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self-control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9초

Digital Control of Secondary Active Clamp Phase-Shifted Full-Bridge Converters

  • Che, Yanbo;Ma, Yage;Ge, Shaoyun;Zhu, Dong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4권3호
    • /
    • pp.421-431
    • /
    • 2014
  • A DSP-based self-adaptive proportional-integral (PI) controller to control a DC-DC converter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full-bridge topology is adopted here to obtain higher power output capability and higher conversion efficiency. The converter adopts the zero-voltage-switching (ZVS) technique to reduce the conduction losses. A parallel secondary active clamp circuit is added to deal with the voltage overshoot and ringing effect on the transformer's secondary side. A self-adaptive PI controller is proposed to replace the traditional PI controller. Moreover, the designed converter adopts the constant-current and constant-voltage (CC-CV) output control strategy. The secondary active clamp mechanism is discussed in detail.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onverter was experimentally verified by an IGBT-based 10kW prototype.

TMS320C5X칩을 사용한 스카라 로봇의 극점배치 자기동조 적응제어기의 실현 (Implementation of a pole-placement self-tuning adaptive controller for SCARA robot using TMS320C5X chip)

  • 배길호;한성현;이민철;손권;이장명;이만형;김성권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6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포항공과대학교, 포항; 24-26 Oct. 1996
    • /
    • pp.61-64
    • /
    • 1996
  • This paper presents a new approach to the design of self-tuning adaptive control system that is robust to the changing dynamic configuration as well as to the load variation factor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ors for robot manipulators. TMS32OC50 is used in implementing real-time adaptive control algorithms to provide advanced performance for robot manipulator. In this paper, an adaptive control scheme is proposed in order to design the pole-placement self-tuning controller which can reject the offset due to any load disturbance without a detailed description of robot dynamics. Parameters of discrete-time difference model are estimated by the recursive least-square identification algorithm, and controller parameters are determined by the pole-placement method. Performance of self-tuning adaptive controller is illustrated by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 for a SCARA robot.

  • PDF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충동성,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Smart Phone Addiction on Impulsivity, Stress,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 오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998-1012
    • /
    • 2015
  • This study is smartphone addiction impulsiveness, stress, self-efficacy, and examine any changes to appear self-control. This study is a response to the results obtained for 310 people targeting high school in Pusan, the second grade students.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by using the SPSS 22.0 program was the analysis of the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smart phone addiction has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ulsivity, stress,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Second, sex is found to be significant in impulsivity, stress,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Third, grades are significant in impulsivity,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Fourth, the model for impulsivity indicates 4% of explanatory power, which is significant. Fifth, explanatory power for stress is 4%, which is significant. Sixth, the model for self-efficacy shows 14% of explanatory power, which is significant. Meanwhile, smart phone addiction, sex, and grades have no significant effects on self-efficacy. Seventh, the model for self-control indicates 20% of explanatory power, which is significant.

코로나19(COVID-19) 비대면 온라인 학습 참여자의 자기통제력 예측요인 (Predictors of Self-control in Covid-19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participate)

  • 김자숙;박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453-461
    • /
    • 2020
  • 본 연구는 코로나19(COVID-19) 비대면 온라인 학습 참여자의 자기통제력의 예측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J도 비대면 온라인 학습 참여자 105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비대면 온라인 학습 참여자의 자기통제력의 가장 큰 예측요인으로는 자기조절효능감(β=.510, p<.001)으로 자기통제력에 대하여 46.5%의 설명력을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자신감(β=.285, p=.001)을 추가하면 자기통제력(Adj. R2= .507, F=36.65, p<.001)에 대한 설명력은 50.7%였다. 이상의 결과로 여러 재난 상황에서 비대면 온라인 학습 참여자의 자기통제력을 증진 시키고 학습 참여자의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을 향상 시키는 근본적이고 지속적인 온라인 오프라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사회비교와 자기비교의 두 과정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n the Two Processes of Social Comparison and Self-Comparison)

  • 강혜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445-45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흔히 경험하는 사회비교와 자기비교의 두 과정을 비교하여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이론들이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를 시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비교이론에 해당하는 이론으로서 사회비교 이론과 자기평가유지모형을, 그리고 자기비교이론이라 할 수 있는 제어이론, 자기차이이론, 조절초점이론 및 시점비교이론을 차례로 개관하였다. 사회비교와 자기비교의 과정은 차이가 있지만, 이 두 비교 모두, 자기평가, 정서, 동기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는 유사하다. 사회비교와 자기비교에 관련된 연구들이 교육문제, 건강문제, 경제정의 및 대인관계 등에 대하여 지니는 응용적 함의들을 논의하였다.

