
    • 1993
  • 신문 용지용(用) 지료(紙料)의 조성조건(調成條件)에 따른 보류(保留)의 변화를 연구(硏究)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수가 있었다. 1. 온도(溫度)의 상승(上昇)에 따라 보류(保留)는 지료(紙料)의 종류 및 배합비(配合比)에 관계없이 감소(減少)하였으며 GP보다 DIP가 온도(溫度)변화에 민감(敏感)하였다. 2. pH변화에 따른 보류(保留)의 변화는 GP와 DIP 및 GP/DIP=50/50 모두 pH5에서 보류(保留)가 가장 높았으며 pH 5보다 높거나 낮으면 감소(減少)하였고 DIP가 GP보다 감소(減少)가 적었다. 3. Alum첨가(添加)에 따른 보류(保留)의 변화는 GP와 GP/DIP=50/50의 경우 2% 첨가(添加)에서 보류(保留)가 가장 높았고 DIP는 3% 첨가(添加)에서 가장 높았다. 4. 보류(保留)는 지료(紙料)의 응집작용(凝集作用)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 PDF

UV 차단렌즈의 제작에서 광 투과율 Edge 및 Half Point의 Dippy 시간의존성 (Dippy Time Dependence of Transmittance Edge and Half Point in the UV cut lens' manufacture)

  • 김용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01-105
    • /
    • 2001
  • UV 차단 렌즈 UV solution을 이용한 dip method로 제작하여 광 투과율과 광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광 투과율의 half point 파장 및 edge 파장이 dip 시간의 존성인 exponetial decay형식에 잘 적용되었다. $$W=W_0+A_1{e}{x}{p}[-(x-x_1)/t_1]$$ 광 투과율의 half point 파장은 358 nm 에서 408 nm로 이용하였고, edge 파장은 340 nm에서 398 nm로 이동하였다. 광 반사율 주 peak 380 nm는 dip 시간이 클수록 세기는 작아지고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였으며, dip 시간 10분에서 UV solution의 성분 peak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 PDF

가공송전선의 부하용량과 이도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An Experimental Study for Load Capacity and Dip Characteristic in Overhead Transmission Lines)

  • 김성덕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177-183
    • /
    • 2010
  • Overhead transmission lines in domestic area have been built by several different design standards of dip and ground clearance. This paper describes an experimental study for evaluating load capacity and dip margin in overhead transmission lines. Such design standards for selection of overhead transmission conductors, dip and ground clearance, as well as electrical equipment technical standard are discussed. Based on daily load and weather data, several characteristics such as line utilization factor, load factor, conductor temperature and dip, etc. a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specified levels of design standards. As a result, it is verified that DLR method can be a clue of the solving of the problem, for occurring in old transmission conductors which may be rarely operating below standards.

3상 위상제어 정류기에서 DVR의 응답시간과 허용 가능한 순시저전압의 범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missible range of voltage dips and the response time of DVR in 3-phase phase-controlled rectifier)

  • 한무호;권우현;박철우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325-333
    • /
    • 2004
  • It is investigated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response time of DVR(Dynamic Voltage Restorer) and the possible compensation range of voltage dip by the DVR system which protects the 3-phase phase-controlled rectifier from voltage dip. As a result, the permissible range of voltage dip is presented in the 3-phase phase-controlled rectifier, and it is presented that the range of voltage dip which can be compensated according to the DVR s response time. when the DVR compensates voltage dip, Using the proposed method, the DVR s response time can be determined from the parameters of 3-phase phase-controlled rectifier and the possible compensation range of voltage dip, and it is possible to use the control system which have an appropriate speed. Therefore, the use of excessively fast device can be avoided, and the stability of the overall system is improved. Also the reliance of DVR about the 3-phase phase-controlled rectifier can be verified.

