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terrain analysis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8초

GIS 음영기복과 렌더링의 비교에 의한 수치지형모형의 표현 분석 (Analysis of Digital Terrain Model Display by Comparison of GIS Shaded Relief and Rendering)

  • 이형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7-136
    • /
    • 2006
  • 수치지형모형을 시각적으로 분석하는데 있어 음영기복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형의 음영 표현만을 생각하는 경우가 있어 정확한 그림자 범위를 확인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GIS의 지형 표현에 사용되는 음영기복 기능을 렌더링과 비교하여 지형의 그림자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각각 나타나는 수치지형모형상의 표현 차이를 분석하였다. 도로가 있는 지형으로 실험 대상지역을 선정하여 불규칙삼각망의 수치지형모형을 생성한 후 09시와 15시의 시간대별 태양의 방위각 및 고도에 따른 음영기복과 렌더링 기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음영기복은 태양의 광선을 받는 지형지물의 뒷부분만 어두운 상태로 나타났고, 렌더링을 통하여 투영된 그림자가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이 상호 비교를 통해 음영기복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 제시할 수 있으며, 렌더링 기법은 지형지물의 일조 분석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가시권 분석의 적정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Evaluating Suitable Analysis Methods Using Digital Terrain in Viewshed Analysis)

  • 여창환;장영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0-4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GIS 분석기법을 활용한 가시권 분석이 활발해 지고 있으나 분석결과의 정확도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점에 착안하여 가시권 분석방법에 대한 심층적 논의를 통해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있다.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가시권 분석은 분석 대상지의 특성, 수치지형도의 축척, 분석의 공간 해상도, 지형자료의 형태에 따라 상이하게 도출되어 분석결과의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공간 해상도가 낮아지면 가시권 분석결과의 면적은 넓어지고 유효 한계해상도보다 해상도가 낮아지면 분석결과의 면적은 불안정한 변화추이를 보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공간 해상도별 가시면적의 변화추이와 공간 일치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분석 대상지와 수치지형도의 축척, 공간 해상도, 입력된 지형자료의 형태에 따라 분석결과가 상이하게 도출되어 분석결과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시영역이 산지 지형인 경우에서 안정적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또 입력되는 지형자료의 경우는 제한된 조건에서 TIN보다 레스터 자료에서 안정적인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해상도별 가시면적의 변화추이와 공간 일치도 분석결과에 비춰보면 축척별 수치지형도에 따른 유효한 최소의 공간 해상도가 존재하는데, 1/1,000의 경우는 8m, 1/5,000은 20m, 1/25,000은 35m를 넘지 않은 범위에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치표고모형에 의한 유역에서의 지형인자 분석 (Analysis of A Watershed Terrain Factors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 양인태;천기선;박재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1-67
    • /
    • 1999
  • 하천과 유역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유역에 대한 지형인자는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지형인자를 구하기 위해서, 기존에서는 지형도상에서 직접 구하거나 지형도를 수치화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매우 번거롭거나 비경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DMA에서 제공하는 DTED를 사용하여, 하천과 유역을 생성하고, 지형인자를 추출하였다. 지형도를 수치화하여 구한 지형인자와 DTED에서 구한 지형인자들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DTED의 활용여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 PDF

산지습지의 수문지형분석 방법론의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Terrain Analysis for an Identification of Wetland Area at Mountainous Watershed)

  • 장은세;이은형;김상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473-1483
    • /
    • 2015
  • In this study, a digital terrain analysis had been performed for a mountainous watershed having wetlands. In order to consider the impact for wetland in the flow determination algorithm, the Laplace equation is implemented into the upslope accounting algorithm of wetness computation scheme. The computational algorithm of wetland to spatial contribution of downslope area and wetness was also developed to evaluate spatially distributed runoff due to the presence of wetland. Developed schemes were applied to Wangpichun watershed located Chuncuk mountain at Ulzingun, South Korea. Both spatial distribution of wetness and its histogram indicate that the developed scheme provides feasible consideration of wetland impact in spatial hydrologic analysis. The impact of wetland to downslope propagation pattern is also useful to evaluate spatially distributed runoff distribution.