디지털 공간에서의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Voronoi Diagram on Digital Space)

  • 강가애;윤재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56-164
    • /
    • 2008
  • Through staggering advancements of technology and network as we know them as digital revolution, we have established a foundation of space in which we can express reality by eliminating the boundaries between expression, space, and movement. There are many ongoing approaches that aim to overcome the physically-fixed property of space where the mathematical-geometric notion of Voronoi Diagram is one of them. Although the repetitive increment based on self-organization during the process in which space is generated by the Voronoi Diagram forms a pattern and focuses on the formation, its pattern is not restricted to a single method of expression but evolves over self-control. The result of having analyzed spaces generated by the Voronoi Diagram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oronoi computation method with self-organization property creates multiple levels, increments, and evolves through feedbacks among changes with the slightest order and in the absence of control. Secondly, after forming a pattern through such feedbacks comes the differentiation phase due to the presence of different properties. Thirdly, a space that has gone through the generation process retransforms through active interaction between changes and it obtains ambiguous boundaries and a repetitive pattern. This leads to an evolution of space through repetitive increments based on self-organization. Such flexible space creation is supported by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where we believe a converging application of these studies, sciences, engineering concepts, and space design is and effective and new method in terms of space creation.

임부의 자아통제감과 우울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nse of Self-Control and Depression on Pregnant Women's State-Anxiety)

  • 황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07-21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임부의 자아통제감, 우울 및 불안 정도를 측정하고 그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며,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160명의 임부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은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자아통제감은 평균 20.49±3.49점으로, 가족구성원의 수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우울은 평균 6.71±4.76점으로, 직업 유무, 시댁식구와 동거여부 및 계획된 임신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불안은 평균 39.59±8.56점으로, 연령, 분만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불안은 우울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통제감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과 자아통제감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부의 불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아통제감, 우울, 분만 경험이 없는 경우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산전관리 시 임부의 자아통제감과 산전우울 정도를 사정하고, 이를 근거로 임부의 불안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자기검사(自己檢査) 펄스열(列) 잉여수연산회로(剩餘數演算回路)를 이용한 폴트 토러런트 디지탈 필타의 구성(構成)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fault-tolerant digital filter using self-checking pulse rate residue arithmetic circuits.)

  • 김문수;전구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87년도 전기.전자공학 학술대회 논문집(II)
    • /
    • pp.1185-1187
    • /
    • 1987
  • Digital system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in the ranges of many control engineering. The residue number system offers the possibility of high speed operation and error correction. The compact self-checking pulse-train residue arithmetic circuit is proposed. A fault tolerant digital filter is practically implemented using these proposed circuits.

  • PDF

Self-Validating 지능형 센서를 사용한 디지털 제어기의 설계 (Design of Digital Controllers with Self-Validating Intelligent Sensors)

  • 나승유;배희종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5)
    • /
    • pp.51-54
    • /
    • 2000
  • We are concerned with processing methods of the measurement values of sensors in the control system. When some faults happen to sensor components, the measurement value of sensors cause the malfunction of the plant. So it is necessary to detect and reduce the influence of faults to control with reliability for the overall system. The sensor status must be always good for best demonstration of the controller performance. A self-validating sensor detects the sensor state from the measurement value, reconstruct a soft sensor and can improve reliability of the sensor. If sensor faults, the sensor is detected and reconstructed with the best estimate from its correlation to other sensors and historical data. It is applied to the control of a flexible link system with the sensor fault problems in the light sensor module for position to show the applicabi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digital controller which reduces deflection of the moving set-point by reconstructing output of a sensor when the sensor fault is detected.

  • PDF

일 지역 남자 대학생들의 에이즈 지식,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 낙관적 편견이 콘돔 사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IDS Knowledge, Self Esteem, Sense of Control and Optimistic Bias on Condom Use among Male College Students)

  • 권수영;이동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251-262
    • /
    • 2018
  •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들의 에이즈 지식,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 낙관적 편견이 콘돔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시행되었다. B시 일 종합대학교의 남학생 323명을 편의표집 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량, ANOVA,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은 에이즈 감염에 대한 낙관적 편견이 있으며, 에이즈 지식,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 점수도 각각 높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감, 자기통제감과 낙관적 편견, 자기통제감과 고정적인 성 파트너와 성관계 시 콘돔 사용, 비고정적인 성 파트너와 성관계 시 콘돔 사용과 고정적 성 파트너와 성관계 시 콘돔 사용이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정적인 성 파트너와 성관계 시 콘돔 사용에 대한 예측변수로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이 유의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에이즈 감염 예방을 위한 콘돔 사용 관련 변수에 대한 반복 연구와 다양한 집단의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