곰소만 조간대에서 인의 시공간적 분포 (The Distribution of phosphorus in the Gomso Bay Tidal Flat)

  • 양재삼;김영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3호
    • /
    • pp.171-180
    • /
    • 2002
  •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에서 인의 각 형태에 대한 시공간적인 분포와 관련 환경 인자를 조사하였다. 퇴적물 내 총인(TP), 입자성무기인(PIP), 총유기인(TOP), 용존무기인(DIP)의 곰소만 전체 평균 함량은 각각 548.8mg P kg$^{-1}$, 426.1mg P kg$^{-1}$, 122.6 mg P kg$^{-1}$, 0.217 mg P kg$^{-1}$로써, TP 중 차지하는 순서는 연중 변화 없이 PIP>TOP>DIP이었다. TP는 여름과 겨울간에, 수평적, 수직적으로 일관된 변화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만, 줄포천 하구에 위치한 조간대 퇴적물에서 높은 TP가 발견되었다. 시기적으로 대부분의 정점에서 8월에 TOP 농도가 높게 나타나 TP중 28.90%를 차지하는 반면, TIP는 71.10%를 차지하고, 11월에는 반대로 TOP가 15.63%로 급격하게 감소하고, TIP가 84.38%를 차지하였다. DIP의 농도 자체는 낮지만, 뚜렷한 계절적인 변화를 보였다. DIP는 모든 정점에서 8월이 11월 보다 3배 높은 농도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11월에 비하여 8월 조사기간 동안 퇴적물 내 함유된 유기물의 절대적인 농도에는 차이가 없으나, 높은 수온에 의하여 수층의 일차생산력이 증가하고, 따라서 상층수에서 퇴적물로 공급되는 절대적인 유기물량이 증가함과 동시에 유기물의 분해율 또한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공극수 내 DIP의 농도가 증가되었을 것이다. 여름철 퇴적물의 표층 하에서 혐기성 조건이 조성되어 퇴적 입자에 흡착되었던 PIP의 일부가 낮은 pH, Eh환경에서 용존 상태로 전환된 부분도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대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 내 인의 분포는 일차적으로 줄포천과 같이 생활하수가 집중적으로 공급되는 곳에서 높은 TP 농도를 보였고, 시기적으로 PIP와 DIP는 강한 계절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 이는 주로 하절기 높은 수온과 유기물 함량이 여타 다른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MPEG-21 DIP 기반 비디오 요약 서비스 (Video Summarization Service based on MPEG-21 DIP)

  • 류지웅;김문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199-201
    • /
    • 2003
  • MPEG-21 환경에서의 DI(Digital Item)은 MPEG-21 프레임워크 내에서 표준화된 표현 형식, 식별 체계, 서술 형식을 따르는 구조화된 디지털 객체이며, 유통, 처리의 최소 단위이다 따라서. 이러한 DI가 MPEG-21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터미널에 전달되었을 때 어떻게 처리되어야 될 것인지를 규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이와 관련한 기술이 DIP(Digital Item Processing)이다. 본 논문에서는 DIP의 한 응용 예로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계층적으로 기술하는 Video Summary의 응용 방안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마산만 주변 해역에서 오염인자와 해양환경변동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ollution Factors and Environmental Variation in Waters around Masan Bay)

  • 신소영;이충일;황선출;조규대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9-79
    • /
    • 2004
  • 1981년부터 1998년까지 연구해역에서 COD와 DIP의 2월, 4월, 8월, 11월의 월별 분포양상은 비슷하였고, 두 항목 모두 8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인 반면 DIN의 경우는 2월, 4월, 8월, 11월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COD값은 1990년부터 1992년까지점차 증가하다가 1993년, 1994년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마산만의 준설기간 중반부터 준설의 효과가 표층까지 나타난 것으로 보여진다. DIN과 DIP의 표층 농도 변화에는 준설의 효과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COD의 공간적인 변동에서 적조가 빈발하였던 연도가 그렇지 않았던 연도에 비해 높은 COD농도의 분포가 마산만 밖으로 확장되어 있었고, 준설에 의한 COD값의 뚜렷한 변동은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DIN농도의 공간적인 분포 양상을 살펴보면 마산만의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오염이 점차 확장되었다. 마산만의 가장 안쪽 지점이 일정한 경향이 없이 높은 DIN농도를 유지하였으며, 내만 유역에 마산만의 오염원이 집중되어 있고, 마산만 유역에서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가 계속적으로 유입되고 있었다. DIP농도의 공간적인 분포에서도 마산만 준설이 DIP의 표층 농도 변화에는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수량과 COD, DIN, DIP 농도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성이 없었으며, 적조발생일수와 COD 농도 사이에는 0.66의 대체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