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archives

검색결과 524건 처리시간 0.022초

Ginsenosides Inhibit NMDA Receptor-Mediated Epileptic Discharges in Cultured Hippocampal Neurons

  • Kim, Sun-Oh;Rhim, Hye-Wh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5호
    • /
    • pp.524-530
    • /
    • 2004
  • Epilepsy or the occurrence of spontaneous recurrent epileptiform discharges (SREDs, seizures) is one of the most common neurological disorders. Shift in the balance of brain between excitatory and inhibitory functions due to different types of structural or functional alterations may cause epileptiform discharges. N-Methyl-D-aspartate (NMDA) receptor dysfunctions have been implicated in modulating seizure activities. Seizures and epilepsy are clearly dependent on elevated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 $a^{2+}$]$_{i}$ ) by NMDA receptor activation and can be prevented by NMDA antagonists. This perturbed [C $a^{2+}$]$_{i}$ levels is forerunner of neuronal death. However, therapeutic tools of elevated [C $a^{2+}$]$_{i}$ level during status epilepticus (SE) and SREDs have not been discovered yet. Our previous study showed fast inhibition of ginseng total saponins and ginsenoside R $g_3$ on NMDA receptor-mediated [C $a^{2+}$]$_{i}$ in cultured hippocampal neurons. We, therefore, examined the direct modulation of ginseng on hippocampal neuronal culture model of epilepsy using fura-2-based digital $Ca^{2+}$ imaging and neuronal viability assays. We found that ginseng total saponins and ginsenoside R $g_3$ inhibited $Mg^{2+}$ free-induced increase of [C $a^{2+}$]$_{i}$ and spontaneous [C $a^{2+}$]$_{i}$ oscillations in cultured rat hippocampal neur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seng may playa neuroprotective role in perturbed homeostasis of [C $a^{2+}$]$_{i}$ and neuronal cell death via the inhibition of NMDA receptor-induced SE or SREDs.d SE or SREDs..

디자인개발을 위한 eCRM솔루션구현 (The Implementation of eCRM Solution for Design Development)

  • 홍정표;양종열;이유리;오민권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271-280
    • /
    • 2002
  • 최근 정보기술과 인터넷은 눈부신 발전을 해오고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기존의 오프라인 관점에 근거한 전략이나 마케팅은 더 이상 기업경쟁력 향상의 역할을 수행하기가 어렵게 되어가고 있으며, 기업과 고객 사이에서의 디지털 네트워킹으로 인한 고객들에 대한 정보관리 및 마케팅실행방법 등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발전과 변화는 디자인 연구 방법론 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적인 측면과 사회·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Bloch(1995)가 주장한 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반응 프레임웍 즉, 선호정도-디자인이미지형용사-디자인요소들간의 명확한 인과관계모형을 구축한 후, IT기반 인터렉션부분인 eCRM을 결합하여 디자인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실시간 디자인 정보 추출 솔루션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어떤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품디자인을 선호하며 선호하는 제품디자인이 제공하는 이미지는 어떤 디자인요소들로 구성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디자이너들이 좀더 객관적이고 신뢰 할 수 있는 디자인요소들을 선택하여 디자인할 수 있는 지침을 온라인 상에서 실시간에 제공받을 수 있다.

  • PDF

장소마케팅을 통한 가로환경시설물의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혜화동 대학로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rections of Design for Environmental Facilities along Avenues via Locational Marketing(Focusing on Hyehwa-dong Campus Avenues))

  • 김종인;장광집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5-14
    • /
    • 2004
  • 본 논문은 도시환경과 장소마케팅을 통한 가로환경시설물 디자인 방향에 대한 내용으로 대상공간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대학로이다. 디지털 정보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생활양식과 행태 변화를 중심으로 대학로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장소마케팅전략, 공간특성의 변화, 가로환경 및 가로환경시설물의 현황 조사 및 이용자특성의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대학로의 이미지 개선과 문화의 거리로써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활성화를 위한 가로환경시설물의 역할과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새롭게 제시된 가로환경시설물 체계 및 디자인 접근 방법은 지속적이고 종합적인 계획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대학로의 이미지 개선 및 문화적 특성을 부각시켜 이용자 뿐 만 아니라 지역주민 삶의 질적 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관광지로써 재평가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매거진아이덴티티(Magazine Identity)분석툴을 통한 디자인잡지 유형분석연구 (A study on the type analysis of design magazine through analyzing tool of Magazine Identity)