가시권 분석에서의 MAUP 영향 분석 (Analysis on MAUP' Effects in Visibility Analysis using GIS)

  • 이준학;김항덕;오경두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0-8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UP's effect in visibility analysis using GIS. MAUP normally occurs in the process in terrain spatial analysis including visibility analysis.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grid data(based on digital map and Digital Terrain Elevation Data) and 10 different types of areal units are made for modeling, such as $5m{\times}5m,\;10m{\times}10m,\;15m{\times}15m,\;20m{\times}20m,\;25m{\times}25m,\;30m{\times}30m,\;35m{\times}35m,\;40m{\times}40m,\;45m{\times}45m,\;50m{\times}50$. By analyzing the result, it was possible to observe varying viewshed areas according to different grid cell sizes and the viewshed area did not varied linearly as expected. From a general point of view, smaller unit data map out the real world in more detail, but the results of modeling do not always reach a good conclusion when data are used in modeling for terrain analysis because of the MAUP' effect. The grid cell sizes of 30m or less seems to be adequate for visibility analysis, including terrain analysis considering vegetation heights.

스키장의 풍환경 개선을 위한 수치해석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WIND EFFECTS OF MOUNTAINOUS TERRAIN FOR THE SKI RESORT)

  • 정재혁;허남건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10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93-495
    • /
    • 2010
  • A three-dimensional flow simulation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low field in the ski resort on complex terrain. The present paper aims to study the wind effects of mountainous terrain on the gondola safety. Strong wind happens in the ski resort on the mountain by complex terrain and it causes the dangerous accident of gondola. A digital map around the ski resort area is used to model the actual complex terrain for a 3-D analysis domain. Wind direction and speed to be used as a boundary condition are taken from local meteorological reports. The numerical results show details of the velocity distribution around a ski resort. From the results, we can suggest the modification of the installation of gondola for the safety due to strong wind.

  • PDF

자율이동로봇의 안전주행을 위한 주행성 맵 작성 (Development of a Traversability Map for Safe Navigation of Autonomous Mobile Robots)

  • 진강규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49-455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developing a TM (Traversability Map) from a DTM (Digital Terrain Model) collected by remote sensors of autonomous mobile robots. Such a map can be used to plan traversable paths and estimate navigation speed quantitatively in real time for robots capable of performing autonomous tasks over rough terrain environments.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three parts: a DTM partition module which divides the DTM into equally spaced patches, a terrain information module which extracts the slope and roughness of the partitioned patches using the curve fitting and the fractal-based triangular prism method, and a traversability analysis module which assesses traversability incorporating with extracted terrain information and fuzzy inference to construct a TM. The potential of the proposed method is validated via simulation works over a set of fractal DTMs.

수치지형도와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지형경사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errain Slope Using Digital Map, LiDAR Data)

  • 강준묵;윤희천;민관식;이원영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
    • /
    • 2007
  • 최근 인간의 활동에 의해 나타나는 인문 활동의 중요한 요소로써 지리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고자하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형을 공간과 연계하여 표현할 필요성이 있으며, 특히 수치표고모형을 활용한 지형분석의 기술은 지형에 대한 정밀한 수치표고모형을 생성하여 고품질의 3차원 지형정보가 필요한 분야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지표면에 대한 표고 및 경사도에 대한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다측량 데이터를 활용해 대상지역에 대한 좀 더 정밀한 수치표고모형을 만들어 기존의 축척 1:1000인 수치지형도와의 비교를 통한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라이다 데이터에 의해 생성된 수치표고모형 자료를 이용하여 지형경사도를 분석한 결과 대상지역 및 주변의 경사도를 비교적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었으며, 표고 해석 결과도 라이다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이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분석보다 대상지역 및 주변의 표고를 비교적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 PDF

LiDAR 자료에 의한 지형해석 (Analysis of Terrain by LIDAR Data)

  • 강준묵;윤희천;민관식;위광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89-397
    • /
    • 2006
  • 본 논문은 라이다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형에 대한 3차원 해석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이다 측량은 항공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하여 지표의 정량 및 정성적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획득된 라이다 데이터를 사용해 불규칙 삼각망, 수치표면모형 및 수치표고모형 등의 지형 데이터를 만들어 지형의 가시성, 음영기복, 경사방향 및 경사도와 같은 요소들을 조사했다. 각 항목으로부터 얻은 해석 결과들은 지형해석에 있어서 주요한 요소로 사용되어지며, 라이다 측량이 지형해석을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이용되기를 기대한다.

수치고도모델을 이용한 오대산 국립공원지역의 지형분석 (Terrain Analysis of Odaesan National Park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 김철민;이준우;권태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0-76
    • /
    • 1995
  • 오대산 국립공원지역의 지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1:50.000 지형도를 입력하여 100$\times$100m 격자의 수치고도모델을 구축하였다. 오대산 국립공원 전체의 55%가 900m 이상인 고지로 되어 있고. 비로봉 자연보전지역은 90%가, l,100m 이상인 고산지역이다. 경사 20$^{\circ}$이상인 지역이 70% 정도로 험준한 산악지역이며, 경사향은 주로 동향과 서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