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ype analysis of design magazine through analyzing tool of Magazine Identity

매거진아이덴티티(Magazine Identity)분석툴을 통한 디자인잡지 유형분석연구

  • 이나리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
  • 백진경 (인제대학교 디자인대학)
  • Published : 2004.02.01

Abstract

Information technology (IT) revolution rapidly advanced from the end of the 20th century has caused an extreme change in the publication market, which brought fierce struggle for existence. In this whirlpool, magazine, which is settling as a part of culture and as a center field of publication, presswork, is concentrating in making new determined position with comparatively liberal theme. So identity study that enables readers to remember a magazine more easily, will suggest a new direction of improvement as a culture business by inducing the brand-making of a magazin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bility of configuration of its unique image of a magazine building an identity in the magazine design field. Each type of magazine has common characteristics but even though it is grouped into same type, it shows mobility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strategy of the magazine rather than matching perfectly to the type. The result is limited to the range of professional design magazine. However, through result-pursuing study procedure, it is anticipated of its gui dance of improvement of magazine design at large as well as professional design magazine by inquiring of consequence and utility of Magazine Identity in the digital age and clarifying the role of magazine design.

20세기 말부터 활발히 진행된 정보기술, IT혁명은 오늘날 출판시장에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여 치열한 생존경쟁의 국면으로 들어서게 만들었다. 이런 와중에 문화의 한 영역으로써 출판, 인쇄 산업에 핵심분야로 자리 매김하고 있는 잡지는 타 인쇄매체보다 자유분방한 테마로 새로운 입지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독자로 하여금 잡지를 기억하기 쉽도록 하는 아이덴티티 연구는 잡지의 브랜드화를 유도하여 문화산업으로써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잡지가 아이덴티티를 구축할 때 고유한 이미지를 형상화해 낼 수 있도록 하는 잡지디자인의 가능성을 밝히는 것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연구결과 분류된 각 유형의 잡지는 서로 공통적인 특성을 갖기도 하지만 동일한 유형이라 하더라도 그 형식이 일치하는 것은 아니고, 잡지의 전략에 따라 각 요소의 활용도에 유동성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디자인잡지라는 범위에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지만 결론을 도출하기까지의 과정 연구를 통해 디지털시대에 매거진아이덴티티의 중요성과 효용성을 고찰하고 잡지디자인의 역할을 밝힘으로써, 향후 디자인잡지 뿐 아니라 잡지디자인 전반의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