  • 이나리;백진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15-24
    • /
    • 2004
  • 20세기 말부터 활발히 진행된 정보기술, IT혁명은 오늘날 출판시장에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여 치열한 생존경쟁의 국면으로 들어서게 만들었다. 이런 와중에 문화의 한 영역으로써 출판, 인쇄 산업에 핵심분야로 자리 매김하고 있는 잡지는 타 인쇄매체보다 자유분방한 테마로 새로운 입지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독자로 하여금 잡지를 기억하기 쉽도록 하는 아이덴티티 연구는 잡지의 브랜드화를 유도하여 문화산업으로써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잡지가 아이덴티티를 구축할 때 고유한 이미지를 형상화해 낼 수 있도록 하는 잡지디자인의 가능성을 밝히는 것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연구결과 분류된 각 유형의 잡지는 서로 공통적인 특성을 갖기도 하지만 동일한 유형이라 하더라도 그 형식이 일치하는 것은 아니고, 잡지의 전략에 따라 각 요소의 활용도에 유동성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디자인잡지라는 범위에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지만 결론을 도출하기까지의 과정 연구를 통해 디지털시대에 매거진아이덴티티의 중요성과 효용성을 고찰하고 잡지디자인의 역할을 밝힘으로써, 향후 디자인잡지 뿐 아니라 잡지디자인 전반의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인터넷 아바타 사용자의 의사결정 모델에 관한 연구 -사용 목적 별 프로토타입 제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Decision Making Model for the Internet Avatar User -With Particular Emphasis on Developing Prototypes for Purpose of Users-)

  • 김영미;정경운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263-272
    • /
    • 2004
  •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커뮤니케이션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한 변화 중 하나로 아바타가 인터넷상에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디지털 콘텐츠의 수익모델로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커뮤니티 내에 서 아바타 사용자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지만, 사용자들이 아바타를 선택할 때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는 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바타 사용자들의 행동을 근거로 의사결정 모델을 구축하여 아바타의 디자인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바타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과 과정을 조사, 분석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의사결정 요인들과 정보탐색의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목적적 모델과 인지적 모델을 구축하고 각 모델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끝으로 모델별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 PDF

미디어아트의 정량적 평가체계에 대한 연구 (Framework f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Media Arts)

  • 정신영;윤주현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39-150
    • /
    • 2006
  • 예술작품의 평가는 작품의 제작과 감상자체가 매우 정성적인 가치관을 기반으로 한다는 전제아래 객관적으로 수치화 하려는 노력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1960년대 말 이후로 후기 모더니즘적 사조 내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미디어아트를 중심으로 기존의 예술평가의 핵심이 되었던 감상자의 주관적 의견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으며 동시에 미디어아트에 포함되는 기계적, 제품적 측면도 동시에 검토할 수 있는 정량적 평가체계의 구축을 시도하였다. 이에 따라 제시되는 평가체계의 항목에는 매체평가, 작품평가, 감상평가, 상품평가, 전시평가를 포함하였으며 관람자의 미디어아트에 대한 경험수준에 따라 일반감상자, 미디어아트 전문가 그리고 전시관련 업종 종사자, 즉 전시기획자로 분류하여 평가를 실행하도록 하였다. FGD를 거쳐 평가자에 따라, 그리고 평가항목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작품에 대한 객관적인 비평과 주관적 선호도를 적절하게 적용하는 평가체계가 되도록 수정하였다.

  • PDF

타이포그라피 교육을 위한 Visual System 연구 (Visual System in Typograph education)

  • 박효신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273-282
    • /
    • 1999
  • 타이포그라피는 그래픽 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주제이다. 이러한 타이포그라피를 교육하고 학습함에 있어서 감성적인 교육에 앞서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그리고 전체론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전체론적 관점은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타이포그라피 디자인이나 교육에서 더욱 강조되어야한다. 디지털 매체에 익숙해져 있는 학습자들은 새로운 테크날로지란 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두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비주얼시스템은 학습자가 객관적으로 사고하고 방법을 찾는 능력을 배양시켜주는 학습 방식이다. 이 학습을 통해서 학습자는 문제 해결을 위해서 논리와 감성을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이 논문은 시스템이란 무엇이고 이 개념을 어떻게 타이포그라피 교육을 위한 비주얼 시스템으로 계발할 수 있는지를 교육사례를 들어 연구한 것이다. 그리고 비주얼시스템의 타이포그레피 교육에 대한 요용성과 가능성을 연구한 것이다.

  • PDF

오각형피판과 최소한의 피부이식을 이용한 합지증의 교정 (Correction of Syndactyly using Pentagonal Flap with Minimal Skin Graft)

  • 배병만;어수락;김인규;고성훈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64-69
    • /
    • 2007
  • Purpose: The key of treatment in syndactyly is to separate the fused digits safely, and to create a normal web space with enough cutaneous coverage. Despite many techniques have described the correction of syndactyly, skin graft still remains the annoying one. We designed the pentagonal flap from hand dorsum to reconstruct the web space reliably and try to minimize the need for skin graft. Methods: Between July 2003 and August 2005, six cases of syndactyly were corrected at UCLA Medical Center and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using dorsal pentagonal flap for web space reconstruction and straight incisions for the sides of digits to minimize the need for skin graft. The proximal edge of the pentagonal flap was designed in V shape to allow for easy closure of the donor site after advancement. The pentagonal flap was advanced volarly with the underlying dermofat tissues to form a digital web. In some cases, skin defects were unavoidable and covered with full thickness skin graft from the inguinal area. Results: Syndactyly were seen in 4 cases of Apert syndrome, 1 postburn scar webbing with PIP joint contracture and 1 recurrence after the incomplete reconstruction. In all Apert syndrome, straight line incision was used along the sides of the fingers and skin graft was needed. But, in 2 cases of incomplete type, we could save the need for skin graft only for the correction of syndactyly. We could get a good looking web space without any complications such as flap or graft loss. Conclusion: As a modification of Sherif's V-Y dorsal metacarpal flap, we believe pentagonal flap could be one of the easiest and safest way to reconstruct the web space of syndactyly in functional and cosmetic standpoint.

페인트 신나에 의한 수지 고압 손상의 경험 (High-Pressure Finger Injection Injury Caused by Paint Thinner: Case Report)

  • 송진우;최환준;김미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2호
    • /
    • pp.269-273
    • /
    • 2007
  • Purpose: High-pressure injection(HPI) injury is an injury caused by accidental injection of substances by industrial equipment. HPI injury of the hand is a serious injury that can be potentially devastating. There have been a number of publications on the results of its treatment and its functional outcome of these hands. Unfortunately, the clinical outcomes were unsatisfactory following an initial treatment approach of digital expression of the injection material, elevation, soaks, dressing changes, and antibiotics. Methods: A 43-year-old right handed man sustained a high pressure injection injury to the tip of the left index finger. The injected material was industrial paint thinner. Tissue necrosis was noted at the pulp of the finger. Several debridements and irrigation were required. A pedicled chest flap transfer was performed on the eighteenth day after injury as the dorsal nail complex remained viable. This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our experience with high-pressure finger injection injury caused by paint. A literature review, retrospective chart and radiologic review were presented. Results: Follow-up length was about 1 year. The injuried hand was left nondominant hand, the index. Patient complaints were cold intolerance, paresthesia, contact pain, and impair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nclusion: The outcome of high-pressure injection injuries of the hand is affected by many factors. The time between injury and operative treatment has been regarded as a key determinant by a number of authors. The nature of the injected material is probably more important. It has been noted by many authors that injuries with paints have a worse outcome than those with oil or grease. This study confirms the fact that high-pressure injection injury caused by paint thinner to the hand is a significant problem. Virtually a patient suffers sequelae of this injury. The injury has significant repercussions for future function and reintegration into the work force.

3차원 컴퓨터단층촬영 혈관조영술을 이용하여 진단한 외상성 천측두동맥 가성동맥류의 치험례 (Traumatic Pseudoaneurysm of the Superficial Temporal Artery diagnosed with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Two Cases Report)

  • 권호;황동연;정성노;임영민;신옥란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2호
    • /
    • pp.265-268
    • /
    • 2007
  • Purpose: Superficial temporal artery(STA) aneurysms are very rare and mostly occur as pseudoaneurysms secondary to trauma. Clinical diagnosis of STA pseudoaneurysm is based on a history of trauma or surgery to frontotemporal region, which presents with pulsatile mass. To confirm diagnosis, many imaging strategies can be used such as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sonography, CT and MRI. But, these imaging modalities are invasive or inaccurate or expensive. Thus, we used 3D CT angiography to confirm STA aneurysm and to get accurate information. Methods: We have experienced two cases of pulsatile mass on the temporal area, suspected as STA pseudoaneurysms. On the basis of clinical information, we performed 3D CT angiography to get more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is pulsatile mass and to confirm diagnosis. On the basis of information from 3D CT angiography, we performed operation. Results: The lesions were diagnosed as pseudoaneurysm of superficial temporal artery by 3D CT angiography, and surgically resected safely without any complication on the basis of information from 3D CT angiography. 3D CT angiography was excellent diagnostic method for detecting STA pseudoaneurysms, and effectively showed many information about pseudoanerysms such as relationship between the aneurysms and surrounding structures, and its size. Conclusion: We could effectively diagnose and treat on the basis of information from 3D CT angiography. We present our cases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ed to STA traumatic pseudoaneurys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